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6.중국인도철학

중국철학사상사 (2017)

동방박사님 2023. 9. 15. 07:56
728x90

책소개

이 책은 목차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은상(殷商) 시대의 사상부터 현대의 중국철학까지 중국철학사상사 전반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중국철학이나 중국사상을 폭넓게 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중국철학이나 중국사상을 깊이 연구하는 전문가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교양 수준에서 중국철학이나 중국사상을 익히고자 하는 대학생이나 일반인들에게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철학사상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내용을 가능하면 쉬운 말로 풀어 쓰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목차

제1장 중국철학사상 서설 1. 우리는 왜 중국의 철학사상을 이해하여야 하는가? 2. 중국철학사상의 특질
제2장 중국철학사상의 여명 1. 은상(殷商) 시대의 사상 2. 서주(西周) 시대의 사상
제3장 춘추전국시대의 사회변동과 백가쟁명 1. 춘추시대의 사회변동 2. 전국시기의 변법(變法) 조류 3. 사인(士人) 계층의 발생과 발전
제4장 공자 1. 예악(禮樂)과 인(仁) 2. 인(仁) 3. 인문(人文)
제5장 묵자 1. 삼표(三表)의 도 2. 묵가사상의 변천
제6장 맹자 1. 인의(仁義) 2. 성선설(性善說) 3. 진심(盡心) · 지성(知性) · 지천(知天) 4. 호연지기(浩然之氣) 5. 왕도(王道)와 민본(民本)
제7장 노자 1. 문화체계에 대한 근본적 반성 2. 위학(爲學)과 위도(爲道) 3. 도(道)와 덕(德) 4. 정언약반(正言若反)의 논리
제8장 열자 1. 천서(天瑞) 2. 양신(養身)과 치물(冶物) 3. 천명(天命)과 진인(眞人)
제9장 장자 1. 노자와 장자 2. 인위(人爲)와 외물(外物) 3. 작은 앎과 가치의 상대성 4. 심재(心齋)와 좌망(坐忘) 5. 소요제물(逍遙齊物)의 경지
제10장 혜시와 공손룡 1. 혜시(惠施)의 합동이(合同異) 2. 공손룡(公孫龍)의 이견백(離堅白) 3. 명가(名家)와 중국철학
제11장 직하황로학 1. 직하학궁(稷下學宮)과 황로학(黃老學) 2. 『황제사경(黃帝四經)』 3. 송견(宋?)과 윤문(尹文) 4. 전병(田騈)과 신도(愼到) 5. 『관자(管子)』
제12장 음양오행사상과 『역전』 1. 『역경(易經)』의 음양사상과 ?홍범(洪範)?의 오행사상
2. 음양오행가 3. 추연(鄒衍) 4. 『역전(易傳)』
제13장 순자 1. 천인상분(天人相分) 2. 성악설(性惡說) 3. 인식론(認識論) 4. 예치(禮治)
제14장 『예기(禮記)』 1. 『대학(大學)』 2. 『중용(中庸)』
제15장 한비자와 법가 1. 전기 법가(法家) 2. 성악설(性惡說) 3. 법(法) 4. 술(術) 5. 세(勢) 6. 법가의 역사적 평가
제16장 『여씨춘추』와 한초 황로학 1. 『여씨춘추(呂氏春秋)』 2. 한초 황로학
제17장 회남자 1. 천도론(天道論) 2. 인간론과 인성론 3. 무위(無爲)
제18장 동중서 1. 천(天)과 음양오행(陰陽五行) 2. 천인감응(天人感應) 3. 인성론(人性論) 4. 삼강오상(三綱五常)
제19장 양웅과 환담 1. 양웅 2. 환담(桓譚)
제20장 왕충 1. 원기론(元氣論) 2. 천도(天道)는 무위(無爲), 인도(人道)는 유위(有爲) 3. 인식론과 방법론 4. 인성론과 운명론
제21장 신선사상과 초기 도교 1. 신선사상(神仙思想)의 형성 2. 신선도교 3. 민간도교
제22장 왕필 1. 현학(玄學) 방법론 2. 귀무론(貴無論) 3.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조화
제23장 완적과 혜강 1. 완적(阮籍) 2. 혜강(?康)
제24장 곽상 1. 구양건(歐陽建)과 배위(裵?) 2. 독화(獨化)와 현명(玄冥) 3. 자족(自足)과 안분(安分)
제25장 불교의 전래와 격의불교 1. 불교의 전래 2. 불교의 현학화(玄學化) 3. 6가(家) 7종(宗)
제26장 혜원과 승조 1. 혜원(慧遠) 2. 승조(僧肇)
제27장 갈홍과 도교의 개혁 1. 위진시대의 신선도교 2. 갈홍(葛洪) 3. 남북조시대 도교의 개혁과 성숙
제28장 천태종과 지의 1. 정혜쌍수(定慧雙修) 2. 삼제원융(三諦圓融) 3. 일념삼천(一念三千)
제29장 삼론종과 길장 1. 파사현정(破邪顯正) 2. 진속이체(眞俗二諦) 3. 팔불중도(八不中道)
제30장 유식종과 현장 1. 만법유식(萬法唯識) 2. 팔식(八識)
제31장 화엄종과 법장 1. 법계연기(法界緣起) 2. 일진법계(一眞法界)와 사법계(四法界) 3. 이사무애(理事無碍)와 사사무애(事事無碍)
제32장 선종과 혜능 1. 본성(本性)이 불(佛)이다 2. 돈오(頓悟)와 무념(無念) 3. 불법(佛法)은 세간(世間)에 있다.
제33장 도교의 중현학과 내단학 1. 도교의 국교화 2. 중현학(重玄學) 3. 성명쌍수학(性命雙修學) 4. 내단학(內丹學)
제34장 소옹과 주돈이 1. 시대적 배경 2. 소옹(邵雍)의 선천(先天) 상수학(象數學) 3. 주돈이(周敦?)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역통(易通)」
제35장 장재와 이정 1. 장재(張載) 2. 정호(程顥)와 정이(程?)
제36장 주희 1. 이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3. 거경(居敬)과 궁리(窮理)
제37장 육구연과 왕수인 1. 육구연(陸九淵) 2. 왕수인(王守仁)
제38장 송원명시대의 도교와 불교 1. 도교 2. 불교
제39장 왕부지 1. 성(誠)과 기(氣) 2. 기(氣)와 리(理) 3. 도(道)와 기(器) 4. 일생(日生) 일성(日成)의 인성론(人性論)
제40장 서구 문물의 유입과 중국의 대응 1. 천주교(天主敎)의 유입 2. 실학(實學)과 고거학(考據學) 3. 아편전쟁과 중국 지식인들의 대응
제41장 중국 현대철학의 전개 1. 신문화운동의 의의 2. 20세기 신유학의 전개와 그 한계
3. 21세기 중국철학은 어디로
 

