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7.한국민족주의 23

한국문학과 민족주의 (2000)

책소개 관료화된 제도적 폭압과 전근대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구과제를 객관적으로 조명한 논문을 모았다. '민족주의와 문화', '18세기에서 20세기초 민족담론의 변이양상', '신소설을 통해 본 근대 전환기 문학의 민족의식', '식민지 시대 문학의 민족인식과 탈식민주의 북한문학과 민족주의'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목차 1. 한국문학과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문화(한수영) 18세기에 20세기 초 민족담론의 변이양상(고미숙) 신소설을 통해 본 근대 전환기 문학의 민족의식(양문규) 식민지 시대 문학의 민족인식과 탈식민주의(나병철) 북한문학과 민족주의(신형기) 모성신화와 가족주의(권명아) 다시 생각해보는 민족과 민족문학(이현식) '민족' 담론의 미래와 가능성(차승기) 2. 자유주제논문 박두진 시에 나타난 자..

배반당한 한국민족주의 (서중석 2004) : 성균관대출판부

책소개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냉전적 사고에 기반을 둔 극단적인 우경화 현상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거니와, 이러한 현상이 합리적 판단과 균형잡힌 시각을 확보하는 데 큰 방해요인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저자는 이들의 뿌리를 추적하여 드러낸다. 극우반공정권 담당세력에 대한 비판이 이 책의 주조를 이룬다. 극단적 우파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극우라는 개념은 우리 사회에서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을 지칭할 때 흔히 ‘보수주의자’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스스로를 보수주의자로 표방하는 사람들은 저자의 논리에 의하면 결코 보수주의자로 불릴 수 없다. 저자는 그들을 극우반공주의자라고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유형 무형의 구조를 극우반공체제라고 ..

한국의 민족주의 계보와 정치

책소개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특수하다. 한국인들을 가장 강하게 결속하는 이데올로기적 규정력인 단일민족의식은 왜 생겨났으며, 민족주의가 한국사회에 끼친 공과는 무엇인가. 이 책은 재미 한인 사회학자가 위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한국인의 단일민족의식의 형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공과 과를 역사사회학적,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다룬 책이다. 종족동질성의식에 기반한 한국 민족주의의 기원을 추적하면서 그 정치적 원리와 역사적 유산을 치밀하고 광범한 연구조사로 낱낱이 밝히고 있으며, 변화하는 동북아 정세에 맞춰 새로운 민족 정체성을 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글 서문_한국 민족주의의 뿌리와 정치를 규명하며 1부 기원과 발전 1장 범아시아주의와 민족주의 2장 식민지 인종주의와 민족주의 3장 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