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종교의 이해 (책소개)/2.한국종교 29

근대 한국종교, 세계와 만나다

책소개 전 지구적 위험이 일상화되고 전 인류적 차원의 새로운 삶이 요구되는 시대 환경을 배경으로, 그 대안을 일찍부터 제시해 온 ‘근대 한국종교’의 사상과 운동을 조명하는 ‘종교와 공공성 총서’의 네 번째 책이다. 한국이 세계적 지평에 참여하던 근대 시기에 한국 자생종교(개벽종교)들이 세계와 시대를 바라보는 시선, 때로 현재화되고 때로 징후적으로 드러나던 ‘근대(서구, 물질)문명’의 실체와 한계에 대한 진단과 그 대안으로 제시한 개벽 사상을 ‘지구시민’, ‘세계인식’, ‘미래사회’의 세 부면에 걸쳐 논구하는 논문들을 모았다. 이 책을 기점으로 우리는 그간 ‘국가적 공공성’에 머물렀던 시야를 ‘지구적 공공성’으로 확장해 나가며 ‘지구인문학’을 본격적으로 추구하게 된다. 목차 발간사_ 박맹수 제1부 지구시민..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한다

책소개 동학과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등 근대한국의 개벽종교가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서구문명과 근대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사상, 종교, 정치사회, 문화, 교육의 전 부문에서 개벽운동을 추동해 간 흐름을 따라 그 근간으로서 개벽사상을 재조명하는 연구 성과를 집성하였다. 목차 제1부 개벽사상을 되살리다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토착적 근대 / 허남진 Ⅰ. 머리말 Ⅱ. 서구 중심적 근대와 토착적 근대 Ⅲ. 토착적 근대종교로서 한국 개벽종교 Ⅳ. 맺음말 탈식민적 관점에서 본 동학의 현대적 의미 / 박치완 Ⅰ. 머리말: 제3세계권에서 학문하기의 ‘슬픔’ II. 로컬문화에 대한 자기 인식과 아프리카의 철학적 독립선언이 주는 교훈 III. 다일상보성에 기초해서 본 동학의 세계철학적 가치와 함의 IV. 맺음말: 오늘,..

한국사회와 종교학

책소개 ‘종교’와 ‘사회’에 대한 다각도의 통찰을 통해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하다 ‘종교’와 ‘사회’는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에 착안하여, ‘종교와 사회’라는 범주의 주제에 대한 여러 가지 관심을 반영하는 사안들을 다방면으로 다룬 종교학의 연구 논문들을 엮은 책.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종교학, 특히 종교사회학이 지닌 이점을 풍부하게 드러내려 하였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된다. 제1부 ‘종교사회학’은 종교사회학이라는 주제하에 종교사회학적 방법론을 보편적이고 일반 이론적인 차원에서 활용한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구자들은 한국 사회 특유의 상황을 벗어나 전 지구적 상황을 분석 대상으로 다루거나 보편 이론으로 확장 가능한 사회 현상을 종교사회학적 언어로 설명해 내고 있다. 제2..

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

목차 제1부 사회구성과 종교현상 1. 고전적 종교사회학의 검토 2. 현대사회와 종교 3. 현대 한국사회의 전개 4. 사회변동과 종교의 반응 제2부 현대 한국종교의 전개 5. 산업화 이전의 종교 6. 제3공화국의 종교 7. 유신체제하의 종교 8. 제5공화국의 종교 제3부 한국종교현상의 이해 9. 산업사회와 한국종교 10. 사회모순과 한국종교 11. 종교현상의 종교, 사회적 분석

한국종교문화론

책소개 이 책은 앞서 출간된 저자의 『한국문화론』과 은 연관을 맺고 있다. 문화인류학도인 저자의 관심과 지향이 담겨 있는, 말하자면 종교인류학 서적이다. 저자는 한국 종교 문화의 남다른 특성을 이해하여, 한민족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성상계를 갖고 어떻게 살아왔는지 탐색한다. 목차 머리말 1. 한민족의 종교 문화 2. 한국 지옥 연구 - 무(巫)의 저승 3. 한국 샤머니즘과 세계 종말 4. 한국 신령의 체계와 성격 5. 화랑의 종교 문화 6. 한국의 넋건지기-삼천궁녀제와 관련하여 7. 동학혁명의 문화적 의미 8. 최수운과 민중 신앙 9. 한국 단군 신앙의 실태 10. 신흥 종교 11. 민족 종교가 한국 정신 문화에 끼친 영향 12. 한국 종교의 비리와 제도적 개혁 원주 참고 문헌 색인 저자 소개 저자 : ..

