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전쟁교훈여행 (2010~) (여행지)/1.접경지역 DMZ

DMZ 사진전

동방박사님 2018. 11. 28. 21:28
728x90

 

DMZ 개황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는 1953년에 설정된 경기도 파주군 장단반도의 임진강 하고와 강원도 고성군 동해안 사이의 군사분계선에서 남과 북으로 각각 2km까지의 지역으로서, 폭 4km, 길이 약 250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임진강 하고에서 백령도 사이의 남북의 경계지역도 육지는 아니지만 흔히 비무장 제대로 불린다.

많은 사람들은 비무장지대 (DMZ)가 지난 65년간 사람들의 접근이 철저히 차단되어 원시상태의 울창한 산림으로 덮여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 원시림에 가까운 곳은 강원도의 향로봉산맥 주변에서만 주로 볼 수 있고 나머지 나머지 부분의 지역은 군사적 목적의 빈번한 산불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렇게 비무장 지대가 산불, 소음 등 끊임없이 인간간섭을 받고 있어서 교란된 생태계이기 때문에 보전가치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대형 포식자들도 없는 데다가 빈번한 산불로 초식동물의 먹잇감이 많아져서 야생동물들에게는 비무장지대란 천국과 같은 곳이다.

비무장지대는 현재 산불로 인한 2차림이 많기는 하지만 만약 인위적인 산불이 금지된다면 수십 년 또는 아마도 100년 이내에 원시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높은 자연성과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 백두대간이 한반도 남북방향의 생태축이라면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동서방향의 생태축으로서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의 공급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 생태계조사는 판문점 지역의 생태조사와 남북연결도로 및 철도건설을 위한 파주군 장단면과 고성군 해금강지역의 환경영향평가 조사를 제외하고는 정량적인 조사가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비무장지대의 생태계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생태조사는 비무장지대가 아니라 비무장지대의 남방한계선과 민간인통제선 사이의 민통선지역(민북 지역)에서 이루어져 있다. 민통선지역 가운데 경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곳의 생태계는 비무장 지대와 매우 유사하므로 비무장지대의 일원의 생태계를 말할 때는 실제로 민통선지역을 포함시키고 있다.

비무장 지대의 보전에서는 북한과의 협력 중요하기 때문에 국제기구인 유네스코가 중요한 역할을 할수가 있다. 유네스코에서는 두 가지의 국제적인 보호지역을 지정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인간과 생물권계획 (MAB)에서 지정한 생물권 보전지역 (biosphere reserve)이고 다른 하나은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지정하는 세계유산 (world heritage)이다. 생물권 보전지역이 자연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동싱 추구하는 제도라면 세계유산은 세계적으로 탁월한 가치가 있는 곳을 지정하여 그 가치를 길이 보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조도순 (카톨릭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문화재위원, 유네스코 MAB 한국위원회 위원장) "2018년 4차 이코모스 포럼" < 발제자료  2018.11.29 퍼옴>

 

 

남방한계선과 북방한계선

나란히 달리고 있는 북방한계선과 남방 한계선의 모습이다. 가운데 DMZ를 중심으로 오른쪽이 북한, 왼족쪽이 철책선이 남방한계선이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북방한계선의 모습

DMZ 내 경의선에서 본 북방 한계 선의 모습이다. 가운데 멀리 북한 기정동 마을의 인공기가 보인다.

<사진제공 : 철도공사 김장현>

 

 

끊어진 금강산 철길

철원에서 시작하는 이 철길은 바로 가면 금강산 내금강에 다를 수 있으나 1950년 한국전쟁시 끊어져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지뢰 주의

DMZ의 민토 언 내에는 한국전쟁시 사용한 많은 지뢰가 묻혀있어 사람의 발길을 거부하고 생태적으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백암산 OP에서 본 DMZ

강원도 화천군 백암산 OP에서 바라본 DMZ의 모습이다.  녹색자연의 평화로운 모습과 대조적으로 총열의 검은 그림자에서   전쟁의 긴장감이 느껴진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철책선과 DMZ

 

 

군사분계선과 남방한계선

앞쪽의 철책선이 남방한계선이고 가운데 일직선으로 이어진 선이 군사분계선으로 북쪽의 북방한계선과 함께 DMZ를 구성하고 있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철원 용암보 출렁다리

1950년 한국전쟁 전까지 이용하였을 끊어진 인도교 모습입니다. 오른편 위쪽의 북방한계선으로 DMZ 안에 있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철원평야

중부지방의 곡창지대였던 철원평야의 지금 모습이다. 잘 발달된 초지와 숲이 생태계의 보고임을 느끼게 한다. <사진제공: 녹색연합 자연생태 국>

 

 

 

'03.전쟁교훈여행 (2010~) (여행지) > 1.접경지역 DMZ'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의 댐 (비목공원)  (0) 2021.09.12
강원도 화천 (평화의 댐)  (0) 2021.09.12
파주DMZ 제3땅굴  (0) 2018.11.28
파주DMZ 도라전망대  (0) 2018.11.28
파주 도라산역  (0) 2018.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