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종교의 이해 (책소개)/6.종교철학 30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철학 (2015)

책소개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철학』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출판부(Edinburgh University Press)에서 출판된 An Introduction to Wittgenstein's Philosophy of Religion을 번역한 것으로, 샌디에이고대학 조교수인 브라이언 R. 클락이 저술하였다. 그리고 부산대학교 철학과에서 종교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이미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철학을 다룬 『비트겐슈타인의 종교관과 철학』을 저술한 바 있는 하영미 선생이 번역을 맡았다. 비트겐슈타인의 주저인 『논리-철학 논고』와 『철학적 탐구』 등을 처음 접하면 대개 영적인 삶에는 어울리지 않는, 차갑고 기술(技術)적인 철학이라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

합리적인 신앙을 위한 종교철학담론 (2016)

목차 개정증보판 2쇄 서문 개정증보판 서문 서문 서론 제1장 철학은 신학을 위해서 유용한가? 제2장 종교철학이란 무엇인가? 제3장 내가 아는 것이 진리인가? 제4장 종교란 무엇인가? 제5장 세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6장 신의 존재는 증명될 수 있는가?(1) 제7장 신의 존재는 증명될 수 있는가?(2) 제8장 악마란 무엇인가?(1) 제9장 악마란 무엇인가?(2) 제10장 언어철학이란 무엇인가? 제11장 인간은 어떻게 신과 의사소통 하는가? 제12장 과학과 종교는 서로 상충하는가? 제13장 이성과 신앙은 서로 상충하는가? 제14장 인간은 죽은 뒤에도 존재하는가? 제15장 종교 다원주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16장 결론: 합리적인 신앙 참고문헌

릭켄의 종교철학 (2010)

책소개 4년간에 걸친 번역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릭켄의 종교철악에서는 빼어난 철인들의 종교적인 통찰이 깊이 있게 담겨있다. 프리도 릭켄은 고대철학, 윤리학, 영미분석철학 그리고 종교철학을 그의 주요한 연구영역으로 삼았던 철학사 전반에 정통한 신부였다. 그는 평생에 걸친 다상량의 독서를 통해 이 책을 저술했다. 책에는 단순한 종교철학적 사유를 개관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비판적인 물음들과 그에 대한 가능한 대답들을 통해서 과거의 현자들과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 프리도 릭켄의 사유를 맛볼 수 있다. 목차 도입 A. 사유에 한계를 짓기: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B. 종교적 근본행위 : 윌리엄 제임스 C. 종교와 과학: 찰스 샌더스 퍼스 D. 종교, 철학, 이성: 존 헨리 뉴먼 E. 자연적 종교와 계시된 종교:존 헨리..

카발라 : 히브리 종교철학 (2023)

책소개 이 책은 유대 신비 가르침인 카발라의 사상을 가장 많이 담고 있는 “조하르”와 “창조의 서”를 많은 종교, 철학 자료를 비교 연구하여 카발라의 기원을 탐구하고 카발라 교리의 특성을 자세히 보여준다. 저자는 카발라에 대한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유대교 사상, 플라톤 철학, 알렉산드리아 학파 사상, 필론 사상, 그리스도교 교리, 영지주의 사상, 바빌로니아와 페르시아 사상을 깊게 탐구하여 카발라의 기원을 찾아 나선다. 목차 서문 1편 카발라 서적 1장 카발라의 고대성 35 2장 창조의 서의 진실성 49 3장 조하르의 진실성 57 2편 카발라 교리 분석 4장 창조의 서 93 5장 조하르: 카발라의 비유적 방법 107 6장 조하르: 신의 속성에 대한 카발라 사상 113 7장 조하르: 세상에 대한 카발라 사상..

신의 역사 (2023) - 신의 탄생과 정신의 모험

책소개 “인간은 자기가 누구인지 깨닫자마자 신을 찾고 숭배하기 시작했다” 인간의 정신은 왜 그토록 신에게로 향하는가? 인류의 역사는 ‘신’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신 안에서 안식을 얻기 전까지 모든 영혼은 불안하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이나 “신이 존재한다면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사르트르의 선언은 인간의 삶에서 신이 차지하는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신은 고통스러운 삶 한가운데서 위안과 위로를 주는 존재였고, 억압적 관념에 인간을 묶어놓고 자유와 해방을 가로막는 존재이기도 했다. 인간의 정신은 왜 신에게로 향하는 걸까? 기원전 2000년경부터 현재까지 4천 년간 수많은 문명과 나라가 소멸하고 태어나는 격렬한 역사의 진동 속에서 신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세계적인 종교학자 카렌..

