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4.조선왕릉 41

서오릉 (순창원 / 경릉 / 대빈묘)

순창원 順昌圓 (순회 세자와 공회빈)- 사적 제198호 순창원은 조선 13대 명종 (明宗)의 맏아들 순회 세자 (順懷世子: 1551~1563)와 공희빈 윤 씨 (恭懐嫔 尹氏: 1552?~1592)의 *원이다. 순회 세자는 7세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13세에 세상을 떠났다. 공회빈은 1561년 (명종 16년) 왕세자빈이 되었으나 남편이 일찍 떠나 왕비가 되지 못하였다. 1592년 (선조 25년) 세상을 더 났는데, 임진왜란 혼란 속에서 시신이 수습되지 못했다.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신주**를 만들어 순회 세자와 합장하였다. *원 圓 : 왕의 사친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 왕세자빈, 황태자. 황태자비 등의 무덤 **신주 神主 : 죽은 사람의 위패 경릉 敬陵 (추존 덕종과 소혜..

서오릉 (소나무길/인성대군초장지)

인성 대군 초장지 仁城大君 草葬地 이곳은 조선 8대 예종睿宗의 첫째 아들인 인성 대군 (1461~1463)의 묘가 있던 자리이다. 처음 인성 대군이 세조 9년(1463)에 세상을 떠나자 의경세자 (추존 德宗)의 무덤 근처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서삼릉西三陵 경내왕자. 왕녀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현재 서삼릉 경내의 인성 대군 묘에는 봉분과 이장하면서 새로 제작한 표석이 있으며, 이곳에는 조선당시에 만든 문석인文石人 상석 牀石. 표석表石이 남아 있다. 인성 대군은 예종과 장순왕후章順王后 한 씨韓氏의 아들로 세조 7년 (1461)에 원손元孫으로 태어났으나, 세조 9년 (1463) 3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세조는 어린 손자에게 효소孝昭라는 시호를 내리고, 인성 군仁城君으로 추봉 하였다..

서오릉 (고양시)

고양 서오릉 (高揚 西五陵) 사적 제198호 서오릉은 '서쪽에 있는 다섯 기의 능"이라는 뜻으로 구리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왕실의 왕릉 군이다. 조선 7대 세조의 아들 의경세자 (추존 덕종)의 묘를 이곳에 처음으로 조성하였고, 이후 여러 왕과 왕후의 능이 조성되어 5기에 이르렀다. 서오릉 안에는 왕릉 5기 외에 2기의 원과 1기의 묘가 있다. 창릉 昌陵 : 8대 예종과 두 번째 왕비 안순 왕후 한 씨 가 동원 이강 릉 경릉 敬陵 : 추존 덕종(의경세자)과 소혜왕후 (인수대비) 한 씨의 동원 이강 릉 익릉 翼陵 : 19대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 김 씨의 능 명릉 明陵 :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 시 쌍릉**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 씨 (단릉)의 동원 이강 릉 홍릉 弘陵 ..

남양주 사릉

남양주 사릉 南楊州 思陵 사적 제209호 사릉은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 씨 (1440~1521)의 능이다. 정순왕후는 1457년 (세조 3년) 단종이 폐위되자 군부인으로 강등*되어 정업원** (현 서울 종로구 숭인동 소재)에서 생활하였다. 1698년 (숙종 24년)에 단종이 왕으로 복위 대면서 정순왕후로 복위되었고, 단종을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다 하여 능의 이름이 사릉으로 불리게 되었다. 사를 주변에는 해주정씨 묘역이 있다. 정순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해주 정 씨 집안에서 지금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고, 제사도 지내 주었다. 이후 숙종대에 정순왕후가 복위되어 군부인의 무덤에서 사릉으로 높여지면서 사릉 능역 안에 있돈 해주 정 씨 집안의 묘를 능역 밖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獻陵과 仁陵 (사적 제194호) 헌릉은 조선 제3대 태종 太宗 (1362~1422, 1400~1418 재위)과 원경왕후 민 씨 元敬王后 閔氏 (1365~1420)의 능이고, 인릉은 조선23대 순조 純祖 (17901834, 1800~1834 재위)와 순원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헌릉에 모셨고, 2년 뒤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후 1856년 (철종 7년) 경기도 파주에 있던 순조의 인릉을 현재의 자리로 옮겼고, 이듬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 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쌍릉 : 한 언덕에 왕과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형태. **합장릉 :왕과 왕후를 하나의 봉분 안에 조성한 형태. 헌릉 獻陵(태종과 원경황후) 헌릉은 조선 3대 태종..

