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3.망우역사인물 25

훈민정음을 사랑한 변호사 박승빈

책소개 역사는 발전한다. 정반합의 원리에 의해 새롭게 앞으로 나아가듯이 경쟁과 라이벌을 통해 한걸음씩 나아간다. 역사 앞에는 승리자도 패배자도 없다. 모두 역사의 한 걸음에 디딤돌을 놓은 공헌자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에서는 기억되고 주목 받는 승리자와 함께, 잊혀지고 소외받는 패배자도 똑같은 무게의 가치를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문적인 국어 연구자가 없던 개화기 시절, 선각자들은 흐트러진 우리말과 글의 이론과 규범을 다시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그 한 가운데에 주시경이 있었고 그 제자들이 중심이 된 조선어학회가 뒤를 이었다. 이들의 연구에 힘입어 오늘날 우리 국어문법과 어문규범의 전통은 주시경과 조선어학회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 중에는 조선어학회와는 다른 시각으로 주시경의 문..

도산 안창호의 정치적 리더십

목차 제1장│들어가며 1. 안창호 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 이 책의 개요 제2장│기존연구의 특징과 평가 1. 개관 2. 전기와 평전 3. 안창호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4. 독립운동가 안창호에 관한 연구 5. 안창호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6. 인물비교 연구 7. 흥사단에 관한 연구 8. 안창호 리더십에 관한 연구 제3장│새로운 ‘독립운동가 리더십’ 모델을 위하여 제1절 무장한 예언자와 비무장 예언자 제2절 카리스마의 원천 제3절 거래 리더십과 변환 리더십 제4장│안창호의 정치 비전 배경과 형성 제1절 근대화 실패와 왕조 몰락: 국내 배경 제2절 근대국가 일본의 침략 제국주의: 국제 배경 제3절 안창호의 정치인식 형성: 사명의 발견 제5장│안창호의 비전과 전략: 정치 리더십의 형성과 그 한계 제1절..

망우리 공원 인물열전

책소개 MD 한마디정종배 저자는 20여 년 망우리공원 '사색의 길'을 걸으며 망우리 묘지 유지와 연구에 힘써왔다. 이 책은 망우리공원에 잠든 130여 명 인물 이야기를 담아낸 역사 교양서다. 독립운동가, 친일인사, 일반 서민까지 다양한 인물을 돌아보며 한국 근현대사를 엮어냈다. - 손민규 역사 MD 이 책은 20여 년을 꾸준히 낙이망우 망우리공원 ‘사색의 길’을 걸으며 망우리 묘지 유지와 연구 개발을 이끌어온 정종배 작가가,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보고 망우리공원에 잠든 130여 인물들의 이야기를 오롯이 담아낸 교양 인물 사전이다. 그동안 시중에 나온 망우리공원 관련 책들 가운데 이렇게 많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은 없었다. 총 9부로 이루어진 책 속에 담긴 인물들은 독립지사 등 유명인사부터 평범한 ..

망우리 언덕의 십자가 : 한국 기독교 역사의 발자취

한국 기독교의 새로운 성지 망우리를 조명한 김영식 작가의 역작, 『망우리 언덕의 십자가』 1933년부터 1973년까지 묘지로 사용된 후, 계속 나무를 심으며 시민의 공원으로 가꿔온 지 어언 50여 년이 된 지금, 망우리공원은 한용운, 오세창, 문일평, 방정환, 조봉암 등의 독립지사와 시인 박인환, 화가 이중섭, 조각가 권진규, 극작가 함세덕 등의 문화예술인이 한데 모여 있는 거대한 근대사박물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인문학적 토대를 제공한 것은, 2009년에 출간되어 지금까지도 꾸준히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는 책 『그와 나 사이를 걷다-망우리 사잇길에서 읽는 인문학-』라고 할 수 있다. 김영식 작가는 출간 이후 실내외 강의를 통해 꾸준히 망우리의 가치를 알리는 한편, 추가의 연구 조사를 통해 ..

그와 나 사이를 걷다 : 망우리 사잇길에서 읽는 인문학

『그와 나 사이를 걷다』는 망우리공원에 잠들고 있는 우리 근현대사의 주역들을 처음으로 발굴 및 정리하여 소개한다. 그동안 전혀 혹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사들의 묘를 찾아내 망우리공원의 문화자원을 크게 늘려주었다는 점 또한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목차 추천사 | 귀중한 문화유산 / 유홍준 (명지대 교수, 전 문화재청장) 머리말 머리말(초판) | 모든 삶은 누군가에게 기억된다 1부 그 잎새에 사랑의 꿈 시를 남기고 가을 속으로 떠난 ‘목마’ / 시인 박인환 동화 속으로 떠나간 아이들의 산타 / 소파 방정환 한국 근대 유화의 슬픈 자화상 / 이인성과 이중섭 일본이 만들어준 한국 근대 조각의 선구자 / 권진규 이념의 벽 앞에 잊힌 문인 / 함세덕·최학송 가사가 세 번이나 바뀐 노래의 주인 / 작곡가 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