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2.북한탐구

북한 정체성의 두 얼굴

동방박사님 2021. 11. 2. 11:59
728x90

북한은 '우리식'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우리식 사회주의는 북한의 통치원리이기도 하다. 또한 현재의 '유훈통치'나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가 주장한 북한 체제에 대한 '내재적 접근법'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이 책은 북한의 정체성에 확립 과정과 전개 그리고 복잡한 세계정세 속에서 변화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북한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고 있다.

저자가 파악한 북한의 국가 정체성은 '동일시'와 '구별짓기'다. 그러나 저자는 그것이 국가의 일체감과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지만, 그것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의문을 던지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 세계화의 도래, 즉 우리는 너희와 다르다는 구별짓기가 더 이상 인위적 틀로써 막아질 수 없다는 데 원인이 있다. 다시 말해 외부와의 갈등은 북한의 결속을 강화시켜주기는 했지만, 식량 지원이나 남북 교류 협력 등은 북한 대중들에게 국가 정체성을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 자체로 북한의 정체성을 모두 파악할 수는 없지만, 오랫동안 관련 분야에서 일한 저자의 경력이나 글솜씨로 인해, 관련 입문서 정도로는 손색이 없어 보인다. 마지막에는 서대숙의 『현대 북한의 지도자 : 김일성과 김정일』이나 샐리그 해리슨 『샐리그 해리슨의 코리안 엔드게임』등 더 읽어야 할 자료 목록이 소개돼 있기도 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북한 정체성의 기원
1. 왜 정체성인가
(1) 북한의 국제적 지위
(2) 북한 체제의 정치 사상 중심성
(3) 세계화에 대한 북한의 대응
2. 북한 정체성의 형성 과정
(1) 국가 정체성의 형성 배경
(2) 북한의 정체성 형성 배경

제2장 북한 정체성의 실제
1. 북한 정체성의 얼굴
(1) 민족주의적 정향과 독자적 사회주의
(2) 대외 정체성 : 자주권
(3) 국가 정체성의 재생산
2. 북한 정체성의 기능과 효과
(1) 동일시와 구별짓기
(2) 권력 정치의 보완
(3) 양날의 칼

제3장 북한의 정체성 정치
1. 체제 통합
(1) 냉전 붕괴의 충격과 대응
(2) 주체 문화
2. 이중적 대남 정체성
(1) 대남 인식과 통일 정책의 변화
(2) 대외 관계의 균형추
3. 생존 외교
(1) 국가 주권의 수호
(2) 정체성 정치의 딜레마

제4장 북한의 정체성 위기
1. 세계화 시대의 도래
2. 도전에 직면한 북한의 정체성
(1) 아래에서부터의 변화 요구
(2) 위로부터의 혼성 대응
3. 북한 정체성의 현주소

'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 > 2.북한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김정은과 북한  (0) 2021.11.02
서울 평양 스마트시티 :  (0) 2021.11.02
북중 머니 커넥션  (0) 2021.11.02
선을 넘어 생각한다  (0) 2021.11.02
평양 자본주의 백과사전  (0)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