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7.동양철학이해 47

장자, 쓸모없는 나무도 쓸모가 있다 (2017)

책소개 자신의 쓸모에 대해 고민하는 젊은이들에게 장자가 전하는 메시지 장자가 말한 궁극의 것은 도道 다. 그러나 장자의 도란 무슨 기적과 예언을 행하고, 무슨 천리 바깥의 일을 본다거나 듣는다거나 하는 그런 황당무계한 것들과는 아무 관계도 없다. 모든 만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는 것, 그것이 바로 도다(道通爲一). 이 우주 안에서 모든 만물은 통하여 하나이며, 사물의 형체라고 하는 것은 하늘이 잠시 위탁하여 맡겨놓은 것, 즉 ‘위형 委形 ’일 뿐이다. 거기에 독립?자존하는 실체는 없으며 근원적으로 모든 만물은 하나다. 그러므로 만물은 나이고 나는 만물이다. 나무도 그 형체를 잠시 하늘이 맡겨놓은 것이고, 돌도 그 형체를 하늘이 잠시 맡겨놓은 것이고, 우리 인간도 그 형체를 하늘이 잠시 맡겨놓은 ..

노자, 최상의 덕은 물과 같다 (2021)

책소개 서 있는 곳, 가야 할 곳을 고민하는 우리에게 들려주는 81편의 시와 철학! “이롭게 하나 다투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노자의 철학이다!” 거침없는 직설과 잊혔던 상식을 일깨우는 역설! 국가와 지도자와 국민에게 던지는 2,500년 전의 질문! 그대여, 인위를 버리고 무위자연 속 이 우주의 흐름에 동참하라! 무위의 세계에서 향유하는 즐거운 산책으로의 초대 현실에 대한 위대한 통찰, 전 세계를 넘나드는 폭넓은 사유와 해설! 명쾌한 번역과, 지적인 산문, 그리고 한국 사회에 대한 따듯한 성찰! 도덕경은 과거의 책이지만 오늘날 우리를 위한 위대한 지혜를 담고 있다. 진리는 말할 수 없는 것이지만 사람들은 진리를 찾아 학문을 논하며 오히려 점점 멀어져만 간다. 위대한 철학은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다. 노자..

인문학으로 만나는 몸 공부(2017) - 노장사상으로 배우고 황제에게 듣는 몸의 원리

책소개 현대 의학에 대한 의구심, 노장사상(老莊思想)으로 풀다 현대 의학은 눈부신 발전을 이뤄냈고 지금도 그 발전을 늦추지 않고 있는데 왜 질병은 정복되지 않는가? 저자는 현대 의학의 이런 맹점을 파헤치고 들어가 그 한계에 대해 인식하고 그에 대한 보완점, 더 나아가 현대 의학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장사상(老莊思想)을 제시한다. 현대 의학의 관점으로는 병을 온전히 치료할 수 없으며 그 치료법은 표피적인 것에 불과하다. 병 자체만을 치료하는 것은 땅속에서 썩고 있는 뿌리는 내버려둔 채 눈에 보이는 줄기와 꽃만을 가꾸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병에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데 그것에 대해 알고, 그것을 해결해야 한다는 말이다. 저자는 그 근본적인 문제를 이해시키기 위해 노장사상을 바탕으로 쓰인 의학서..

노장사상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기 (2013)

책소개 사람들은 유형(有形)의 가치만을 알고 무형(無形)의 가치를 모르며 유(有)가 이(利)로운 줄만 알고 그 배후에서 작용하는 무(無)를 모른다. 세속인의 시각으로 보면 장자철학은 쓸모없이 보인다. 그런데도 그의 철학은 시대와 지역을 넘어서서 여러 분야에서 끊임없이 되살려지고 꽃이 핀다. 시대가 바뀌고 지역이 달라도 다시 살아나 꽃이 피어나는 사상과 철학을 담고 있는 책이 고전(古典)이다. 『장자(莊子)』는 대표적인 고전이다. 장자가 만약 재림(再臨)한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行動)하면서 살아갈까? 이 책은 이에 초점(焦點)을 맞추어 보았다. 우리는 이 고전에서 오늘날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 생명의 소중함 1. 들어가는 말 ..

