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4.독립운동가

조소앙 평전 - 독립운동 이념의 기틀을 세운 민족지성

동방박사님 2022. 12. 11. 09:10
728x90

책소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요 인사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 조소앙의 평전이 출간되었다. 『조소앙 평전』은 민족운동의 정신적 기틀이 된 삼균주의 사상을 창안하였으며 임시정부에서 외교와 정책 실무를 책임진 사상가이자 실천가 조소앙의 진면목을 그렸다. 엄혹한 시대 상황에도 독립운동에 헌신한 지성의 삶은 3·1절을 앞두고 주권 독립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한편 선진국에 진입한 대한민국이 나아갈 미래를 숙고하게 한다.

 

목차

차례
머리말 5

1 출생과 성장기

출생과 가풍 23
아호의 변화와 의미 36
관원이 되기 위하여 성균관으로 41
「항일성토문」, 최초의 민족운동 50

2 일본 유학, 민족운동가로서의 수학기

도쿄부립제일중학교에 첫발을 내딛다 61
동맹휴교, 두 번째 민족운동 70
메이지대학에 진학하다 79
민족운동을 예비한 학회 활동 89
학회 활동의 대안으로 기독교회에 입회하다 99

3 중국으로 망명, 민족운동가로서의 성장기

동제사, 직업혁명가로서 출발지 112
상하이 시절, ‘국사적 자랑’을 잃지 않고 121
구국종교의 뜻을 품고 일신교를 창도하다 126
「대동단결선언」, 민족운동이론가로서의 첫 선언 135
국제사회주의자대회에 참가를 요청하다 145

4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건립, 삼균주의의 배태기

대한독립의군부, 3·1민족운동을 준비하다 153
「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하다 160
임시정부 수립의 예비 회의, 분열에서 단결로 172
대한민국임시정부, 민주공화제 정부의 탄생 181
「대한민국임시헌장」을 기초하다 187

5 유럽에서 독립외교, 사회주의자로 활동

상하이에서 파리로, 파리한국대표부에 합류하다 199
루체른 대회, 한민족의 독립 열망을 인정받다 206
노동사회개진당의 대표로 독립외교 활동을 이어 가다 211
코민테른에 가입을 신청하다 222

6 상하이로 돌아와 임시정부에 복귀하다

베이징을 거쳐 상하이로 234
한살임당을 재창당, 아나키즘을 표방하다 241
독립당의 이념을 제시하다 253
무정부상태의 임시정부에 복귀하다 261

7 이승만의 임시정부를 옹호, 범한독립당을 추구

국민대표회의와 임시대통령 탄핵, 이승만을 옹호하다 267
이승만의 통신원으로 활동하다 274
이승만의 복권을 시도하다 283
민족유일당운동이 촉발되다 290
민족유일당운동에 동참하며 범한독립당 설립을 추진하다 299

8 당정 일체의 독립운동, 삼균주의의 정립·주창기

민족유일당운동 결렬을 계기로 이승만의 당인에서 이탈하다 307
당치주의를 수용하다 316
한국독립당 결성, 삼균주의를 정립하다 322
한국독립당과 임시정부에서 활약하다 331
윤봉길 의거 후의 분규 속에서 연합을 모색하다 341
민족혁명당에 참여, 분열을 재생산하다 349

9 한국독립당 재건에서 통합한국독립당 결성까지

한국독립당 재건, 신민주주의를 주창하다 361
분열과 갈등의 지속 369
재건한국독립당이 임시정부에서 소외되다 376
민족주의정당의 통합운동, 임시정부 절대 옹호를 주장하다 387
임시정부의 외무장으로 복귀, 통합한국독립당을 결성하다 398

10 충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삼균주의의 실천기

충칭시기의 개막, 당·정·군 체제의 출발 409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하여 작성하다 418
전시외교의 선봉에서 임시정부 승인에 진력을 다하다 431
「광복군행동9개준승」의 폐기에 힘쓰다 443
미국의 신탁통치 구상에 적극 반대하다 452
한국독립당의 집행위원장에 선출되다 463
임시정부의 최종 개헌안을 주도하다 473