한국 종교와 천지인 사상

소개 70여 년 피땀 흘려 한강의 기적을 만들고 세계 12대 경제대국으로 올라 선 한국이 10대 병폐로 무너지고 있다. 세계 제일의 자살과 저출산은 세계 1위이고 거짓과 탐욕은 하늘을 찌르고, 우상숭배와 음행에 동성애, 낙태까지 도를 넘고 있다. 이대로 두면 수년 내 무너질 것 같아 절박한 마음으로 해결책을 강구한다. 먼저 ‘현황’을 살펴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나라가 살아야 가정도, 직장도, 신앙도 유지할 수 있다. 10대 병폐 문화를 변혁할 최상의 대책이 한국종교가 5천년 동안 지켜 내려온 ‘천지인 사상’이었다. “창조주 하나님(天)을 경외하고, 자연(地)을 보호하며, 인간(人)을 사랑하라”는 이 사상을 온 국민이 실천하면 병폐 문화를 변혁하고, 무너지는 나라를 살릴 수 있..

종교이론과 한국종교

책소개 현대적인 의미의 종교학은 제2차 세계대전, 또는 1960년대 이후에 대두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점을 감안할 때 1960년대 말에 이미 우리나라에 현대적인 의미의 종교학이 소개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시기적으로 결코 늦은 것은 아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20여 년 남짓한 기간 동안의 종교학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이다. 물론 이때 한국 종교학은 세계 종교학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른 나라의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한국 종교학이 그대로 지닐 필요는 없다. 다른 나라의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이 해소되었다고 해서 한국 종교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이 모두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른 나라의 종교학이 지니지 않은 문제점을 한국 ..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

책소개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는 2010년 5~6월 KCRP(한국종교인평화회의)가 주최하여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열린 '종교대화콜로키움'에서 발표된 내용들을 수정ㆍ보완한 것이다. 이 콜로키움에는 한국 종교 전반 및 가톨릭,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도교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오늘의 한국 종교가 초심에서 멀어져 갈 뿐만 아니라, 시대정신과 조화하지 못한 채 사회와 불화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문제의식을 구체화시켜 이들 종단이 종교 본연의 자리를 찾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는 종교에 대한 비판적 문헌들이 등장하며, 종단의 현실에 대한 비판도 개개 종단 안에서 드러내놓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종단들의 내부적 현실을 균형감 있게 반영하며 구체적 사례들을 통해 한편으로는 숨기고도 싶지만 솔..

무당과 유생의 대결

책소개 조선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벌어진 성상파괴와 신들을 둘러싼 경쟁 이 책은 조선시대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종교개혁의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조선은 유교를 통해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조선이 건국되는 시점에서 시작돼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진행되었다. 이 책은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종교사를 살펴본다. 우선 풍부한 이미지를 사용하던 고려시대의 종교가 어떻게 유교화 과정에서 성상파괴적 종교문화로 바뀌게 되었는지를 알아본다. 산신이나 불상만이 아니라 유교 전통에서 성인으로 받드는 공자상마저 철거하게 된 동기는 무엇일까? 의례 개혁의 중심부인 명나라보다 오히려 변방의 나라 조선에서 더 철저하게 성상파괴를 실천한 이유는 무엇일까? 1부에서는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한국의 신종교 성지

책소개 종교 성지는 종교 또는 성스러움에 대한 관념이 지표상에 각인된 물질적 토대로서, 종교적 경험과 상징, 특정 인물의 순교와 주요 가르침 선포, 종교 조직의 시작 등과 관련 있다. 나아가 특정 국가나 사회의 역사, 문화, 상징 등과 관련된 복합적인 공간이다. 세계적으로 종교 성지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주목하고 성지를 보존?활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 성지 역시 종교적 차원을 넘어 한국 근대 시기에 민중들이 창출한 문화유산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특정 종교교단의 유산으로만 여기지 않고 그 의미와 가치에 주목한다면 우리는 한국 근대를 대표하는 소중한 문화적 기반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 책은 천도교의 최제우 생가터·울산 여시바윗골, 수운교의 도솔천궁·봉령각, 증산 종단의 대원사·동곡약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