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중국.동아시아 이해 (독서)/2.한중관계

한중관계 역사와 진실

동방박사님 2022. 10. 4. 07:20
728x90

책소개

2012년은 한중외교 20주년이었다. 이념의 장벽을 걷고 ‘중화인민공화국’과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이제 20년이 지난 것이다. 역사적으로 사회주의 이전의 중국과도 1899~1905년 청국과 대한제국 사이의 6년이 근대적 외교관계 수립의 전부이다. 역사적으로 참으로 특수했던 한중관계를 이 책은 외교와 상호인식 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식민지시대와 분단시대를 포함하는 지난 100여 년의 양국관계가 한반도를 둘러싼 대국들 간의 경쟁과 어떻게 연동되어 있으며 이웃나라들의 사정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중국과 타국 간의 관계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와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현재의 한국 및 대만의 인식 등을 논의하였다.

목차

서장 중국의 지연된 근대외교와 한중관계 - 유용태

제1부 한중 근대외교의 형성과 전개

제1장 한중 근대외교의 실험(1895~1905) - 이은자
제2장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중화민국의 외교관계(1912~1945)- 배경한
제3장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의 외교관계(1948~1992): ‘형제지방(兄弟之邦)’에서 ‘흉지지방(兇地之邦)’으로 - 손준식
제4장 북한-중국 국경문제 해결에 관한 역사적 고찰(1950~1964) - 선즈화

제2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상호인식의 변화

제1장 개혁개방 이후 중국인의 한국인식 - 왕위안저우
제2장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인의 중국인식의 변화 - 백영서
제3장 냉전시기 한국인의 대만인식: 일간지의 대만 관계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정문상
제4장 대만에서의 중국인 정체성의 우여곡절과 전망 - 정훙성
제5장 현대 중국의 핵정책과 일본의 평화운동 - 마루카와 데쓰시
 

출판사 리뷰

한중 근대외교의 역사, 그리고 부상하는 중국

2012년은 한중외교 20주년이었다. 이념의 장벽을 걷고 ‘중화인민공화국’과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이제 20년이 지난 것이다. 역사적으로 사회주의 이전의 중국과도 1899~1905년 청국과 대한제국 사이의 6년이 근대적 외교관계 수립의 전부이다. 역사적으로 참으로 특수했던 한중관계를 이 책은 외교와 상호인식 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식민지시대와 분단시대를 포함하는 지난 100여 년의 양국관계가 한반도를 둘러싼 대국들 간의 경쟁과 어떻게 연동되어 있으며 이웃나라들의 사정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중국과 타국 간의 관계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와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현재의 한국 및 대만의 인식 등을 논의하였다.


북한과 중국의 국경문제 논쟁, 중국은 왜 쉽게 양보했나?

1950~1960년대 중국과 북한 양국의 국경문제 처리문제는, 국경문제 처리에 관한 국제법상의 일반 원칙에 따라 역사상 이미 체결된 국경조약에 근거해 볼 때 중대한 국경문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북한의 예상치 못한 요구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단 6개월간의 협상을 거쳐 북중 국경의정서를 체결하였다. 마오쩌둥은 국가의 근본 이익이 달린 영토와 국경문제에서 왜 그토록 쉽게 양보했는가. 객관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는 당시 중국이 처한 국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김일성의 정치적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 마오쩌둥은 북한이 제시한 영토에 관한 요구를 들어주게 된 것이다.


무역의 동반자이자 경쟁국가, 역사문화의 공유와 인식 충돌 속에서

개혁개방의 시대, 중국의 한국연구는 시종 미미한 지적 수준에 머물러왔고 진정 한국을 이해하는 전문가가 부족한 데다가 연구태도 또한 지나치게 실리 위주여서 항상 중국이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필요에만 입각해 있었다고 판단된다. 한편 현재 중국은 한국인의 대외인식 중 매우 중요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한국인의 뇌리 속 중국 이미지의 변화는 완만하고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처럼 신속하지 못하다. 중국의 흥기가 동아시아발 세계의 구조적 대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는 이때, 어떤 요소들이 한국과 중국의 상호인식의 걸림돌이 되어 있는가?


이 책의 구성

1부에서는 조선에서의 상업적 이득을 지키기 위한 청국의 노력, 중화민국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간의 지원과 갈등 관계, 반공동맹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이승만과 장제스의 경쟁, 북한과 중국 간의 ‘국가 대 국가’(國際)의 관계를 대신한 ‘당 대 당’(黨際)의 특수 관계 등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중국의 한국인식이 한미동맹의 강도와 연동되어 있으며 극히 근시안적이고 피상적이라는 사실, 근대 이래 한국의 ‘천한 중국’상이 수교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특히 ‘동북공정’을 계기로 강화된 사정, 한국의 대만인식이 동아시아 냉전질서의 형성·균열과 연동되어 변화한 사정, 스스로를 중국인으로 여겨온 대만인의 절반이 이미 중국인이기를 거부하고 있는 사정과 그들의 눈에 비친 대륙 중국, 중국이 소련으로부터의 자립을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국방경제 전략으로서 핵무기 개발을 추진한 사정을 드러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