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7.동양철학이해 47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 (2019)

책소개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가 기원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과정을 일별할 수 있는 책 유가하면 현재보다 과거에 초점을 둔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유가 역사관의 특성이 옛날 또는 옛것을 높인다는 상고尙古 또는 숭고崇古에 있다고 한다. 특히 유가가 하夏·상商·주周의 삼대三代, 즉 세 왕조를 황금시대로 보고 있고 이를 현실에서 재현하려고 하는 점에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황준걸은 유가의 상고와 숭고 특성을 애써 감추거나 부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대신 유가의 역사가 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그 연원을 끈질기게 추적하여 밝히고 또 그 영향을 꾸준하게 조사하여 밝히는데 이 점에서 이 책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황준걸은 상고 또는 숭고가 옛..

유가사상과 현대사회 (2009)

책소개 수천 년 전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활약했던 공자,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에 이르기까지 제자백가들의 유가사상을 조명해 보고 그들의 사상이 현대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심도 있게 접근하고 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유가사상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 고민하고, 나아가 우리의 삶에 유익하도록 발전시키는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중국의 고전이 공자나 맹자의 유가사상을 시작으로 많은 학술사상이 나타나서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관련한 여러 고민거리를 다루고 있으며, 이것들은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과거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게끔 할 만한 시사점을 던져주는 학술이나 사상으로 발전해 갔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렇듯 공자의 유가사상은 오늘날 우리들에게 보다 절실하고도 실질적인 도..

유가사상의 인문학적 숨결 (2011)

책소개 저자는 유가사상을 인간경영학이라는 관점에서 이 책을 썼다. 제1부는 사람답게 사는 것이 인간의 생명을 제대로 산다는 의미로서 사람다움의 들숨이라 하고, 제2부는 아름답게 사는 것이 인간의 삶의 가치를 자진다는 뜻에서 아름다움의 날숨이라 하였다. 목차 서 문 서 설_사람답게, 아름답게 세상사는 법 제1부 사람다움의 들숨 1장 유가의 사람다움과 인간 덕성 2장 유교공동체와 인간사회의 문화환경 3장 인륜사회의 생명윤리 4장 효제자의 환경윤리 5장 성사상의 시종여일 6장 성명의리학의 인극론 7장 실사구시의 과학 정신 제2부 아름다움의 날숨 1장 예악사상의 아름다운 문화의식 2장 우리 무도의 인체문화 3장 석전제사의 집회 문화적 양식 4장 제례악무의 생명미학 5장 공문심법의 중화사상 6장 나눔의 부자 경영..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소개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1) 孔子-공자(B.C. 551-479)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라고 하였다. 그는 노국(魯國) 사람으로 숙량흘(叔梁紇)의 아들이다. 그는 15세에 학문 탐구에 뜻을 두고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라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 이처럼 노력 정진한 결과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점차 나이가 들면서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배움을 청하였다. 공자는 실천적인 교육가인 동시에 정치가이다. 그는 교육자생활 이외에 노국의 사공(司空)과 사구(司寇)라는 벼슬을 지낸 일도 있다. 그러나 뒷날 그의 정치적 이상이 실현되지 않게 되어 B.C. 497년 노나라를 떠나 위(衛)나라로 갔고, 이로부터 13년 동안 열국(列國)를 ..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1998)

책소개 유가사상의 사회 정치철학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유가의 정의관을 시작으로 공자/맹자, 맹자/순자, 유가/묵가의 정의관을 비교하고 있으며 유가와 권리, 유가와 자유주의의 양립 등 유가사상의 현대 적용의 문제 또한 살피고 있다. 목차 1. 유가의 정의관 유가의 정의관 공자 · 맹자의 정의관 비교 맹자 · 순자의 정의관 비교 유가 · 묵가의 정의관 비교 의리와 정의 2. 유가의 사회철학 유가는 '법치' 에 반대하였는가? 유가는 '권리' 의 개념이 있었는가? 유가는 '자유주의' 와 양립가능한가? 3. 신유가의 사회철학 주자를 통해 본 '합리성' 의 의미 주자와 진량의 왕패(王覇)논쟁 주자의 형이상학에 담긴 사회철학적 함의 책 속으로 유가의 예치는 법치와 무관하거나 배타적인 통치이념이 아니라, 실정법은 인간..

철학적 주제로 본 유가사상 (2010)

책소개 저자가 지금까지 주로 유가에서 철학문제를 중심으로 썼던 논문들을 엮어 제작한 책이다. 철학 문제만을 집중해서 논문으로 쓰려는 기획은 없엇지만 저자가 그동안 독서, 강의, 학회 발표 때 토론하면서 생각날 때무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썼고 그 논문들을 각각 형이상학, 마음, 지각, 윤리, 논리, 정치, 과학으로 분류하여 엮어내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형이상학 제1장 이약(理弱): 퇴계 이황 제2장 리와 상제의 관계: 퇴계 이황 제3장 이무위(理無爲)의 주재: 율곡 이이 제4장 초형기성(超形氣性)의 성립 검토: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제2부 마음 제1장 심성에 대한 시공간적 인식: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제2장 마음의 몸에 대한 주재: 간재 전우 제3장 인물성동이론 비판: 한주 이진상 제3부 지각 제..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2006)

책소개 이 책은 인간이 도덕적으로 행위하고 도덕적으로 살아야 하는 궁극적 이유는 무엇이며, 인간이 도덕적으로 행위하고 살아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어떠한 원칙(原則)과 규범(規範)에 의해서 도덕을 실현하며, 도덕을 실현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선진 유가 철학, 특히 공자와 맹자의 사상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논하는 것은 실천의 토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의 목적은 우선 불변하는 도덕적 행위의 원칙과 시공에 따라 변화되는 도덕규범에 대해서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 철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유가의 도덕철학적 구조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현대의 도덕적 문제들에 대한 일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