인릉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獻陵과 仁陵 (사적 제194호) 헌릉은 조선 제3대 태종 太宗 (1362~1422, 1400~1418 재위)과 원경왕후 민 씨 元敬王后 閔氏 (1365~1420)의 능이고, 인릉은 조선23대 순조 純祖 (17901834, 1800~1834 재위)와 순원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헌릉에 모셨고, 2년 뒤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후 1856년 (철종 7년) 경기도 파주에 있던 순조의 인릉을 현재의 자리로 옮겼고, 이듬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 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쌍릉 : 한 언덕에 왕과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형태. **합장릉 :왕과 왕후를 하나의 봉분 안에 조성한 형태. 인릉 仁陵 (순조와 순원황후) 인릉은 조선 23대 ..

중랑구 선빈안씨 숙선옹주묘

선빈안씨 (善嬪安氏) 숙선옹주 (淑善翁主)묘 태종 (太宗)의 후궁. 검교 판한성부사 (判漢城府事) 안의 (安義)의 딸, 1421년 (세종3년)에 숙선옹주 (淑善翁主)로 책봉, 소생으로는 익녕군 이치 (益寧君 李袳> 태종의8남)와 소숙옹주 (昭淑翁主), 경신옹주(敬愼翁主)가 있음. 현위치 : 서울시 중랑구 공릉로 2라길 48. 산 37-3

연산군묘 - 도봉구

연산군묘 연산군묘는 조선 10대 연산군 (1476~1506. 1494~1506재위) 과 거창군부인 신씨 (1476~1537)의 묘역이다. 연산군은 성종과 페비윤씨의 아들로 태어나 1494년 왕위에 올랐다. 붓글씨를 잘 쓰고 시를 잘 지어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나 두번의 사화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반정으로 폐위 (1506년-중종1년) 되고 이복동생중종이 왕위에 올랐다. 이후 연산군으로 강등되고 강화도로 유배되어 그 해 31세로 세상을 떠났다. 1512년 (중종7년) 부인 신씨가 묘를 강화도에서 이곳으로 옮겨줄 것을 요청하여, 중종은 1513년(중종8년) 왕자의에에 따라 묘를 옮기고 양주군의 관원이 제사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왕릉보다는 간소하나 왕자의 묘제에 따라 곡장, 혼유석, 장명등, 문석인, 재..

정의공주묘역 - 도봉구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 / 시대: 15세기후반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3번지 1호 이 묘역은 양효공(良孝公) 안맹담 (安孟聃: 1415~1462)과 그의 부인 정의공주 (貞懿公主?~1477)를 합장한 곳이다. 이 묘역의 봉분은 쌍분이고, 신도비 묘표2기. 상석2기, 문인석 2쌍, 3단 게체석 등의 석물이 남아 있다. 양효공의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함길도 안망지(安望之)의 아들이다. 1428년 (세종100에 14세의 나이로 세종의 둘째딸 정의 공주와 결혼하였는데 부부의 금슬이 매우 좋았다고 전한다. 세종은 그에게 한강 가운데 있는 저자도와 낙천정을 하사하였다. 그는 초서를 잘써서 서예가로 이름이 높았고 음악과 의학에도 통달하였다. 묘역의 ..

조선왕조 계보도

조선왕릉 갯수는 총 120기에 이르는데 능이 42기, 원이 14기, 묘가 64기 라고 합니다. 그 중에서 왕과 왕비의 능은 남한에 40기, 북한에 2기가 있는데요. 북한에 있는 두 개의 능은 '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묘인 제릉'과 '정종과 정인왕후의 묘인 후릉'이 있습니다. 그리고 남한에는 40기의 능이 있는데 2009년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있는 상태입니다. 남북이 빨리 종전선언과 평화동지가 되어 남은 2기까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길 기원해 봅니다. 능, 원, 묘의 차이점은? 능은 왕과 왕후의 무덤이고, 원은 세자와 세자비, 후궁의 무덤, 묘는 그 외 왕족의 무덤을 의미합니다. 아울러 왕실 무덤의 형태도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한 분만 모시고 있는 것은 단릉 두 분을 따로 모셔서 이웃하게 배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