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6.중국인도철학

중국철학의 근본적 재구성을 위한 여정 (2020)

동방박사님 2023. 9. 15. 07:35
728x90

목차

서문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이론적 시야를 확장하기 위하여
1. 세계를 해석하기만 하는 철학, 그것을 넘어선 시야의 필요성 21
2. 중국과 서구의 사유방식, 그 동질화를 극복한 시야의 필요성 25
3. 학술화된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포괄하는 시야의 필요성 30
4. 결정론과 능동론의 관계를 중심에 놓아야 할 필요성 37
5. 실천철학에 기초한 연구 계획 41

제1장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전제
1. 중국화: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내재적 요구 46
1) 유물주의의 방법론적 함의 48
2) 유물주의의 역사적 의의 54
3) 역사적 유물주의: 비판적 역사과학인가, 아니면 사변적 역사철학인가 61
4) 비판적 역사과학: 세계를 바꿀 것인가, 아니면 세계를 해석만 할 것인가 71
5) 비판적 역사과학의 방법론적 의의 75

2. 중국과 서구의 사유방식 차이와 그 함의 80
1) 상象적 사유와 개념적 사유 82
2) 개념적 변증법과 상象적 변증법 103
3) 중국과 서구의 사유방식 차이와 중국철학의 발전 가능성 115

3.철학적 사유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본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중국화 122
1) 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 연구에 대한 간략한 회고 123
2) ‘패러다임’과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개념의 용례 분석 127
3) ‘패러다임’과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개념 사용의 정당성 문제 130
4) 철학적 사유의 패러다임 전환을 표현하는 문제 132
5) 실천철학: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새로운 ‘기반’ 135

4. 실천철학의 이행 과정에서 제기되는 핵심 문제 139
1) 세계를 바꾸는 철학의 내재적 길항 140
2) 참고할 만한 역사적 경험 145
3) 길항을 해소하거나 완화하는 방법 172

제2장 마르크스주의 중국화의 초기 과정
1. 중국 사람들이 처음 대면한 마르크스주의 176
1) 마르크스주의의 중국 전래와 당시의 역사적 상황 177
2)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 전파의 초기 경로들 189

2.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전파된 초기의 리다자오 196
1) 리다자오 초기 사상의 기본 특징 196
2) 「나의 마르크스주의관」의 유물사관 199

3.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 전파된 초기의 특징 203
1) ‘이론적 준비 부족’에 대한 분석과 평가 203
2) 왜 유물사관을 소개하는 데 집중했는가? 210
3) 마르크스주의의 내적 길항에 대한 인식 214

제3장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
1. 체계화의 필요성 224
1)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서 전파될 수 있었던 내적 필요성 224
2)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 전파된 경로의존성 225

2. 취추바이와 초기 중국 마르크스주의 체계화의 정립 228
1) 취추바이라는 역사적 우연 228
2) 취추바이가 소개한 체계화된 철학 233

3. 리다와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체계화된 발전 244
1) 『현대 사회학』의 유물사관 244
2) 『사회학 대강』에 소개된 마르크스주의의 철학 체계 253
3) 『사회철학 개론』과 『사회학 대강』의 의의 261

4. 아이쓰치와 마르크스주의의 대중화 270
1) 철학적 대중화의 의의 270
2) 아이쓰치와 철학적 대중화의 결실 273

5. 실천철학으로의 회귀 279
1) 이론적 지혜와 실천적 지혜 280
2) 논의의 대상으로서 실천적 운용의 문제 284
3) 이론적 해결과 실천적 해결 286

제4장 실천철학적 영역에서 본 마오쩌둥의 철학
1. 『실천론』의 실천철학적 해석 296
1) 실천철학과 이론철학의 인식론적 대립 298
2) 실천철학적 영역에서의 인식 과정 분석 302
3) 실천적 지혜와 과학적 이론 311

