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6.한일관계신간 15

근세 조일관계와 울릉도 (2016)

책소개 조선시대 한일관계의 역사 속에서 울릉도를 바라보다 현재 한일관계의 큰 쟁점인 독도문제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울릉도’를 둘러싼 대립의 역사가 나오고 안용복과 박어둔의 이름이 언급된다. 그러나 울릉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관계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대단히 얕다. 오랫동안 한일관계 속에서 울릉도(독도) 역사를 연구해 온 동북아역사재단의 윤유숙 박사가 울릉도(독도) 문제에 대한 우리의 역사인식을 한 단계 높이고 환기시켜줄 책을 출간하였다. ‘역사 속의 울릉도’를 들여다보면 그것이 조일관계라는 커다란 틀 속의 일부라는 점을 어렵지 않게 깨닫게 된다. 다만 역사 속의 울릉도에 대한 우리의 본격적인 연구와 지식이 대단히 부족할 뿐이다. 동해안과 산인지방을 연결하는 경로에 관한 연구는 쓰시마를 매개로 한 경..

고대일본의 대한인식과 교류 (2014)

책소개 동북아역사재단 역사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인 연민수 박사가 지난 10년간 발표한 논문 중 19편을 정리한 결과물로, 고대 한일관계사에 대한 저자의 기본 관점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일본 고대 사료에 나타난 편찬 이념과 배경, 한반도 제국에 대한 인식을 엄정하게 사료 비판하였으며, 이를 통해 역사왜곡의 근원을 파악하고 올바른 고대한일관계사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더불어 최근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로 한일관계가 냉각된 상황에서 양국 관계를 불편하게 만들고 있는 역사문제의 근원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1부. 고대일본의 대한교류와 인식 고대일본의 가야관의 형성과 변용 『일본서기』의 백제인식과 번국사상 고대일본의 고구려관 일본율령국가의 신라관의 형성과 실태 발해·일본의 교류와 상호인식 -국서의..

조선시대 해양국가와의 교류사 (2014)

목차 머리말 제1부 일본과의교류 제1장 조선 전기의 대일관계 제2장 임진전쟁의 전개와 의의 제3장 조선 후기의 대일관계 제4장 통신사외교와 외교의례 문제 제5장 개항기의 한일관계 제2부 유구·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교류 제1장 유구와의 관계 제2장 유구와의 문물 교류와 상호인식 제3장 동남아시아의 교류 제4장 19세기초 유럽과의 교류

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 (2015) - 멸치를 통해 본 조선의 어업 문화와 어장 약탈사

책소개 한국 근대를 상징하는 멸치, 멸치에 숨은 식민 지배의 역사 멸치는 우리 밥상머리에 없어서는 안 될 식재료이며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선시대 멸치는 지역에서 소비되고 유통되는 ‘작은 물고기’에 지나지 않았으며 학질을 일으키는 물고기로 터부시되기까지 한 ‘천한 물기고기’였다. 그러던 것이 멸치를 비료[魚肥]로 삼는 일본인들이 조선 어장에 등장하고 일본 정부의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조선의 멸치어장에 어업근거지를 건설하면서 멸치는 가장 잘 팔리는 물고기의 하나로 부상하기에 이른다. 『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는 한국 어업사의 전개 과정에서 멸치가 주요 어종으로 자리매김하는 숨은 그리고 아픈 역사를 살피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조선에서 멸치는 뭐라고 불렀을까? 물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