저자 소개 

저 : 김백현
 
1952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1971년 한국외국어대학 중국어과(철학 부전공)에 입학하고 1978년 졸업했다. 1982년 대만대학에서 철학석사, 1986년 대만 보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98년에는 중국 북경대학에서 공동연구교수를 지냈으며 2012년 9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중국 사천대학에서 공동연구교수를 지냈다. 한국도가철...

출판사 리뷰

중국학자와 일본학자가 쓴 『중국철학사』,『중국사상사』들이 여러 권 한글로 번역되어 있고 그것들 모두 훌륭한 저서들이다. 이 책을 그 책들과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이 책은 이 책 나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인의 관점에서 서술하려고 노력했다.
둘째, 간단명료하게 쓰려고 노력했다.
셋째, 유가철학 중심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했다.
넷째, 마르크스주의 관점에 의한 해석의 부당성을 표출하려고 노력했다.
다섯째, 동양사상의 정수를 표출하려고 노력했다.

이 책은 공자의 예악(禮樂)과 인(仁), 순자의 인식론, 한비자의 법가사상, 음양오행사상과 『역전』 등은 물론이고 신선사상과 초기 도교, 불교의 전래와 격의불교뿐만 아니라 도교의 중현학과 내단학, 주희의 이기론(理氣論)을 지나 서구 문물 유입에 따른 중국의 대응까지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각각의 사상가들이나 철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익히는 데도 도움이 되고 그들의 사상을 비교 대조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