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한국근대사 연구 (책소개) 419

대한제국 의열 독립운동사 (2023)

책소개 1910년 우리나라는 경술국치를 맞는다. 경술국치는 경술년에 국가적 부끄러움을 당했다는 뜻이다. 즉 1910년 우리나라는 일본제국주의에 국권을 빼앗겼다. 이 책은 고종의 아내인 명성황후가 일본인들과 그 하수인 노릇을 한 한국인 반민족행위자들에게 살해된 을미사변부터 망국 직전 황현이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할 때까지 목숨을 바쳐 일제에 맞섰던 의열 독립운동의 역사를 담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 조선이 나라의 문을 닫기까지 과정을 알 수 있고, 그 시기를 뜨겁게 살았던 피끓는 선열들의 정신을 배우게 된다. 책 뒷부분은 현진건 소설 ‘고향’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루어 망국 이후 우리나라가 사람들이 겪은 참담한 수탈의 실상을 소개했는데, 그것은 현진건을 기려 매달 발간되는 “빼앗긴 고향”의 여덟 번째 책이기..

대한제국 수난사 (2023) - 제2의 징비록, <경란록>으로 보는 격동의 한국사

책소개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지금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날의 기록! 이범석은 충청도 아산에서 철종 때(1862) 출생하였고 양근군수를 지냈으며, 그 후에는 낙향하여 후진 양성과 기록을 하면서 보냈는데 사망 연도에 대한 기록은 없다. [경란록]은 이범석이 태어난 해부터 살던 기간 동안 사건들을 기록하고 평가한 역사서이다. 이범석은 직접 경험한 사건들을 들려주는 것같이 생생하게 기록했다. 기록 중에는 이범석이 잘못 알고 기록한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며 잘못 알고 기록한 부분은 추가적인 설명을 보충했다. [경란록] 원본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해석본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에 올려져 있다. 이범석은 [경란록]에서 60여 년을 ..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2023)

책소개 격동의 시기에 마지막 황실은 어땠을까 대한제국 왕녀가 들려주는 특별한 가족 이야기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은 고종 황제의 손녀이며 의친왕의 딸인 이해경 왕녀가 자신을 비롯한 황실 가족의 삶을 회고한 책이다. 저자는 세 살 때부터 궁에 살면서, 예절과 법도를 중시하는 궁궐 생활과 개화된 바깥세상 사이를 오가며 자랐다. 왕녀로 지낸 시간과 일제 강점기,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학창 시절, 해방을 거쳐 6·25전쟁까지의 혼란 등을 고스란히 기록했다. 더불어 우리가 알지 못했던 대한제국 황실과 구한말의 숨겨진 역사를 황실 가족의 일생을 통해 재조명했다. 대한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황실의 일가는 저마다의 삶을 이어 가야만 했다. 또한 의친왕, 덕혜옹주, 이우 공 등 많은 황실의 가족이 망국의 설..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이은 (2012) - 소설

책소개 이미 사람들 사이에서 그 이름마저 잊혀진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이은. 그가 드디어 소설로 우리에게 돌아왔다! 고종 황제가 끔찍이도 사랑했던 막내아들은 어느덧 우리들의 마음속에서 사라져버리고 말았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음모에 의해 말살될 수밖에 없는 운명을 짊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길을 묵묵히 걸었던 황태자의 모습을 작가는 특유의 필치로 담아내고 있다. 거의 평생에 걸친 일본에서의 볼모 생활, 아버지 고종 황제의 의문의 죽음, 강요된 일본 황녀와의 정략결혼, 첫 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 등…… 고백조차 쉽지 않았던 탓인지 변변한 일기장 하나조차 남기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린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를 이르러 후세의 사람들은 ‘인내의 황태자’, ‘침묵의 황태자’라고도 부른다. 100여 ..

마지막 황태자 세트 (2012) - 영친왕 이은과 조선의 마지막 황실 가족사

책소개 못생긴 엄상궁과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이은 격랑 속 대한제국 황실 이야기 망국의 고통을 온몸으로 겪어낸 대한제국 황실 이야기 네 권-『못생긴 엄상궁의 천하』,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왕세자 혼혈결혼의 비밀』, 『평민이 된 왕 이은의 천하』. 『윤동주 평전』을 통해 “견고한 작가이며 사학자”(고은)임을 인정받은 송우혜는 이번에도 역시 풍부한 자료 섭렵과 빈틈없는 고증으로 대한제국과 마지막 황태자 연구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폭넓은 식견, 독보적 연구, 방대한 문헌자료를 통해 마지막 황태자 이은의 생애와 그 시대를 재현해 낸다. 더욱이 이 책은, 정확한 역사 해석을 위해 만년의 나이에 같은 주제로 박사학위에 도전하기까지 한 저자가 혼신의 공을 들인 10년간의 결과물이다. 특히 저자..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2010) - 마지막 황태자 2