노자가 옳았다 (2020)

책소개 이 한 권의 책으로 노자철학이 해결된다! 인류의 고전 중 가장 뛰어난 철학과 지혜를 담은 [노자 도덕경]을 철학자 도올 김용옥이 유려한 우리말로 번역하고, 그 깊은 뜻을 명료하게 해설한다. 저자는 『노자가 옳았다』에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동과 코로나바이러스사태를 맞이하는 현재 인류문명을 위기상황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난관을 돌파하는 사상으로서 노자철학을 유일한 희망으로 제시한다. 21세기를 위한 철학으로서 노자는 이미 2천 5백 년 전부터 준비되어 있었던 것이다. 도올은 그동안 저술과 강연을 통하여 노자사상을 꾸준히 한국인의 삶으로 내면화시켜왔다. 50년 전 노자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철학을 시작해온 도올 김용옥의 사상궤적에서 노자는 가장 결정적이다. 그는 노자를 인류 최고의 철학이라 여긴다..

노장 사상 (2004) - 철학적 해석

책소개 철학·종교 이념으로서의 노장 사상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책이다. 난해하고 접근하기 힘든 노장 사상의 세계를 도(道), 무위(無爲), 소요(逍遙)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1980년 출시된 이 책은 독자로부터 꾸준히 좋은 반응을 얻어 18쇄를 거듭한 바 있다. 이번에 새로 나오게 될 개정판은 세 가지 점에서 초판과 다르다. 첫째, 초판에 있었던 오자, 서툰 어휘 및 문장을 다듬었다. 둘째, 새로운 독자층인 한글 세대를 위해 많은 한자를 모두 한글로 바꾸었다. 셋째,'도(道)와 이성(理性) - 동서철학 사유의 두 양상'이란 제목의 논문을 첨가했다. 목차 1. 문제와 방법 문제 방법 2. ‘도’와 진리―철학으로서의 노장 사상 존재와 언어 존재와 ‘도’ 자연과 도 존..

사서색인 四書索引 (2022) - 21세기에 다시 살펴보는 공맹사상 孔孟思想

책소개 우리 국민의 가치나 규범의 기초가 되는 민족 감정(National Sentiments)의 내용과 연원을 표현할 때 사서(四書)와 오경(五經)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참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 속에 공자와 맹자가 제시한 길은 인간의 됨됨이에 관한 근본적인 성찰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사서색인』은 ‘색인(索引)’이라는 독특한 체제로 사서를 들여다본다. 표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입문자들에게도 손쉽게 원전(原典)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목차 序文 1장 論語 索引 일반색인 孔子와 日常 인물 평가 1 (弟子 外 인물) 인물 평가 2 (弟子) 弟子들의 비교 2장 孟子 索引 孟子 孔子의 行績 인간관계 (‘孝悌’ 參考) 君 君子 大人 民意, 民主主義 方法論 福祉, 人..

한비자 법가사상 (2018) - 제자백가의 생각

소개 한비자 법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3) 법가[ 法家 상앙·신불해(申不害)·한비자에 의해 대표되는 학파. 그 사상은 춘추시대의 패도에 부응해서 일어나, 전제 지배체제를 지향하는 군주에게 채용되어 진·한의 중앙집권적 고대 제국의 형성에 이론적 기초를 주어 대성한 이후는 유가(儒家)의 정통화에 따라 독자적인 발전이 방해를 받았다. 천하를 다스리는 원리는 인·의·예와 같은 덕치주의보다는 엄격한 법치주의가 근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 설은 법(군주가 정하는 규범)과 술(術:법을 행하는 수단)로써 이루어져 있으며, 명(名:명령)과 형(形:실적)의 일치·불일치에 의한 시비의 판단을 술의 중요 요소로 하고 법의 엄중한 이행에 의한 부국강병의 달성과 전제적 군주 권력의 확립을 꾀한 것이다. 한비..

노자와 도가사상 (2007)

책소개 노자를 위대한 체계를 갖춘 사상가로서보다는 여러 가지 생활의 지혜와 문화 형성의 동기를 마련해 준 인물로 다루고 있는 책이다. 노자 자신의 생애를 비롯 시대 배경, 노자 사상의 발전, 그리고 노자와 도교 등 주변의 탐색을 통해 중국 문화사 전반에 걸친 노자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제1절 『노자』의 현대적 의의 제2절 서양에 노자는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 제2장 노자의 생애와 『노자』의 저자 제1절 노자의 전기 제2절 신선으로서의 노자 제3절 『노자』의 저자와 그 시대 제3장 시대 배경 제1절 주의 건국과 발전 제2절 춘추시대와 전국시대 제3절 도가의 형성 제4절 노자와 제자 제4장 『노자』의 특징 제1절 『노자』의 구성과 내용 제2절 『노자』의 전승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