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한국정치의 이해 (책소개)/5.포플리즘정치 22

포플리즘 (2022)

책소개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는 어떠한가? 그동안 한국에서는 ‘populism’의 번역어로 ‘대중영합주의’, ‘대중주의’, ‘민중주의’, ‘인민주의’ 등을 써왔지만 이제는 학계에서나 미디어에서나 그냥 ‘포퓰리즘’으로 쓰는 추세다. 카스 무데와 크리스토발 로비라 칼트바서 교수가 집필한 『포퓰리즘』은 유럽의 극우 정당, 라틴아메리카의 좌파 대통령, 미국의 티파티 운동 같은 현대의 대표적 포퓰리즘 운동을 개관함으로써 이 이데올로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또한 포퓰리스트 지도자들의 모호한 개성을 파고들어 포퓰리즘 운동이 어떻게 민주주의에 도전하는지 조명한다. 나아가 포퓰리즘 정치의 수요와 공급, 포퓰리스트 지도자,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포퓰리즘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포괄적이고 다면적으로..

보수를 노동계급의 브랜드로 연출하기 (2022) - 폭스 포플리즘

책소개 폭스뉴스는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 방송사다. CNN과 MSNBC보다 높은 시청률을 자랑하고, 공화당에 미치는 영향력도 무시하지 못할 만큼 상업적·정치적으로도 성공했다. 폭스뉴스와 같이 보수를 이념으로 내세운 언론은 종종 현실을 왜곡해 시청자들을 기만하고 거짓 의식을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그리고 이들의 시청자들은 편협하거나 반지성적인 사람들로 간주되곤 한다. 하지만 정말 그렇기만 할까. 이 책의 저자는 묻는다. 폭스뉴스의 방송인들은 노동계급 페르소나와 다양한 장치들을 이용해 평범함을 연출하고, 대중의 언어와 스타일로 자신들의 논점을 전달하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었다. 저자는 폭스뉴스의 성공 비결은 여기에 있다고 말한다. “폭스뉴스의 진정한 이념적 힘은 폭스가 내세우는 논점 그 자체가 아니라 오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