2. 실천철학적 시야에서의 『모순론』 317
1) 실천철학적 입장에서의 변증법 문제 318
2) 마오쩌둥의 실천적 변증법 330
3) 『모순론』의 존재론적 가정 338

3. 마오쩌둥 철학의 중국적 전통 요소에 대한 재평가 341
1) 마오쩌둥 변증법의 독특성 342
2)중국과 서구의 상이한 사유방식으로부터 본 마오쩌둥의 변증법 354
3) 마오쩌둥 변증법에서 중국 전통적 요소의 평가 문제 364

4. 마오쩌둥 실천철학의 본질적 특징 369
1) 마오쩌둥 실천철학의 전제 구조 370
2) 실천적 지혜의 구조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드러낼 것인가? 377

제5장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실천적 진전
1. 사회주의: 이상에서 현실로 396
1) 사회주의 이론의 역사가 지닌 시사점 397
2) 사회주의 운동의 난관과 그 해결을 위한 모색 407
3) 사회주의 초급단계설의 이론적 공헌 421

2. 사회주의와 인간의 전반적인 발전 429
1) 마르크스의 인간 발전 이론에 관한 두 가지의 문화적 근원 430
2)현실 속 사회주의 실천 과정에서 나타난 인간 발전 이론의 상이한 해석들 438
3) 마르크스의 인간 발전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444

3. 실천철학적 시야에서의 과학적 발전관 450
1) 과학적 발전관이 제기된 실천적 기초 450
2) 과학적 발전관과 사회적 균형 발전 453
3)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혁신을 위한 변증법 458

제6장 학술화된 연구 분야에서의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1.50여 년 동안 이어진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변천 과정 및 그 논리 466
1)50여 년 동안 이어진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사유 패러다임 변천 과정 467
2) 철학적 사유 패러다임 변화의 내재적 논리 473
3) 사회적 실천방식과의 정합성으로부터 살펴본 철학적 사고 패러다임의 변천 과정 478
4)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본래 모습으로 되돌아가기 485

2.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와 헤겔주의 491
1) 헤겔 철학의 전반적 특징 492
2)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상이한 패러다임에서 나타난 헤겔 철학 494
3) 헤겔주의를 넘어서 503

3.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에서 이론과 실천의 문제 509
1) 이론철학 패러다임에서 이론과 실천의 관계 510
2) 실천철학 패러다임에서 이론과 실천의 문제 515
3) 이론과 실천 관계의 복잡성 522
4) 이론과 실천의 이질성 527
5) 이론과 실천 관계에 대한 재검토 530

4.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과연 어떤 의미의 실천철학인가? 537
1) 실천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실천철학 538
2) 제1철학으로서의 실천철학 546
3)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의 월등함 549

제7장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미래 전망
1.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역사적 임무 564
1) 시대정신의 소환 565
2) 민족정신을 위한 터전의 재구성 566
3) 시대정신의 승화 572

2.중국철학과 서구철학의 대화, 그리고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발전 581
1) 중국철학과 서구철학에서 가능한 대화 패러다임 582
2) 중국철학과 서구철학의 초기 대화 패러다임 583
3) 중국철학과 서구철학의 차이를 인정한 대화 패러다임 588
4) 중국철학과 서구철학에서 가능한 미래의 대화 방식 590
5)중국철학과 서구철학의 대화, 그리고 중국화된 마르크스 철학의 심화 593

3.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심화: 현실에서 이상까지 599
1) 철학적 기능의 두 측면: 방법론과 인생관 600
2) 혁명전쟁의 시기에 부각된 방법론적 문제 603
3) 중국화된 인생관의 필요성 610

4. 현대적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혁신은 어떻게 가능한가? 616
1) 철학적 혁신을 위한 역사적 기회 617
2) 철학적 혁신을 위한 일반적 방법 620
3) 철학적 혁신을 위한 필연적 경로: 중국문화의 실제 상황에 대한 직시 628

주요참고문헌 634
찾아보기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