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1.한반도평화

냉전분잔시대 한반도의 역사읽기

동방박사님 2022. 9. 26. 20:41
728x90

책소개

공간적·시간적 요인들이 역동적으로 맞물리며 전개된 20세기 한반도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두 국가의 역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함께 ‘한반도’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이해는 남북한 양측의 역사를 기계적으로 병치한다고 해서 이루어지지 않으며, 통일운동의 흐름을 정리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다.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볼 때 남북한 역사를 병치하는 방식은 남한이든 북한이든 자국사를 중심으로 놓고 상대방의 역사를 부수적으로 배치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설령 동일한 분량의 서술을 한다하더라도 일국사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역사의 병렬은 냉전분단시대 남북한 역사의 역동적인 전개를 제시하는 데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남북한의 역사를 모두 한반도사에 수렴시킬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지만, 하나로 맞물린 냉전과 분단이 동시에 한반도 전체를 규정하며 개개인의 의식과 행위에까지 미친 영향이 너무나 컸기에 ‘한반도’라는 고찰 단위는 설정될 필요가 있다. 향후 냉전분단시대에서 더욱 멀어질수록, 또한 냉전분단시대에 대한 연구가 진전될수록 남·북한사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역사이해는 더욱 깊어질 것이고, 남·북한사와 별도의 ‘한반도사’의 서술도 체계적으로 시도될 것이다.
탈냉전시대, 기존의 가치관과 국제질서가 붕괴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가 모색되는 지금, 탈냉전 세대가 여전히 냉전분단시대의 역사인식 틀에 갇힌다면 21세기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주도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반민주적 국가주의를 명분 삼아 동북아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들의 이해추구에 동원되거나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있다. 냉전분단시대를 경험한 역사학자에게 탈냉전 세대가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상태의 영속화’에 복무하거나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만큼 중요한 의무는 없다. --- 여는 말 중에서

목차

1부 한반도 해방과 분단정부의 수립
01_ 한반도 문제의 국제적 해결 방안 :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안
02_ 한반도 문제의 유엔이관과 분단의 고정화 : ‘유엔결의안’
03_ 단선·단정 반대를 위한 남북 지도자 간 협상 :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 공동성명서
04_ 외국군 철수와 군사고문단의 활동 : ‘군사고문단 설치협정’


2부 냉전진영의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확대
01_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행정권 이양: ‘한미 간 행정권 이양협정’
02_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북·소 관계의 공식화: ‘조소경제문화협정’
03_ 한일 무역관계의 재개 : ‘통상협정’과 ‘재정협정’
04_ 미국 중심 경제질서로의 편입 : ‘한미 원조협정’


3부 동아시아의 열전과 냉전, 한반도의 전쟁
01_ 유엔의 전쟁 개입과 동아시아 국제전으로의 승화
02_ ‘유엔군사령부’의 설치와 한국군의 작전지휘권 이양
03_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과 조중연합사령부 설치
04_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지원과 원조 제공
05_ 유엔의 남한 원조와 전시 원조 기구


4부 전후처리 문제와 냉전분단의 고착화
01_ 전후 ‘원조경제’의 초석 : ‘마이어 협정’
02_ 적대적 대립의 지속 : ‘정전협정’
03_ 한미 군사 동맹의 제도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04_ 냉전분단 질서의 재확인 : ‘제네바 정치회담’

원 문
01_ 1부「한반도 해방과 분단정부의 수립」관련 원문
02_ 2부「냉전진영의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확대」관련 원문
03_ 3부「동아시아의 열전과 냉전, 한반도의 전쟁」관련 원문
04_ 4부「전후처리 문제와 냉전분단의 고착화」관련 원문

부록 | 외교 연표
1945년~1954년 주요 한반도/국제관계 연표
 

저자 소개

저자 소개
허 은(편자) :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부교수로 한국현대사를 담당하고 있다. 대표 논저는『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민족주의』,『한국민주화운동사』(공저),『한반도 통일론의 재구상』(공저) 등이 있다. 이정은 :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한국경제사를 연구 중이다. 최근 연구로는 「4·19에 대한 대자본가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 「5·16군사정부의 상업차관 도입과 운영 : 대자본가와의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