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7.독립운동이야기

한국 광복군의 일상과 기억

동방박사님 2022. 2. 15. 15:59
728x90

책소개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의 임시수도 충칭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관계자들이 주도한 총사령부 결성식을 계기로 창군되었다. 백범 김구는 한국광복군을 “한국 국군”이라 하였다. 만주에서 결성된 조선혁명당의 조선혁명군, 한국독립당의 한국독립군은 스스로를 당의 군대라는 뜻의 ‘당군(黨軍)’이라 했듯이,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임을 표방한 것이다.

한국광복군 관계자들이 작성한 문서들을 보면 공통되게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대한제국의 군대를 계승한 국군으로서 한국광복군을 말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사람과 사람의 연계성과 조직의 계보성이 부족함에도 33년이란 시간차를 무시하고 그렇게 당당하게 말하는 저변에는 어떠한 시대인식이 깔린 것일까.

한국광복군은 「한국광복군소사」에서 8월 1일을 한국독립전쟁기념일로도 규정하였다. 이전과 무엇이 다르기에 자신들의 행위를 ‘독립전쟁’이라 규정했을까. 국방을 책임지는 군대가 해산당했다는 의미를 일본이 한반도를 지배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인 결과일 것이다. (총론 中)

목차

총론 : 한국광복군 연구의 역사와 미래│신주백

제1부 한국광복군의 일상

일본군의 중국 공습과 대한민국임시정부 방공 항전의 일상사│조건
Ⅰ. 머리말
Ⅱ. 1920~30년대 일본군의 중국 공습과 임시정부의 피해
Ⅲ. 일본군의 난징 및 충칭 공습과 임시정부의 피해
Ⅳ. 임시정부 방공 항전의 일상
Ⅴ. 맺음말
[부록]『매일신보』 공습 관련 보도 실태

임시정부 이동기 항일여성의 한국광복군 참여│이명화
Ⅰ. 머리말
Ⅱ. 독립군 여성의 독립유공자 포상 실태
Ⅲ. 조선의용대의 초모활동과 부녀 복무단
Ⅳ.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출범과 선전 및 초모 활동
Ⅴ. 한국광복군 여자대원의 초모 선전 및 특파 활동
Ⅵ. 맺음말
[부록]환국 전후의 임시정부 관할의 여성 명단

한국광복군 군복 연구│김정민
Ⅰ. 머리말
Ⅱ. 한국광복군 군복 유물의 현황
Ⅲ. 한국광복군이 착용한 국민정부군 군복
Ⅳ. 독자적 군복 제도의 제정과 시행
Ⅴ. 맺음말

한유한(韓悠韓)의 중국 서북지역에서의 예술 활동과 그 영향│왕메이(王梅), 푸위안(蒲元)
Ⅰ. 한유한의 생애
Ⅱ. 한유한의 서북지역에서의 주요 예술 활동
Ⅲ. 한유한의 서북지역에서 펼친 예술 활동의 영향과 평가
[중문]?悠?在中?西北地?的??活?及影?

제2부 한국광복군의 기억

사회적 기억 매체의 한국광복군│정호기
Ⅰ. 광복 이후의 한국광복군
Ⅱ. 정부포상으로 본 한국광복군의 위상 변화
Ⅲ. 기념식과 추모의례의 한국광복군
Ⅳ. 전시공간의 한국광복군
Ⅴ. 맺음말

한국인의 항일투쟁과 현대 중국의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김재욱
Ⅰ. 머리말
Ⅱ. 3·1 운동과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의 전변
Ⅲ. 윤봉길 의거 이후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과 그 특징
Ⅳ.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 관련 시가 창작에 대하여
Ⅴ. 맺음말

한국광복군의 항일투쟁과 중국현대문학(1917~1949):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반영한 작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김재욱
Ⅰ. 머리말
Ⅱ.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중국현대문학 작품에 대하여
Ⅲ. 광복 후 이범석의 문예활동: 『靑山裏?血實記』 번역본과 『우둥불』 출판을 중심으로
Ⅳ. 맺음말
[부록]한국광복군 관련 중국현대문학 작품 목록

논문출처
찾아보기
 

저자 소개

독립기념관에 설립된 연구기관으로 독립운동사 연구, 각종 연구 성과물 발간(학술지, 연구총서, 자료총서, 독립운동가 열전 등), 독립운동 인명사전 편찬, 독립운동가 발굴, 국내외 독립운동 사적지 조사 연구, 일본의 역사 왜곡 대응 연구, 국내외 자료 조사 수집 및 분석, 독립운동 관련 자료 보존 사업 등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