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기독교 신학연구 (책소개)/8.목회신학연구 124

구약 외경의 이해 (2011)

책소개 구약 외경은 비록 개신교에서는 정경은 아니지만, 루터와 칼빈 등 종교개혁자들은 이 책을 번역하여 신구약 중간에 넣고 제본하여 신앙의 유익을 위해 읽기를 권했다. 사실 구약 외경은 신구약 중간시대의 역사를 이해하고 구약사상이 어떻게 신약사상으로 발전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매우 요긴한 책이다. 그러기에 구약 외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성서연구의 발전과 신앙생활의 폭을 넓히는 데 매우 유익하다. 이 책은 이러한 것을 겨냥하면서 구약 외경의 내용을 가능한 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쓴 입문서이다. 목차 약어표 머리말 개정판을 내며 제1장 서론 1. 정경, 외경, 위경 2. 구약 외경이란 무엇인가? 3. 한국 교회와 구약 외경 제2장 신앙단편소설 1. 토비트 2. 유딧 3. 수산나 4. 벨과 뱀 5. 에스더..

유스 디비눔 Jus Divinum Regiminis Ecclesiastici (2018)

책소개 “이 책은 장로교회 정치론을 지지하는 웨스트민스터 총대들이 당대의 의회의 함구령에 대하여 자신들의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문서들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교회정치의 의도를 바르게 판단하는 데에 필수적인 자료다.” 『유스 디비눔』은 웨스트민스터 총회가 막바지에 이르러가던 1646년에 작성되어, 두 번째 판이 1647년에, 그리고 1654년에 세 번째 판이 인쇄됐다. 고백과 문답에 의해 최초로 출간되는 이 한글판은 그 가운데서도 1647년에 인쇄된 두 번째 판을 번역한 것이다. 그런데 이 논문의 저자에 대한 언급은 “런던 시에 있는 그리스도의 여러 목사들에 의해”(By sundry Ministers of CHRIST within the City of London)라는 표현이 전부다. 스..

절대 예정 교리 (2024)

목차 목차 1장 용어 설명 6 2장 모든 인간들에 관한 교리 20 3장 택자들에 관한 교리 42 4장 유기자들에 관한 교리 60 5장 예정 교리에 관한 설교의 당위성 및 이유 92 저자 소개 저 : 제롬 장키우스 (Hieronymus Zanchius) 제롬 장키우스(Hieronymus Zanchius, 1516~1590)는 이탈리아 베르가모 근처 알자노 롬바르도에서 태어났다. 15세에 그는 아우구스 수도원에 입회하여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언어 및 신학을 공부했다. 그는 학업을 마친 후 루카(Lucca)로 갔고 피터 버미글리(Peter Vermigli)의 영향으로 신학경력을 쌓았으며 피터 버미글리의 바울의 로마서 강해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교부들의 작품들... 역 : 장종원 미국출원특허 전문번역가로..

성만찬의 신비를 풀다 (2024) - 예수와 성만찬의 유대적 뿌리

책소개 최근 들어 세계 도처의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신앙의 유대적 뿌리를 재발견하고 있다. 이제 매년 부활절이 되면 많은 신자들이 성만찬에 참여하면서, 예수님이 십자가에 처형당하기 전날 밤에 거행된 마지막 유월절 만찬에서 벌어진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려 한다. 『성만찬의 신비를 풀다: 예수와 성만찬의 유대적 뿌리』는 마지막 만찬을 유대인의 눈을 통해 바라봄으로써 이 식사에 신선한 빛을 비춘다. 브랜트 피트리 박사는 성경과 고대 문헌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동원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변을 시도한다. 예수님 당시 유월절은 어떤 모습이었나? 유대인의 메시아 대망은 어떤 내용이었나? 예수님이 유월절 축제 기간에 성만찬을 제정하신 목적은 무엇인가? (그리고 가장 중요한 질문인) 예수님이 "이것은 내 살이요,..

종교 중독과 기독교 파시즘 (2020) - 기독교 근본주의에 대한 정치신학적 비판

책소개 2020년을 강타한 코비드-19(COVID-19) 팬데믹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다 주었다. 특히 한국교회의 주류로 자리 잡은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방역 당국과 지속적으로 대립각을 세우면서 한국교회는 사회적 신뢰를 상실한 채 몰락의 위기에 처해 있다. 팬데믹 초기에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은 정부의 일시적인 집회 금지 권고를 “종교 탄압”과 “기독교 박해”라는 프레임으로 맞서며 회중 예배와 종교 행사를 강행하였고 속칭 “태극기 집회”에 강박적으로 참여하면서 집회 주동자들의 정치적 선동에 맹목적으로 동조했다. 이러한 현상들은 기존의 일반적인 신학적 방법론으로는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이러한 가운데 팬데믹으로 인해 극대화되고 있는 한국교회 내 반사회적인 현상을 정치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 출..

