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6.중국인도철학 38

양명학자 채인후의 중국철학사 상책 (2019)

책소개 이 저서는 비록 상·하 양책으로 쓰여 있지만, 「원래는 먼저 5단계의 순서에 따라서 5권의 대저서를 기획하였다.」 그러나 그 분권 분장 분절의 내용으로 보아 대체로 당대 신유가, 주로 「 모종삼(牟宗三)모종삼 선생 등의 저서」에서 열어놓은 사상 구조와 의리 규모의 길에 따라서 표현하고 서술하였다. 중화민국 이래 지식인들의 자기 문화전통에 대한 무지와 닫음[隔?]으로 말미암아 언제나 중국문화는 정체되어 나아가지 못하고, 닫혀버린 계통이라고 생각하였다. 사실 이천여 년 간 크게 열고 발전한 가운데 중국문화는 바로 부단하게 의리를 열고 새롭게 만들었다. 모종삼 선생은 《 중국철학19강중국철학 19강》에서 정확한 풀이를 하였다. 그 이외에 따로 어떤 강연에서 중국철학사상의 10가지 커다란 논변을 거론하여..

중국철학사학사 (상) (하) - 2021

책소개 '중국철학사학사中國哲學史學史'는 1980년대 이후 날로 사람들 의 관심을 끄는 과제인 동시에 중요한 연구 성과들도 거두었다. '중국철학사학사'는 중국철학사의 역사, 즉 중국철학사 학과의 발전사이다. 중국철학사학사는 전사前史, 창설, 마르크스주의 화와 홍콩 대만에서의 발전이라는 몇 개의 단계를 거쳤다. 1983년, 평유란(馮友蘭)은 자기의 「중국철학사」를 재판할 때 쓴 「신서新序」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역사학은 발전하는 것으로서, 그것이 말하는 역사 외에 역사 자 체에도 역사가 있으니 그것을 사학사史學史라고 한다. 중국철 학사의 연구에도 그것의 사학사가 있다. 이 책은 그것이 말 하는 중국철학의 역사를 제외하고도 그 자체가 또 중국철학사 사학사의 한 사료이다. -서론 중에서 목차 서론 · 15 ..

인물로 보는 중국철학사 (2019)

책소개 이 책은 지난 2천년 동안 중국 철학의 토대를 마련한 철학자들의 주요 사상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중국철학은 지난 2천년 동안 동아시아 사회의 현실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런 이유로 중국철학은 동아시아 사회의 제도와 문화적 근간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인들의 심성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유학열(儒學熱)’이라고 불리는 중국철학에 대한 재조명 현상이 사회적 현상으로 대두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철학이 동아시아 사회의 과거 역사를 파악하기 위해 그리고 미래에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매 시대마다 새롭게 이해되어야 할 철학 사조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문제는 현재 국내에서 중국철학을 특징..

신편 중국철학사 (2009)

책소개 중국철학은 서양철학에 비하여 동교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유교' 혹은 '도교'를 철학적 측면과 종교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고찰할 수 있다. 이 책과 기존의 저술이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중국철학을 철학읭 영역에서만 서술하고 종교적 영역을 다루지 않으려고 시도한 점이다. 목차 일러두기 머리말 제1장 중국철학의 정신과 배경 제2장 고대 중국인의 종교 관념 - 상·주 시대 제3장 고대 중국인의 세계관 - 『주역』의 세계 제4장 콩치우와 유교의 창설 제5장 라오딴의 철학사상 제6장 뭐자이의 보편주의 제7장 멍커와 쉰쿠앙에 의한 유교의 발전 제8장 도가사상의 발전과 주앙저우의 철학사상 제9장 상양 및 한웨이와 법가의 발전 제10장 음양오행설과 『주역』의 철학화 제11장 한·당 시기의 철학 제12장 도교와 ..

중국철학의 문제들 (2013)

책소개 중국철학에 대한 18편의 연구를 모은 책이다. 조선유학의 문제도 중국철학의 카테고리에서 탐구했으며, 주역, 공자의 사상, 논어, 법가, 송명 신유학의 인심도심설 등 을 다룬다. 목차 머리말 서론 : 동양철학 연구할 때 생각할 몇 가지 문제 |제1장| ≪주역周易≫의 문제 1. 〈건乾〉괘 ‘원형이정’(元亨利貞) 해석 2. 공자(孔子)는 〈십익十翼〉을 스스로 지었는가? |제2장| 공자(孔子) 사상 및 행적(行蹟) 그리고 맹자(孟子)의 천도론(天道論) 1. ≪논어≫에 보이는 공자의 세계관 2. 공자 사상에 나타난 행복론 3. 공자가 소정묘(少正卯)를 죽인 일에 대한 변증 4. 맹자의 천도론(天道論) |제3장| ≪논어論語≫의 해석학 1. 〈학이편〉 ‘기위인야효제장’(其爲人也孝弟章) 해석에 대한 이론(異論)..