11 8·15해방 전후, 복국운동이 복국기의 연장으로

「카이로선언」, 보장된 독립과 굴절된 해방의 서곡 480
득보다 실이 컸던 샌프란시스코회의 참가 노력 488
8·15해방, 건국운동으로 이행을 천명하다 498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여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주장하다 511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 반탁노선을 천명하다 523
불합작의 복국운동, 임정법통론을 고수하다 536
비상국민회의에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까지 545

12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대한민국정부수립

제2차 반탁운동과 국민의회 출범 557
통합의 결렬, 이승만의 국민의회 참가 거부 571
한국문제의 UN이관, 남북요인회담을 구상하다 581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마지막 노력, 남북협상에 참여하다 591
정치노선을 전환하여 대한민국정부를 인정하다 600
김구와 결별, 사회당을 창당하다 608
대한민국육성강화운동, 민족진영의 강화를 꾀하다 616
5·30총선거에 당선되나 납북되다 623

맺는말: 삼균주의의 현재성 634
주 643
해적이 709
참고 문헌 751
찾아보기 774
 

저자 소개 

저 : 김인식
 
중앙대학교 사학과에서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사상과 운동」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에 재직하면서, 민세안재홍기념사업회·신간회기념사업회 학술이사 및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안재홍의 신국가건설운동』(2005), 『중도의 길을 걸은 신민족주의자-안재홍의 생각과 삶』(2006), 『광복 전후 국가건설론』(2008), 『대한민국정부수립』(2014), 『조...
 

책 속으로

이 책은 삼균주의와 임시정부라는 두 축을 설정하여 조소앙의 사상이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성을 계승한 현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에 방점을 두었다. 임시정부에서 대한민국을 잇는 법통은 무엇인가. 그것은 임시정부의 국시로 표현된 「대한민국건국강령」과 임시헌법에 반영하였던 균등주의의 이상이었으며, 이를 뒷받침한 삼균주의 이념이었다. 조소앙은 균등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남한의 민주화를 실현한 뒤 북한과 통일하는 민족통합을 완성하고, 이로써 세계문화에 기여하려는 보편주의와 이상주의를 함께 표출하였다. 그는 식민지와 민족분단의 현실이 연속하였던 한민족의 구성원으로서, 민족사를 기반으로 세계의 사상과 조류를 흡수하여 한국민족운동의 이념을 체계화한 민족지성의 전형이었다.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한국민족운동의 이념을 체계화하고
임시정부를 지도한 실천적 지성


1887년 경기도 교하군(현 파주시)에서 태어난 조소앙은 일찍이 대한제국 관료가 되겠다는 꿈을 품고 성균관에 입학했다가 황실특파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 도쿄에서 근대 교육과 법학을 수학했다. 그러나 1910년 국권 피탈과 함께 조소앙이 출사하여 복무할 나라는 사라지고 말았다. 충의를 최고의 가치로 여긴 가풍에서 성장한 그에게 일제 식민지배에 영합하는 길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직업혁명가로 투신하여 중국 망명길에 오른 조소앙은 마침내 1919년 3·1민족운동으로 독립운동 역량이 결집하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온 힘을 쏟았다.

이후 조소앙의 삶은 임시정부와 분리되지 않는다. 1920년대에 잠시 이탈한 적을 제외하고는, 상하이 임시정부가 등장한 때부터 1948년 8월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그의 독립운동은 임시정부의 역사와 궤를 같이했다. 조소앙은 출중한 영어 실력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독립외교 활동을 수행하며 임시정부의 굵직한 주요 문건들을 기초하고 작성했다. 「대한민국임시헌장」(1919), 「대한민국임시정부 선언」(1931, 일명 「대외선언」), 「대한민국건국강령」(1941)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임시정부의 유일한 여당인 한국독립당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중국 독립운동 인사들과 교류하며 대일(對日) 한중동맹에 강화에 노력을 기울였다.

