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교육의 이해 (책소개)/1.교육학일반

유능한 교사를 위한 쉽고 참신한 교육철학 및 교육사 (2023)

동방박사님 2023. 9. 12. 07:03
728x90

책소개

『교육철학 및 교육사』를 탐구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지혜를 얻어, 미래 지향적인 교육의 지표가 정립된 교사를 만드는데 무한한 시사를 도출해 내는 도움을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교육사상과교육활동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교사나 교사 양성 기관 학생들이 교육의 본질을 바르게 파악하고 오늘날 교육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목차

머리말 4

제1부 서양교육사

제1장 교육사의 이해 13
1. 역사 연구의 필요성 13
2.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15
3. 교육사 연구의 자세 20
4. 교육사상사 21

제2장 교육철학의 이해 25
1. 철학과 인간의 이해 25
2. 교육의 이해 35
3. 교육철학의 이해 40

제3장 고대 그리스의 교육 이해 47
1. 그리스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47
2. 그리스의 교육 50
3. 그리스의 교육사상가 54

제4장 로마의 교육 이해 75
1. 로마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75
2. 로마시대의 철학 78
3. 로마시대의 교육 81
4. 로마의 교육사상가 86

제5장 중세의 교육 이해 97
1. 중세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97
2. 중세의 철학 100
3. 중세의 교육 103
4. 중세시대의 교육사상가 112

제6장 르네상스기의 교육 이해 124
1. 르네상스기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124
2. 르네상스기의 교육 127
3. 르네상스기의 교육사상가 133

제7장 종교개혁기의 교육 이해 140
1. 종교개혁기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140
2. 신교의 교육 142
3. 종교개혁기의 교육사상가 144

제8장 17세기의 교육 이해 151
1. 17세기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151
2. 17세기의 철학 153
3. 실학주의의 교육 156
4. 실학주의의 교육사상가 159

제9장 18세기의 교육 이해 168
1. 18세기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168
2. 18세기의 철학 169
3. 18세기의 교육 171
4. 18세기의 교육사상가 173

제10장 19세기의 교육 이해 186
1. 19세기의 사회와 문화적 배경 186
2. 19세기의 철학 187
3. 19세기의 교육 188
4. 19세기의 교육사상가 191

제11장 20세기의 교육 이해 207
1. 20세기의 사회와 문화적 특징 207
2. 20세기의 교육 209

제12장 유능한 교사 이해 247
1. 유능한 교사의 의미 247
2. 유능한 교사의 역할 250
3. 유능한 교사의 의사소통 253
4. 교사화법의 범주 256

제13장 21세기의 한국교육 이해 258
1. 21세기 사회 환경 259
2. 21세기 교육환경 262
3. 21세기 한국교육의 방향 266

제2부 한국교육사

제1장 고대 사회의 교육 이해 279

제2장 삼국시대의 교육 이해 281
1. 삼국시대의 교육사상 281
2. 유교의 형식적인 교육 285
3. 삼국시대의 교육제도 286
4.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292

제3장 고려시대의 교육 이해 294
1. 고려시대의 교육사상 294
2. 고려시대의 교육제도 295
3. 과거제도와 교육 298
4.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 299

제4장 조선시대의 교육 이해 301
1. 조선시대의 교육사상 301
2. 조선시대의 잡과교육 310
3. 성리학과 교육사상 317
4. 조선시대의 실학사상 318
5. 조선의 교육과 관련된 중국의 교육 327

제5장 개화기의 교육 이해 330
1. 개화와 근대교육의 태동 330
2. 일제강점기의 교육 334

제6장 미군정시대의 교육 이해 340
1. 미군정청의 발족 340
2. 미군정기의 교육 342
3. 미군정기의 문교정책 343

제7장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이해 346
1. 50년대의 교육 현황 346
2. 50년대의 주요 교육 시책 348
3. 60년대의 교육 현황 356
4. 60년대의 주요 교육 시책 360
5. 70년대의 교육 현황 363
6. 80년대의 교육 현황 370
7. 80년대의 주요 교육 시책 371