책소개 2010년은 대한제국의 주권과 인권을 일제에 빼앗긴 경술국치로부터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래서인지 지나간 아픔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시대의 청산을 위한 학술적 노력이 활발히 일어난 한 해이기도 하였다. 「마지막 황태자」시리즈는 시대적인 소용돌이의 중심부에서 망국의 고통을 온몸으로 겪어낸 대한제국의 황실의 이야기이다. 저자는 풍부한 자료 섭렵과 빈틈없는 고증으로 대한제국과 더불어 지금껏 주목받지 못했던 마지막 황태자 '이은李垠'의 생애를 완벽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1907년 7월 고종이 태황제로 물러나고 순종이 새 황제로 등극하자, 영친왕 이은은 황태자로 책봉된다. 2권에서는 이러한 정치적 격변의 시기에 초대 한국 통감이었던 이등박문이 황태자 이은을 이용해 대한제국을 일본에 병합시키려 한 술수..

망국과 흥국 (2012) - 19세기 말 한국과 일본

목차 들어가는 말 I. 잠에서 깨어난 일본, 오밤중 속의 조선 II. 부국강병과 골육상잔 III. 신켄쇼부(眞檢勝負)와 암투·중상모략 IV. 주권선과 이익선 V. 유린되는 조선의 궁궐 VI. 권력의 부패→민중의 항거→戰場化(전장화) VII. 일본 깡패들의 '여우사냥' 그 후 VIII. 가쓰라·태프트 밀약→제3차 영·일동맹→러·일협약 IX. 1만 엔에 팔린 외무대신 이지용 X. 래산된 한국군, 일본군과 시가전 XI. 買國者(매국자)와 매국노들 XII. 망국 참고문헌

대한제국과 국제환경 (2005) - 상호인식의 충돌과 접합

책소개 전통적인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근대적인 질서로 전환되던 시기, 한국인들의 세계인식과 밖에서 보는 한국인식을 검토했다. 크게 3부로 구성하여 1부에서는 시대적 배경을 서술한다는 입장에서 1894년 열강의 한반도 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검토하였고, 2부에서는 대한제국의 등장과 함께 변화하는 국제환경 아래에서 조선인들의 대외 인식 변화를, 3부에서는 일본의 조선정책 입안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였던 관료와 정치가, 그리고 서구인들의 조선 인식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던 외국인의 기록을 검토하였다. 목차 1부 1894년 조선과 동아시아 1장 1894 농민전쟁과 열강의 동향 2부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타자인식 2장 독립협회의 정체론 및 외교론 :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3장 민영환의 대외인식과 개혁론 연구 4장 러일전..

한국 병합 논쟁을 넘어, 다시 살핀 대한제국의 궤적 (2024)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서장. 중화 질서 속의 조선 왕조 1. 조선은 속국인가: 청조에 대한 불신과 소중화사상 2. 조약 체제하의 〈속국〉: 일본·서양과의 조약, 청의 요구 3. 조선이 바라는 〈자주 독립〉이란: 갑신정변의 실패 제1장. 진정한 독립 국가로: 1894~1895년 1. 청일전쟁의 발발: 조선을 둘러싼 전쟁 2. 갑오개혁: 개혁과 외세 3. 종속 관계의 종언: 홍범 14조 서고 제2장. 조선 왕조로부터 대한제국으로: 1895~1897년 1. 을미사변, 아관파천: 국왕 고종의 방황 2. 〈황제〉 즉위의 열망: 구본신참의 구현 3. 대한제국의 성립: 준비된 〈중화 황제〉 제3장. 새 국가상의 모색: 황제와 지식인의 협화와 불화 1. 독립협회 결성: 개화파 지식인들이 지향한 것 2. 황제의..

전근대 한국의 감옥과 행형 (2023)

목차 제1장 형률 제2장 재판 1. 재판기관 2. 재판절차 가. 결옥일한(決獄期限) 나. 수금(囚禁) 다. 고신(拷訊) 라. 삼복(三覆) 마. 증질(證質) 바. 공초(供招) 사. 고소 아. 검험(檢驗) 자. 소원 차. 한포연한(限捕年限) 카. 법정(法廷) 제3장 감옥(監獄) 1. 관제(官制) 2. 설비 제4장 구금 제5장 행형(上) 1. 재재형(制裁刑) 가. 사형(死刑) 나. 체형(體刑) 다. 유형(流刑) 라. 도형(徒刑) 2. 고문형(拷問刑) 가. 법외의 고문형 나. 법정 고문제도 제6장 행형(下) 1. 형구 2. 행형법규 가. 감옥규칙 나. 감옥규칙 다. 감옥세칙 라. 「형법대전」 중 행형에 관한 규칙 3. 행형시설 가. 징역표 제정 나. 지방 각 도 죄수 식비, 피복비, 압뇌(押牢)급료 다. 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