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중국.동아시아 이해 (독서)/6.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100년사 (1921~2021)

동방박사님 2022. 10. 5. 07:16
728x90

책소개

올해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중국공산당은 창당된 지 28년만인 1949년 중국을 통일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했다. 그리고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중국 굴기’의 기치 아래, 미국과 자웅을 겨루는 G2로 부상하였다. 중국을 알아야 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현대 중국의 역사는 바로 중국공산당의 역사다. 현대 중국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중국공산당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본서는 중국공산당 100년(1921-2021)의 역사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필자는 100년의 역사를 한 권의 책으로 담아낸다는 것이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중국공산당 100년의 수많은 사건과 이슈를 쉽게, 그리고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권으로 묶은 책이 없는 것 또한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에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목차

제 1 부 중국공산당의 창당과 혁명의 시대(1921∼1949)

제1장 중국공산당의 성립 배경과 창당
1. 20세기 초 중국에 밀어닥친 도전과 과제
2. 신해혁명의 좌절과 신문화운동의 전개
3. 5?4운동과 마르크스주의 전파
4. 코민테른의 지원과 중국공산당 창당

제2장 제1차 국공합작과 국민혁명
1. 제1차 국공합작과 대혁명의 흥기
2. 북벌 전쟁의 승리와 제1차 국공합작의 결렬
3. 중국국민당과 장제스의 북벌 완성

제3장 토지혁명과 농촌의 도시 포위 전략
1. 난창봉기와 징강산 근거지 건설
2. 혁명운동의 부흥과 국민당군에 대한 반(反)토벌 작전
3. 왕밍의 ‘좌’적 착오와 혁명운동의 좌절
4. 장정 중 쭌이회의에서 마오쩌둥 당권 장악
5. 장정의 종결과 혁명의 성지 옌안

제4장 항일전쟁과 민족통일전선 구축
1. 시안사변과 항일 민족통일전선의 구축
2. 일본군의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
3. 적 후방 전장 구축과 공산당의 독립자주원칙 견지
4. 국공 관계의 악화와 신민주주의론 주창
5. 근거지 건설의 강화와 정풍운동 전개
6. 제7차 당 대회와 마오쩌둥 사상의 확립

제5장 국공내전과 공산당의 승리
1. 제2차 세계대전 후 중국의 진로와 충칭담판
2. 공산군의 전략적 방어와 제2전선의 투쟁
3. 해방군의 전략적 공세와 토지개혁
4. 3대 전투의 승리와 국민당 통치의 쇠멸
5. 7기 2중전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
6. 공산당은 어떻게 국민당에게 승리할 수 있었는가?

제2부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후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공산당(1949∼1978)

제 1장 신국가 건설과 신민주주의 혁명의 완성
1.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과 신국가 건설
2. 영토상의 완전한 통일과 경제체제 정비
3. 강력한 대중동원과 신민주주의 개혁

제2장 과도기의 총노선과 제1차 5개년계획
1. 과도기 총노선을 위한 중앙권력의 강화
2. 중앙권력에 대한 가오강과 라오수스의 반당 음모
3. 헌법제정과 국가체제의 정비
4. 제1차 5개년계획 추진의 결과와 당내 이견 대립
5. 스탈린 격하 운동과 대명 대방
6. 제8차 당 대회와 마오쩌둥의 권위 추락

제3장 대약진운동과 급진 ‘좌’경정책
1. 대약진운동과 좌경 모험 지향
2. 루산회의와 노선대립
3. 펑더화이의 실각과 린뱌오의 부상

제4장 조정정책과 노선대립
1. 대약진운동의 실패와 조정정책
2. 조정정책의 성공과 류사오치의 재신임
3. 사회주의 교육운동의 전개와 홍(紅)과 전(專)의 암투

제5장 현대 중국의 암흑시대-문화대혁명
1. 문혁 초기 마오-린 연합으로 당권파 타도
2. 문혁 중기 린뱌오의 부침(浮沈)
3. 문혁 후기 비림비공 운동과 ‘좌’/‘우’경 논쟁
4. 화궈펑의 유훈 정치 및 지도층의 분열과 연합

제3부 개혁개방 시대의 중국공산당(1978∼2021)

제1장 덩샤오핑의 정권 장악과 노선의 대전환
1. 11기 3중전회와 노선의 전환
2. 경제조정과 개혁개방의 시작
3. 화궈펑 잔재의 청소와 개혁개방체제 구축

제2장 후야오방의 개혁 돌파정책과 보수파의 반격
1. 덩샤오핑-후야오방-자오쯔양 중심의 지도체제 강화
2. [82헌법]의 제정과 국가체제의 정비
3. 전면적인 경제체제의 개혁
4. 개혁의 부작용과 보/혁간의 대립
5. 군 원로들의 2선 퇴진과 불만 고조
6. 민주화 운동의 역풍과 후야오방의 실각