8·15해방을 맞아 귀국한 뒤에는 김구 등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운동에 앞장섰으며, 민족진영 정치세력을 결속하고자 했다. 사회당을 결당해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 최다 득표로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본격화하려던 그의 계획은 그러나 6·25전쟁 중에 납북되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1958년에 영면한 뒤에도 조소앙의 삶과 사상에 대해서는 제대로 평가가 이뤄지지 않았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냉전체제의 해체와 함께 재평가되어 우리 민족운동사의 중요한 일부로 연구되기 시작했고 1989년 대한민국정부가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1990년에는 북한 정부가 조국통일상을 조소앙에게 추서했다. 그러나 조소앙의 생애를 종합적으로 깊이 있게 다룬 책은 많지 않았다. 한국 근현대사와 근현대인물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김인식 중앙대학교 교수는 방대한 1차 자료를 검증해 조소앙의 생애를 세밀하게 복원했다. 상세한 조사와 꼼꼼한 정리 끝에, 임시정부를 위시한 대한민국 독립운동사(史)가 더불어 면면이 펼쳐진다.

대한민국의 정신적 지향점으로
살아 숨 쉬는 삼균주의를 만난다


대한민국헌법의 전문은 우리 헌법의 정신을 담고 있다고 평가된다. 현행 헌법 전문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했음을 천명하며,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고 밖으로는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할 것을 다짐한다. 1948년 제헌헌법 이래 아홉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도 줄곧 헌법정신으로 명시된 ‘균등’의 이념이다. 이러한 균등주의 이상의 기원은 바로 정치·경제·교육(문화)의 균등을 주창한 조소앙의 삼균주의(三均主義)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0년 창당한 한국독립당 당의(黨義)를 기초하면서 조소앙은 삼균주의에 기반해 한민족의 국가상을 제시했다.

본당은 혁명적 수단으로써 원수 일본의 모든 침탈세력을 박멸하여 국토와 주권을 완전광복하고,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기초한 신민주국을 건설하여서, 내(內)로는 국민 각개의 균등생활을 확보하며, 외(外)로는 족여족(族與族)·국여국(國與國)의 평등을 실현하고 나아가 세계일가(世界一家)의 진로로 향함.

삼균주의는 임시정부의 공식 문서로서는 1931년 「대외선언」에서 처음 보이며, 1930년대를 거쳐 심화되어 1941년 충칭 임시정부가 발표한 「대한민국건국강령」에서 임시정부의 기본이념이자 정책노선으로 확정되었다. 임시정부의 기초정당인 한국독립당과 독립군의 강령이 되기도 하여, 다양한 좌우익 사상이 혼재했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진영에서 지도적 이념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책은 삼균주의의 배태기, 정립·주창기, 실천기 등 단계를 세분화해 조소앙의 삶 속에서 삼균주의 사상이 발전해 나간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내보인다.

차별 없는 균등한 사회는 인류 보편의 이상이다. 삼균주의도 이러한 보편적 이상을 이어받았으나, 조소앙이 직면한 역사 조건은 매우 뚜렷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대립하는 세계사의 모순과 봉건체제도 다 극복하지 못한 채 제국주의 침략과 식민지배에 놓인 민족사의 모순이라는 특수성에 당면하여 그는 균등이라는 이상을 실천론으로 구체화하고자 했다.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조소앙의 정치사상은 인간 세계의 모든 차별상을 극복하고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사이의 균등을 실현하고자 한다. 즉 삼균주의(개인 간)와 민족자결(민족 간), 제국주의 및 침략전쟁 금지(국가 간)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평화를 달성하고자 한다. 한국독립당 당의에서 “세계일가의 진로”라 표현되었으며 현행 헌법에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이라는 구절로 이어진 바로 그것이다.

세계 곳곳에서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고 양극화를 비롯한 불평등이 심화되는 지금, 조소앙의 시선으로 묻는다. 강대국의 패권주의에 대항하는 만국의 민족자결은 얼마나 실현되었는가? 남북을 통일할 이념은 마련되었는가? 빈한한 계급의 생활과 문화 수준은 얼마나 올라갔는가? 정치, 경제, 문화 각 방면에서 균등은 이루어지고 있는가? 민족과 세계의 미래를 두루 모색한 삼균주의가 현재에도 유효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