신들과 함께 (2023) - 고대 근동의 눈으로 구약의 하나님 보기

책소개 낯설기만 했던 고대 근동의 세계, 두렵기만 했던 고대 근동의 신화들을 통해 도리어 구약성경을 더 깊이 읽는다!” 베스트셀러 『Re:성경을 읽다』의 저자, 미국 미드웨스턴 신학교(Mid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이상환 교수의 두 번째 책! 지금까지 우리가 머릿속에 암기만했던 전지전능한 하나님, 무소부재한 여호와 하나님께서 실제 고대 근동의 세계 안에서 어떻게 역사하셨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이 책은 독자들을 구약성경의 배경 속으로 인도하는 최고의 안내서이다. 저자와 함께 최신의 연구들과 통찰력 넘치는 논의들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구약성경이 이전과 다르게 보일 것이다. 구약의 야훼 하나님이 이전과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 11 제 1장 신들의..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2018)

책소개 20세기 복음주의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세계적 지성 프랜시스 쉐퍼가 분석하고 제시한 현대 사회와 문화의 치명적 문제점과 유일한 해결책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에게 닥친 수많은 위기는 성경적 진리에서 떠나 인본주의에 기초한 세계관을 따른 필연적 결과이다. 그렇다면 현대의 우리는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무한하신 하나님께서 제시한 계시인 성경이야말로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에 대하여 참된 것을 말씀해 준다는 사실을 근거로 기독교 진리로 복귀하는 것이 우리가 가야 할 유일한 길이다. 성경과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만이 우리를 진정으로 혼란 없는 자유로 인도한다 “이 책을 서구 문화의 완전한 연대기적 역사로 만들려는 뜻은 전혀 없다. 이 책은 오늘날 우리 문화를 만들어 낸 ..

신학의 영토들 (2023) -서평으로 본 현대 신학

책소개 현대 신학이 일군 방대한 영토들을 탐사하는 법 『질문하는 신학』, 『우리가 믿는 것들에 대하여』의 저자 김진혁 교수가 쓴 현대 신학사, 혹은 서평집 한국 신학계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신학자로 손꼽히는 김진혁 교수가 쓴 서평집 형태의 현대 신학사. 현대 신학을 대표하는 책들을 살피며 현대 신학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현대 신학은 오늘날 그리스도교인들이 현대 사회와 마주해 갖게 되는 다양한 질문들에 성서, 전통에 기대어 응답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경험을 성찰할 수 있도록 돕는 이론적이면서 실천적인 활동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한 만큼, 현대 신학 저술들도 복잡하고 다양하기에 막상 현대 신학 저술들을 읽을 때는 여러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 장벽을 넘어서기 위해 전체 흐름..

아더 핑크의 적그리스도 (2023)

책소개 "아더 핑크의 적그리스도는 저자가 무려 13년 동안 연구하며 집필한 책입니다. 아더 핑크가 상당히 공을 들여 수고한 작품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한국에는 아직 이 책이 출판되지 않고 있었다는 게 놀랍습니다. 수개월동안 번역에 매달었는 데 적그리스도에 대해서 성경을 통시적으로 관통하면서 제시하는 식견에 놀랐습니다. "적그리스도"에서 A. W. 핑크는 로마 교황청 체제가 적그리스도라는 생각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며, 중세 기독교인들에 대한 교황청의 박해에서 비롯된 오류임을 입증합니다. 그는 박해의 강렬함 때문에 박해받는 기독교인들이 적그리스도의 정체를 한 개인이 아닌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하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오류에 맞서 핑크는 성경에서 적그리스도의 프로필을 구성합니다. 그는 강해 설교를 ..

천사를 말하다 - 하나님의 천군에 대해 성경이 실제로 말하는 것들 (2022)

책소개 훌륭한 인생은 ‘지혜’에서 비롯된다. 성경의 지혜는 유익하고, 삶의 원리로 작용하는 실천적 기술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영원의 관점을 겸비하고 있다. “영원의 관점”(eternal perspective)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이 어떤 이유로 움직이시는지 이해하는 통찰이다. 그것은 하나님이 누구시며, 그가 무슨 일을 행하셨고, 그 이유가 무엇이며, 또 그가 행하고자 하시는 바가 무엇이고, 왜 하나님은 그것을 혼자 행하길 원하지 않으시는지를 분명히 이해할 때라야 비로소 포착된다. 이 모든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신학이라는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성경신학 공부는 성경을 넓고 깊게 알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일이다. 성경의 흐름에 몰두하다 보면 종종 주변적인 것들로 여겨지는 대상들을 놓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