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중국.동아시아 이해 (책소개)/2.한중관계

주제로 보는 조선시대의 한중관계사

동방박사님 2022. 9. 22. 09:29
728x90

소개

시간의 흐름으로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역사의 행간에 숨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
려면 주제를 통해 역사의 구석구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15~19세기의 한중관계사
를 정치·군사, 사행·외교, 경제·문화의 3개 분야로 나누고 다시 9개 주제를 선별하여 분석하
였다. 이 책은 중국 측 왕조의 변화가 가져온 관계사의 변화상과 양국의 관계사에서 조선이
취했던 주체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14세기에서 15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성립되어 이
후 상당 기간 지속된 한중 관계를 조공 관계의 ‘전형’으로 이해했던 과거의 인식이나 ‘종번 관
계’로 정리하려는 근대의 인식을 넘어 역사적 실상을 좀 더 유연하면서도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이 시대사에서 다루지 못한 부족한 틈을 메우고 역사를 이해하는 보다 다양한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Ⅰ부 정치?군사
Ⅰ-1. 명 질서와 청 질서■차혜원
1. 머리말
2. 명대 예제 질서의 명분과 현실
1) 조공 관계의 다면성
2) 조공 일원화의 그늘
3) 흔들리는 국제 관계
3. 대청제국의 세계 구상
1) 화이일가의 꿈
2) 『열하일기』에 나타난 청 질서
3) 동남 해역의 호시
4. 맺음말
Ⅰ-2. 전쟁과 파병■한명기
1. 머리말
2. 전쟁
1) 임진왜란
2) 병자호란
3. 파병
1) 15세기의 파병
2) 17세기의 파병
4. 맺음말
Ⅰ-3. 경계와 국경■김형종
1. 머리말
2. 19세기 후반 조선 빈민의 월간과 영토 분쟁의 발단
3. 제1차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
4. 제1차 공동감계 이후 양국의 교섭
5. 제2차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
6. 제3차 공동감계의 무산과 청의 조선 월간민 장악 시도
7. 맺음말
제ⅠⅠ부 사행?외교
Ⅱ-1. 명의 환관 외교와 청의 기인 외교■조영헌
1. 머리말
2. 청의 기인 외교 원칙
3. 명 전기의 환관 외교 …
4. 명 중엽 이후의 문신 외교 …
5. 환관 외교와 기인 외교의 유사점과 차이점
Ⅱ-2. 연행록과 사조선록■홍성구
1. 연행록과 사조선록의 명칭과 범주
2. 연행록과 사조선록의 자료적 가치
3. 한국 학계의 연행록 연구: 『연행록연구총서』에 수록된 연구를 중심으로
4. 중국 학계의 연행록 연구
1) 명?청에 대한 인식과 화이관의 변화
2) 외교 교섭과 교류
3) 중국 사회와 문화
4) 동북사?만주사 연구
5. 연행록과 사조선록 연구의 전망
Ⅱ-3. 문서 외교와 언어 외교■홍성구
1. 머리말
2. 문서 외교
3. 언어 외교
4. 맺음말
제ⅠⅠⅠ부 경제?문화
Ⅲ-1. 은(銀) 유통과 인삼■정혜중
1. 머리말
2. 15세기 조공 무역에서의 은과 인삼
1) 해금과 조공 무역
2) 수도 북경의 경제와 조선의 은
3) 명에 보내는 공납품, 인삼
3. 16세기 중국에 유입된 조선 은, 일본 은, 스페인 은
1) 공무역과 사무역에서의 은
2) 조선의 인삼
3) 일본과 스페인 은의 중국 유입
4. 17~18세기 조선의 은과 인삼, 그리고 중국 교역
5. 맺음말: 19세기 대외 무역과 홍삼
Ⅲ-2. 「중조상민수륙무역장정」과 화교■김형종
1. 머리말
2. 「무역장정」의 성립 배경
3. 「무역장정」의 의정(議定) 과정
4. 「무역장정」의 반포와 ‘속방’ 규정
5. 「무역장정」의 내용과 불평등성
6. 후속 「무역장정」의 성립과 화교의 형성
7. 맺음말
Ⅲ-3. 명?청 시대 조선의 중국 사상 수용 양상■계승범
1. 머리말
2. 14~15세기 주자학 적극 수용
3. 16세기 양명학 배척
4. 17~19세기 고증학의 일부 수용과 배격
5. 17~19세기 천주학(교) 수용과 배척
6.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 소개

 
편찬 책임자 박장배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장 집필진 조영헌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대운하와 중국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민음사, 2011), 『조선시대 한중관계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하버드 중국사 원?명: 곤경에 빠진 제국』(번역, 너머북스, 2014), 『바다에서 본 역사: 개방, 경합, 공생-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공역,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