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정치의 이해 (책소개)/9.정치외교학일반 45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2019) - 전통과 근대

책소개 한말 외교사를 교훈 삼아 21세기를 국흥으로 이끌 것인가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는 문명사적 변화의 의미를 읽어야 국흥의 길로 갈 수 있다고 보고 새로운 문명 표준을 달성하고 주도하기 위해서는 세계 역량을 활용하고, 국내 역량을 결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21세기 국흥의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 말한다. 저자는 21세기 한반도 정치사회의 주도 세력이 19세기의 비극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보수와 진보를 불문하고 경직화된 이분법적 사고와 행동에 익숙한 기성세대 대신 복합적 사고와 행동이 가능한 새로운 세대를 시급하게 키워야 한다고 했다. 밖으로는 한국 이익과 지구 이익을 동시에 품을 줄 아는 한국적 세계인으로서 지구적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고, 안으로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해 갈등을 투쟁이 ..

한국외교사와 한국외교 (2017)

목차 제 1 장 조선시대 대외관계와 외교사 총론 ---한명기 1. 머리말 2. 조선왕조 개창과 조명 관계, 그리고 외교 3. 조선 전기의 대일 외교와 대여진 외교 4.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사대, 교린 외교 5. 임진왜란과 조선의 외교 6. 병자호란, 명청 교체 시기 조선의 외교 7. 17세기 중반~19세기 초 조선의 대청 외교 8. 17~19세기 초 조선의 대일 외교 9. 맺음말 제 2 장 태조대 대명 관계의 양상과 성격 ---최종석 1. 머리말 : 태조대 대명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2. 이성계 즉위의 승인 3. 국호 개정 4. 조선·명 갈등의 서막(1393~1394년) 5. 표전 문제와 조선·명 갈등의 고조 (1396~1398년) 6. 맺음말 제 3 장 15세기 조명 관계와 조선의 대응 -..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조선 편 (2018)

목차 제 1 장 조선시대 대외관계와 외교사 총론 ---한명기 1. 머리말 2. 조선왕조 개창과 조명 관계, 그리고 외교 3. 조선 전기의 대일 외교와 대여진 외교 4.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사대, 교린 외교 5. 임진왜란과 조선의 외교 6. 병자호란, 명청 교체 시기 조선의 외교 7. 17세기 중반~19세기 초 조선의 대청 외교 8. 17~19세기 초 조선의 대일 외교 9. 맺음말 제 2 장 태조대 대명 관계의 양상과 성격 ---최종석 1. 머리말 : 태조대 대명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2. 이성계 즉위의 승인 3. 국호 개정 4. 조선·명 갈등의 서막(1393~1394년) 5. 표전 문제와 조선·명 갈등의 고조 (1396~1398년) 6. 맺음말 제 3 장 15세기 조명 관계와 조선의 대응 -..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근대 편 (2018)

목차 제 1 장 총설 : ‘근대(modern)’ 한국 외교사의 국제정치적 배경 ---구대열 1. 머리말 : 한국 외교사에서 ‘근대’의 개념 및 시기 2. ‘근대 동아시아 외교사’의 출발점은? 3. 동서양의 접촉과 근대 동아시아 외교사의 시작 4. 국제정치의 구조적 변화와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힘의 배분 5. 중국과 일본 두 지역세력과 한반도 6. 서양 열강의 동아시아-한반도 정책 7. ‘근대 한국 외교사’는 무엇을 다룰 것인가? 제 2 장 흥선대원군의 배외정책 ---박준형 1. 머리말 : 두 번의 양요와 조선 2. 병인양요 3. 신미양요 제 3 장 조일수호조규 ---김흥수 1. 조일 양국의 국교 재개 교섭 2. 운요호 사건 3. 조일수호조규의 체결 제 4 장 조일수호조규 부속조약과 원산·인천의 개항 ---..

낱낱이 파헤치는 여론조사의 모든것 (2024)

책소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읽을 수 있을까? 대중의 심리를 조종하는 여론조사의 비밀 여론조사는 정치, 특히 선거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지배한다. 하지만 여론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우리는 어떻게 선악을 구별할 수 있을까? 그리고 최근의 완전히 실패한 여론조사를 고려할 때 우리는 그 결과를 믿을 수 있을까? 이 책은 19세기 최초의 기초적인 여론조사부터 20세기에 여론조사를 금지하려는 정치인들의 시도, 가장 최근의 기술과 논쟁에 이르기까지 여론조사에 관한 모든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책은 여론조사에 관한 모든 역사를 다뤘다고 해서 통계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익하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직 정치 여론 조사원이자 영국 최고로 여론조사를 목적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든 장본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