축의 시대 (2010) - 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

책소개 인간의 창조성이 가장 뜨겁게 폭발했던 '축의 시대' 문명 진화의 결정적 순간에 관한 인문학적 통찰의 향연 『축의 시대』는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이 탄생한 인류사의 가장 경이로운 시기를 다룬 역사서이다. 이 시대에 중국에서는 공자, 묵자, 노자가 활동했고 인도에서는 「우파니샤드」, 자이나교, 고타마 싯다르타가 등장했으며, 이스라엘에서는 엘리야, 예레미야, 이사야가 나타났고 그리스에서는 소포클레스, 소크라테스, 플라톤이 차례로 태어났다. 이 책의 저자는 이 시기가 인류의 정신적 발전에서 중심 축을 이룬다고 믿는다. 이 책에서 저자는 '축의 시대' 네 민족(인도, 이스라엘, 중국, 그리스)이 서로 교류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비슷한 시기에 놀라운 사유의 혁명..

종교철학 (2016) - 기독교 신앙의 철학적 조명

책소개 자신의 믿음과 신앙을 합리적으로 생각하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앙인들에게 본서는 기독교 신앙의 이성적 논의나 사변적 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북미 지역에서 본서는 기독교의 입장에서 종교철학을 다루는 대표적인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철학의 관점에서 기독교 신앙을 변론하는 것뿐만 아니라 논증하면서 기독교의 진리를 확신하게 해 준다. 과거의 자료뿐만 아니라 새로운 자료를 소개하고 있으며, 신학이나 종교철학에 관심을 가진 일반 평신도들에게도 종교철학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추천사1 윤원준 박사(침례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4 추천사2 장왕식 박사(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 교수) 8 제2판 서문 10 역자 서문 13 제1장 : 종교철학이란 무엇인가? 1..

해석학 1 .2 : 앎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2020) - 자기 강박으로부터의 해방을 향한 해석학

책소개 앎의 속임이라는 문제를 비판하고 삶의 해방을 도모하는 기획이 1권을 만들었다면, 2권에서는 앎의 위치에서 작동하고 있는 믿음의 문제를 다룬다. 믿음도 앎의 차원에 머무르는 한 만만치 않게 우리를 속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권은 믿음을 인간의 정신적 영역으로만 추려왔었던 종교전통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하여 결국 삶에서 믿음의 뜻을 다시금 길어내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구체적으로 종교를 교리나 윤리로 추려왔던 종래의 이념체계가 삶의 현실을 억압해왔다고 고발하고 대안으로 불안한 현실에서 자유를 향한 실존으로서 믿음의 뜻을 일구려는 시도에서 시작한다. 그리고는 이런 터전 위에서 신의 계시도 교리나 윤리로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행동하게 하는 힘의 원천으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통찰로 나아간다..

헤겔의 종교철학 (2022)

책소개 “아시아 사유의 틀에서 전개된 신학” 종교철학은 여러 종교 전통에 내포되어있는 주제와 개념들을 다룬다. 이 주제나 개념은 신이나 궁극적 실재의 개념 문제, 우주나 자연법칙, 세계관이나 인간의 본성과 관련한 종교적인 이해와 해석의 문제 등이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인 ‘종교철학’ 강의는 1821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던 ‘종교철학’ 강의의 마지막 것이다. 그의 제자들이 남긴 사본을 토대로 네 강의를 한편으로 편집했지만, 헤겔의 《종교철학》을 정확하게 통찰하고 연구할 수 있는 비평 연구판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세 권으로 편집되어 출판될 수 있었고, 이 책은 그 비평 연구판을 한글로 풀어낸 책이다. 목차 추천사 / 최신한, 정재현 서문 / 피터 C. 하지슨 문헌 주해 제1부 | 헤겔 ..

헤겔의 종교철학 입문 (2023)

책소개 헤겔철학을 전공한 역자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헤겔 종교 철학”에 관한 가장 중요한 저서 중 한 권을 변역하여 펴냈다. 역자의 말을 빌리면, 이 책의 제목은 『헤겔의 종교철학 입문』이지만 ‘입문’이라고 하기에는 그 논의의 넓이와 깊이가 초심자를 당혹케 할 만큼 크고, 이 책이 주는 문헌적 정보는 헤겔 연구자조차 놀라게 할 만하다. 즉, 이 책은 『종교철학』을 둘러싼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종교적 문화의 맥락 안에서, 그리고 특히 헤겔 전체 체계의 구조적 맥락 안에서 외재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헤겔의 『종교철학』이 탄생한 역사성과 사회성과 체계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헤겔의 철학을 보다 근원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더 이상 그의 철학과 종교를 분리시켜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