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일본학 연구 (책소개)/4.일본사회 36

오키나와 현대사

책소개 주일미군 시설의 75%를 총 영토 면적의 0.6%에 불과한 작은 섬 내부로 봉쇄해 둔다는 미일간의 공모가 ‘전후 일본’을 가능케 했던 가장 핵심적인 전략이자 구조라 얘기한다. 때문에 오키나와를 근대국가 일본에 속한 하나의 ‘지방’으로 취급하지 않고, 오키나와를 통해서 일본의 현대사를 논하고자 하였다. ‘평화국가, 일본’의 토대에는 ‘기지의 섬, 오키나와’가 작동하고 있었고, 반대편에서 보자면 ‘기지의 섬’이라는 오키나와의 현실은 ‘평화국가’라는 일본의 이미지에 의해 은폐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오키나와의 군사기지화를 대가로 하여 본토에서는 평화의 이념과 제도를 구축해 온 것이 ‘평화국가, 일본’이라고 한다면, 휴전선으로 상징되는 ‘끝나지 않은 전장(戰場)’으로 끊임없이 국민들을 동원하고 규율..

일본경제 부담없이 읽기

책소개 강철구 교수의 톡톡 튀는 일본 경제 해설서『일본 경제 부담없이 읽기』. 이 책은 일본경제론을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총 7장으로 구성하여, 메이지 유신과 일본의 근대화부터 재벌구조와 메인뱅크, 일본의 고도성장기, 버블경기와 잃어버린 10년, 시골집 흐릿한 호롱불 같은 경제 등을 살펴본다. 목차 1장. 메이지 유신과 일본의 근대화 1. 울고 싶은데 뺨을 때린 페리 13 2. 공업발전의 기초를 마련하다 42 3. 은행제도와 주식회사 52 4. 자본주의 발전과 정부의 역할 57 5. 초기 기업가의 유형과 경영이념 63 2장. 전쟁으로 몰락하고 전쟁 덕분에 성장하고 1. 제국주의 일본과 전쟁의 후폭풍 81 2. 반딧불의 묘 97 3. 이제야 살았다? 한국전쟁 특수 104 4. 일본기업의 고용관행 110 ..

일본 근현대 정치사

책소개 이 책은 근현대 일본을 관통하는 여러 양상들을 '전통'과 '근대', '부국과 강병', '근대적인 것'과 '일본 혹은 아시아적인 것'의 문제라는 몇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총괄적으로 조명한 근대 일본사의 기본 텍스트이다. 목차 1. 도쿠가와 시대의 유산 2. 서양의 도전과 일본의 대응 3. 도쿠가와의 멸망 4. 근대 국가의 건설 5. 메이지 천황고 메이지 헌법 6. 문화 수용 7. 산업화 : 제 1단계 8. 자본주의와 국내 정치 9. 자주와 제국 10. 군인과 우익 11. 일본의 신질서 12. 제국의 승리와 패배 13. 군사 점령 14. 보수 민주주의와 미일동맹 15. 경제 기적 16. 쇼와 시대의 종언 저자 소개 저자 : W.G 비즐리 1919년생, 현재 런던 대학 명예 교수 동아시아사, 영.일 관..

일본 전후사 1945~2005

책소개 『일본 전후사 1945~2005』는 전후 60년의 역사를 ‘관전사貫戰史’라는 낯선 시각으로 풀어낸 저서다. 저자는 ‘왜 관전사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일본의 전후는 언뜻 보면 평화로워 보이지만,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미국의 전쟁에 일본은 끊임없이 관여해 왔다. 그것은 동시에 일본의 정치, 경제, 외교의 상태를 규정하고 장래 일본의 ‘국가 형태’까지도 결정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냉전체제의 형성 이후 벌어진 각각의 전쟁이 국제 사회는 물론이고 일본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과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서문 ‘전후사’를 어떻게 그려낼 것인가 1장 ‘전후’의 성립 (1945-1960) 1. 패전의 경험 2. 점령과 신헌법 3. 냉전의 시작 4. 전..

일본전후 정치사

책소개 일본의 정치부 기자가 쓴 책이다. 1961년부터 96년까지 아사히신문 정치부 기자로 활약했던 이시카와 마쓰미는 일본 현대정치의 역사를 현장에서 관찰했으며, 특히 사회당을 오랫동안 담당한 기자로서 선거연구의 선구자로 인정받는 실력있는 진보적 지식인이었다. 이와나미 문고에서 작은 문고판으로 출간되었던 이 책은 많지 않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사건과 인물, 선거 내용과 결과, 주요 정치세력과 파벌간의 갈등과 변화, 내각 교체 등이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어, 현실 정치를 바라보는 기자의 진정한 강점이 돋보인다.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들과, 일본 연구자들에게 널리 읽히는 책으로 전후 일본 현대사를 이보다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정치사 사전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본문은 소제목을 단 짧은 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