참고 문헌 375

출판사 리뷰

머리말

-사회는 고여 있는 물과 같이 정체되어 있지 않고 항상 변화한다. 어느 사회나 변화는 있었지만, 특히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21세기 현대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급속하게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대응하여 후세대를 견인할 주체는 바로 일선에서 고군분투하는 교사 집단이다. 교사의 지적 마인드와 태도가 변해야 학생이 변할 것이며, 이를 통해 사회 개선이 건전하고 건강한 방향으로 지향됨은 불문가지이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환경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면서 가르치는 일이 더욱 복잡해지는한편, 교사에게는 더 많은 새로운 의무가 부과되고 있지만, 정작 교육의 주체로서 교사의 권위를 갖지 못함으로써 야기되는 교육병리 현상이 학교, 교사, 학생 모두를황폐화시키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교사들이 교육의 주체로서 권위를 갖지못하게 된 요인은 많지만 교사의 교육철학 부재 및 부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이 자신의 독자적인 교육철학을 가지고 있을 때, 교육 이외의 외적 힘에 대하여교육의 본질을 어느 정도 지킬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육철학이 교육 현실을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교사로 하여금 통합적 안목을 가지고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다른 교육학의 분과 학문이 제공할 수 없는 독특한 기여를 한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연유로 교사의 교육철학 정립은 그 어느 때보다시급하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적합한 지식과 태도를 장착한 예비교사를 만드는 과정의 일환으로 전개되는 교과목이 대학에서 전달되고 있는 교직과목이며 이들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담당하는 과목이 바로 교육철학 및 교육사이다. 왜냐하면, 이 과목은 다른어떤 과목보다 명품교사가 되기 위한 가장 본질적이며 정신적인 무장을 도모해 주는과목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집필 동기는 이 같은 사색에서 출발하고 있다. 교사의 교육철학은 무엇보다도 과거 선인들의 교육에 대한 관점과 교육문제 해결력의 검토를 통해서 오늘날의교육현상과 실제를 이해하며, 개선된 미래의 교육 방향을 지시받으면서 정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 사상가들의 교육적 관점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교육사 탐구는 필수적인 선행요건이 될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교육철학 및 교육사』를 탐구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지혜를 얻어, 미래 지향적인 교육의 지표가 정립된 교사를 만드는데 무한한 시사를 도출해 내는 도움을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교육사상과교육활동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교사나 교사 양성 기관 학생들이 교육의 본질을 바르게 파악하고 오늘날 교육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책은 2부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서양교육사 및 철학으로, 제2부는 한국교육사와 철학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 서양교육사에서 제1장에서는 교육사의 이해, 제2장에서는 교육철학의 이해, 제3장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교육 이해, 제4장에서는 로마의 교육 이해, 제5장에서는중세의 교육 이해, 제6장에서는 르네상스기의 교육 이해, 제7장에서는 종교개혁기의교육 이해, 제8장에서는 17세기의 교육 이해, 제9장에서는 18세기의 교육 이해, 제10장에서는 19세기의 교육 이해, 제11장에서는 20세기의 교육 이해, 제12장에서는 유능한 교사 이해, 제13장에서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에서 한국교육이 나아갈 방향을모색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책은 무엇보다도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사상가들의 교육적 사색을 학습함으로써 교사의 정체성과 교육철학을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고 집필되었기 때문에, 이번 개정판에서는 각 시대별 주요 교육사상가들의 원전을 간략하게 소개해 주는 ‘원전 읽기’를 첨가해 교육사상가들의 교육적 방향을 통찰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2부 한국교육사에서는 제1장에서는 고대 사회의 교육 이해, 제2장에서는 삼국시대의 교육 이해, 제3장에서는 고려시대의 교육 이해, 제4장에서는 조선시대의 교육 이해, 제5장에서는 개화기의 교육 이해, 제6장에서는 미군정시대의 교육 이해, 제7장에서는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이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