제3장 자오쯔양의 개혁정책에 대한 보수파의 재반격
1.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의 제기와 개혁의 가속화
2. 자오쯔양-리펑 체제 구축과 보/혁간의 재격돌
3. 6?4 톈안먼사태와 자오쯔양의 숙청

제4장 장쩌민의 권력승계와 덩샤오핑의 [남순강화]
1. 장쩌민 총서기 발탁과 개혁정책의 후퇴
2. 덩샤오핑의 [남순강화]와 개혁의 촉구
3. 장쩌민-주룽지 체제의 구축과 개혁의 가속화
4. 장쩌민의 권력 기반 강화

제5장 덩샤오핑의 사망과 장쩌민의 권력 강화
1. 덩샤오핑 이론의 계승과 장쩌민의 확고한 권력체제 구축
2. 장쩌민과 보수파와의 사상투쟁
3. 장쩌민의 ‘3개 대표론’에 대한 공방

제6장 후진타오의 권력승계와 제4세대의 부상
1. 후진타오 체제의 출범과 제4세대로의 권력이동
2. 과학발전관을 지도이념으로 채택

제7장 시진핑의 집권과 제5세대의 등장
1. 시진핑 정권의 출범과 제5세대의 부각
2. 시진핑 사상으로 새로운 발전전략 모색

참고문헌
연표
 

저자 소개

저 : 김정계
 
대만 국립정치대학 대학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만 국립정치대학 국제관계연구중심 연구교수, 베이징대학, 중국사회과학원 초빙교수,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객원교수를 지내고 현 창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의 권력구조와 파워 엘리트≫(1994), ≪중국의 엘리트 정치≫(2010), ≪마오쩌둥과 그의 실패한 후계자들≫(2012), ≪덩샤오핑과 그의 후계자들≫...
 

출판사 리뷰

20세기 초 농업 국가인 중국에서 어떻게 공산당이 건립될 수 있었는가? 마오쩌둥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국제파를 물리치고 어떻게 당권을 장악할 수 있었는가? 공산당은 어떻게 무장 역량이 절대 우세한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는가?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은 어떻게 정권을 장악할 수 있었는가? 중국공산당은 소련이나 동구권 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와는 달리 어떻게 지금까지 건재할 수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미국에 맞설 정도의 경제발전과 국력을 신장할 수 있었으며, 그 동력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중국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여러 가지 추측과 의문을 제기하여왔다.
이처럼 수많은 이슈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중국공산당 100년의 역사를 어떤 키워드로 관통하는 것이 좋을까? 필자는 그 핵심을 통치자로 보고, 통치자를 중심으로 한 중국공산당의 통치 이데올로기, 즉 지도이념의 전이 과정을 통해 중국공산당 100년 역사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했다. 법치보다 인치가 지배하는 중국 사회주의 정치문화에 있어서 통치자와 집권당은 곧 국가권력의 원천이며, 집권당의 통치 이데올로기는 바로 국가의 지도노선이자 정책 방향의 기본 준거이기 때문이다.

본서는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중국공산당의 창당에서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까지의 혁명 역정, 즉 당이 견지한 지도이념과 지도자들의 투쟁 전략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중국적 변용-마오쩌둥 사상의 생성 및 발전과정을 그의 저작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따라서 제1부는 공산당이 중국에서 생성된 배경과 그것이 성장 발전하면서, 항일전쟁은 물론 국공내전을 승리로 이끈 동인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2부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에서부터 마오쩌둥의 사망에 이르는 기간, 마오쩌둥이 추구한 지도이념, 즉 마오쩌둥 사상의 부침(浮沈)과 마오쩌둥이 추진한 정책을 사건별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독자들은 반우파 투쟁,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등 마오쩌둥이 추진한 급진 좌경정책의 배경과 그를 둘러싼 권력투쟁 및 그 폐해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는 마오쩌둥 사후 그의 후계자인 화궈펑과 그에 대한 비판 세력인 덩샤오핑 등 개혁파 간에 벌인 권력투쟁에서부터 시작한다. 덩샤오핑이 이 권력투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동력은 무엇인가? 그 해답을 위하여 덩샤오핑이 추구한 개혁개방정책의 이념, 즉 ‘덩샤오핑 이론’을 화궈펑이 추진한 당의 지도이념 및 정책과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덩샤오핑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채택한 당의 지도이념을 지속과 변화의 측면에서 추적해 보았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독자들은 마르크스 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과 덩샤오핑 이론의 기초 위에서 변용되고 있는 장쩌민의 3개 대표론, 후진타오의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 사상 등이 제기된 배경 및 그것이 추구하는 방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고 중국이 여타 사회주의국가와는 달리, 구소련 붕괴 후에도 쇠퇴하지 않고 오히려 강대국으로 굴기할 수 있었던 동인이 무엇인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서는 중국공산당 창당 이후 지금까지 100년 동안, 중국공산당 및 그 지도자들이 내외적 환경의 변화와 도전에 봉착할 때마다, 체제 유지와 발전을 위해 그들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중국의 현실에 맞게 변용하여왔는가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연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