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4.한국학연구 46

한국사상사 입문

책소개 한국사상사학회의 구성원과 한국사 전공자 및 한국철학 전공자의 학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논문들을 엮은 책. 한국사상의 전개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한국사상사의 전모를 그려낸다. 한국사를 고대, 중세, 근세, 근대로 분류하고, 각 시대의 사회적인 문제와 이에 대한 사상적 대응양상을 분석했다. 목차 제1부 한국고대사회의 사상 한국사상의 원천, 단군신화 / 서영대 고대 왕권과 불교 / 홍윤식 불교교학의 발전, 유식과 화염 / 정병삼 원효의 교학사상과 불교의 대중화 / 김상현 삼국의 시대 위상가 유학 흥기 / 박성봉 신라 말 불교계와 구산선문의 형성 / 김방룡 제2부 한국중세사회의 이상 고려시대의 정치와 유교 고려의 도교사상 조계종의 발전과 임제종 수용 제3부 한국근세사회의 사상 성리학의 수용과 조선의 ..

코리안 디아스포라 지식정보자원

책소개 지식정보자원의 관리는 지식정보자원의 생성 및 수집단계에서부터 시작된다. 기존 지식정보자원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서 새로운 문헌정보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한 지식정보자원은 정보정리 후 축적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식정보자원관리 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자원관리 행위는 지식정보자원의 생산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적절한 지식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어디에서나 빠르게 전송하며 적재적소에 활용하게 하는 지식정보자원의 생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서비스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코리언 디아스포라 라키비움(도서관·박물관·기록관) 지식정보자원'은 곧 대한민국의 지식정보자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해외에 산재한 코리언 디아스포라와 관련된..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이민

책소개 그 많던 망국의 유민은 어디로 갔을까? 고구려는 중국의 야망과 함께 동북공정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우리 앞에 나타났다. 그들이 고구려가 한국의 역사가 아닌 중국의 지방정권이이라고 보는 근거 중에 하나는 고구려 유민이 모두 중국에 흡수되어 중국인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에 기인한다.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은 고구려 유민들의 역사를 집요하게 추적하여 풍부한 검증자료를 통해 그들의 뿌리와 현재를 밝히는 책이다. 이를 통해 이 책의 저자는 동북공정을 현재에 국한된 정치적인 문제가 아닌 역대 중국 정권이 취했던 이민족정책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다. 또한 이 책은 중국이 고구려 유민을 자신들의 역사에 강제로 편입시키는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고구려 유민은 모두 중국에 흡수되었으므로 고..

아리랑 민족의 디아스포라

책소개 “어디에 살든 언젠가는 아리랑 고개를 넘어 환향할 것을 믿는 이들”을 위한 오마주 “평생 손으로 짠 짚신만 신다가 딱딱한 서양식 군화를 신어 발이 부르튼 것이다.”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1904년 한반도를 종군 여행한 미국의 유명작가 잭 런던(Jack London1876-1916)이 발이 아파 고통스러워하는 병사들을 향해 일본 군의관이 질책하는 위의 문장을 보고 저자는 무릎을 ‘탁’ 쳤다. ‘짚신’이라는 말에서 ‘조선인’이 일본군에 동원된 것임을 직감했던 것이다. 흔히 1939년 태평양전쟁에 조선인 수십만 명이 동원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실제는 30-40년 전에 이미 일본군의 일원으로 조선인들이 동원되었음을 시사하는 장면이다. 저자는 이후 일본, 미국, 러시아, 한국의 방대한 역사기..

한반도고대전쟁사

책소개 이 책은 문명과 전쟁의 태동기로부터 고대국가 간의 항쟁과 통일전쟁, 수당제국과의 전쟁, 부흥운동과 후삼국의 쟁투까지 숱한 전쟁과 거기에 읽힌 복잡한 국제관계와 인간군상, 탁월한 지략과 용맹으로 빝나는 전쟁 영웅들, 전술과 전쟁 무기의 급속한 발전, 화려한 중장기병과 흔하디 흔한 보병에 대한 환상과 실체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 첫번째권 '전쟁의 파도'편은 중국 한나라의 주체할 수 없는 팽창욕과 고조선의 급속한 성장이 빚은 우리 땅에서 벌어진 최초의 국제전으로부터, 작은 도시국가로부터 고대국가로 성장하기까지 삼국의 건국과 성장기, 만주 한국 일본을 오고가는 고대세계의 피할 수 없고 커져만 가는 숙명적 전쟁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쇠와 불 1. 전쟁의 조건 2. 상처뿐인 영광 제..

백두산문명과 한민족의 형성

책소개 중국이 동북공정 중 발굴한 백두산 서편 옛 제단군을 모두 은폐했다? 은폐된 옛 제단에서 시작하는 배달국 맥족사 연구를 통해 백두산문명과 한민족의 태동을 밝히다! 1980년대에 중국의 동북공정이 시작된 이래 요서 지역은 중국문화의 발원지이자 동아시아 상고문화의 발원지로서 변함없는 위상을 누려왔다. 한국학계도 요서 지역에서 한국사 및 한국문화의 원류를 찾아가는 경향이다. 이 책의 저자 정경희 교수 또한 유물ㆍ유적 자료가 풍부한 요서 지역 상고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중국 측이 이미 1990년대에 10여 년에 걸쳐 요동 지역 특히 백두산 서편 통화 지역을 중심으로 맥족(한민족의 주족)의 옛 제단군을 조사ㆍ발굴했고, 처음에는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시각에 따라 옛 제단군의 존재를 크게 부각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