중국철학우화 393 (2007)

책소개 중국철학사에서 가치를 발하는 우화를 모아 옮기고 해설한 책. 중국철학의 우화를 담았으나,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현실을 비추고 있다. 우리가 처한 일상의 사회 현실은 물론, 정치, 외교 등과 같이 좀 더 큰 테두리의 다양한 세계도 다룬다. 이 책은 우화를 통해 철학이란 꼭 어렵거나 논리적이 아니더라도, 모든 이가 느끼는 원초적 이해에서 출발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목차 머리말 - 말로 찌르는 것이 칼로 지르는 것보다 더 아리고 쓰리다 1. 들으면 바로 실천해야 합니까 2. 닭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3. 자로가 나루터를 묻다 4. 먹을 가까이하면 5. 도둑을 막는 방법 6. 잘록한 허리를 좋아한 초나라 왕 7. 도벽이 있어서 8. 동기가 중요하다 9. 하느님이 용을 죽이기 때문에 1..

중국철학의 근본적 재구성을 위한 여정 (2020)

목차 서문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이론적 시야를 확장하기 위하여 1. 세계를 해석하기만 하는 철학, 그것을 넘어선 시야의 필요성 21 2. 중국과 서구의 사유방식, 그 동질화를 극복한 시야의 필요성 25 3. 학술화된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포괄하는 시야의 필요성 30 4. 결정론과 능동론의 관계를 중심에 놓아야 할 필요성 37 5. 실천철학에 기초한 연구 계획 41 제1장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전제 1. 중국화: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내재적 요구 46 1) 유물주의의 방법론적 함의 48 2) 유물주의의 역사적 의의 54 3) 역사적 유물주의: 비판적 역사과학인가, 아니면 사변적 역사철학인가 61 4) 비판적 역사과학: 세계를 바꿀 것인가, 아니면 세계를 해석만 할 것인가 71..

중국철학의 기원과 전개 (2022)

책소개 중국철학의 기원과 전개, 중국철학 연구의 새 지평철학 열다. 일반적으로 철학사는 저자의 철학적 관점이나 시각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철학사 전체를 잘 요약정리하거나, 논란이 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철학사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책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중국의 철학을 서술한다. 저자 정위상 교수는 중국철학이 역사상에서 어떻게 발생하였고, 발전·변천해 왔는지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황을 살펴보고 경전의 해석을 중심으로 중국철학을 전개해 나간다. 시기적으로는 고대에서 한漢대까지의 제자학諸子學 가운데 유儒·도道·묵墨·법法의 사상을 핵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저자는 이러한 중국철학(유학)이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사상문화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현대인들의 삶에 여전히 가..

중국철학의 흐름 (2005) - 공자에서 다시 공자까지

책소개 춘추시대의 공자에서 현대중국의 공자까지, 중국사상의 흐름을 따르고 있다. 동아시아의 양대 사유체계인 유가와 도가의 사상은 물론 음양오행설.묵가.법가 등 원시철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살핀다. 아울러 중국사상과 문화의 맥락을 짚어봄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에 스며있는 사상적 뿌리를 소개한다. 목차 머리말 1. 중국철학은 어떤 단계로 발전해 나갔을까 2. 중국철학의 네 가지 특징 3. “음양·오행”설은 어떻게 이루어 졌나 4. 중용과 인을 강조한 공자사상 5. 백성이 임금보다 귀하다고 말한 맹자 6. 인성에 관한 맹자와 고자의 논쟁 7.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8. 유가에서 말하는 경도와 권도는 무엇인가 9. 도가에서 말하는“도”는 무엇인가 10. 장자는 어떠한 인생관을 가졌을까 11. 선진시기 철..

중국철학 강의 (2011) - 모종삼 교수의

책소개 서양철학과 대비되는 중국철학의 특질은 무엇인가 이 책은 모종삼 교수의 저서 『중국철학의 특질』(中國哲學的特質, 1963)에 대한 번역서이다. 오랫동안 중국철학을 강의해 온 역자는 동양의 철학사상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책으로 주저함이 없이 이 책을 소개한다고 한다. 이 책은 모 교수가 홍콩대학에서 철학에 관심을 갖는 일반 사회 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 초빙에 응해 진행한 강연 기록으로서, 서양의 철학 개념과 철학 체계를 참조하여 중국철학의 특성 나아가 동양철학의 특성을 분명하고도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중국철학을 강의해 온 역자는 동양의 철학사상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책으로 이 책을 소개한다. 이 책은 서양의 철학 개념과 철학 체계를 참조하여 중국철학의 특성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