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교육의 이해 (책소개)/1.교육학일반 33

교육철학 및 교육사 탐구 (2022)

책소개 이 책 『교육철학 및 교육사 탐구』는 교육철학 및 한국과 서양의 교육 아이디어의 역사를 탐구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교육사, 서양교육사, 교육철학의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는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 끝에는 탐구문제를 두어 독자가 각 장을 잘 이해하거나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제1부 한국교육사 부분(안경식 집필)은 고대사회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근·현대기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를 교육제도사와 교육사상사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제2부 서양교육사 부분 (김상섭 집필)은 교육의 정신적 고향이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초기 로마부터 근대 태동까지의 교육, 근대의 교육, 20세기 이후 현대의 교육을 거치면..

교육철학 및 교육사 (2019)

책소개 『교육철학 및 교육사』는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서양교육사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중세 기독교 교육과 세속 교육, 근대의 다양한 교육사조(인문주의에서 신인문주의까지), 20세기 미국의 현대 교육사조를 망라하였다. 제2부는 한국교육사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 고대사회의 교육, 삼국 및 남북국 시대의 교육, 고려시대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서구 교육의 유입과 근·현대 교육을 풍부한 사료를 바탕으로 자상히 기술하였다. 특히 기존의 교재에서 다루지 않은 남북국시대의 교육과 비교적 심화해서 다루고 있는 조선시대의 성리학 및 실학 교육사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3부는 교육철학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교육의 개념과 교육목적론, 교육의 윤리적 차원과 사회철학적 차..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2020)

목차 제1부 한국교육사 탐구 제1장 교육사 탐구의 의의 제1절 교육사의 정의 제2절 교육사 연구의 목적 및 효용성 1. 교육사 연구의 목적 2. 교육사 연구의 효용성 제3절 교육사 연구의 태도 1. 진리에 대한 헌신 2. 초연한 자세 25 3. 비판 및 개방정신 제4절 교육사의 연구 영역 1. 교육사상사 연구 2. 교육제도사 연구 제2장 원시시대의 교육 제3장 고조선의 교육 제4장 삼국시대의 교육 제1절 고구려의 교육 1. 태학 2. 경당 제2절 백제의 교육 제3절 신라의 교육 1. 화랑도 교육 2. 국학 3. 독서삼품과 4. 교육사상가 제4절 발해의 교육 제5장 고려시대의 교육 제1절 관학 1. 국자감 2. 향교 3. 학당 제2절 사학 1. 12도.. 2. 서당 제3절 과거제도 1. 과거제의 도입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