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역사기행 (책소개)/2.역사문화산책 55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책소개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는 일반 대중이 역사의 현장을 찾고 즐길 수 있도록 기획한 것이다. 역사의 현장을 찾아 나가는 일을 역사기행 또는 답사라고 일컫는다. 현장 답사는 준비부터 직접 찾아가기까지 시간과 노력, 특히 발품을 필요로 한다. 잘 알려진 곳도 많지만 아직 대중이 공유하지 못한 곳도 적지 않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 무엇에 초점을 둘 것인가에 따라 평범한 곳도 역사의 현장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열다섯 가지 주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현장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총론 제1부 해외에서 찾는 우리 역사 현장 제1장 요동의 고구려 성을 찾아서 제2장 조선통신사와 문화 교류의 현장 제3장 상하이 와이탄: 만국건축과 독립운동 제4장 일제 말기 오키나와로 강제동원된 조선인들 제5장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소개 진짜 여행자들을 위한 콤팩트 사이즈 ‘답사기’! 소장 가치 듬뿍한 답사여행 가이드북으로 재구성 권역별 세 권으로 충실한 구성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모두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답사기’ 국내편의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했다. 1권 중부권에는 경기·충청·강원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돌아본다. 백제의 역사를 따라가는 부여·논산·보령 기행, 폐사지 답사의 운치를 새롭게 일깨워준 바 있던 원주를 비롯한 강원도 기행 등이 실려 있다. 2권 전라·제주권에는 ‘답사기’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던 ‘남도답사 일번지’ 기행과 관광지이기만 했던 제주의 문화유산을 재조명한 제주도 답사기 전문이 실려 있다. 3권 경상권에는 무수한 문화유산의 전시관인 경주 기행, 운문사와 부석사로 대표되는 경상도의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 : (서울편2) 유주학선 무주학불

독보적 베스트셀러 시리즈의 백미 유홍준, 마침내 서울을 말하다! 한국 인문서를 대표하는 독보적인 시리즈로서 380만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돌아왔다. 햇수로 25년 동안 8권의 국내편과 4권의 일본편이 출간된 ‘답사기’가 드디어 수도 서울에 입성하여 서울편 1권 ‘만천명월 주인옹은 말한다’와 2권 ‘유주학선 무주학불’을 선보인다. 저자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공존하는 거대 도시 서울의 문화유산과 역사를 섬세하고 날카로운 통찰로 바라보는 한편, 그와 얽힌 이야기들을 특유의 편안한 입담으로 풀어냈다. 특히 ‘서울편’에서는 ‘답사기’가 한 단계 높은 경지에 올라섰다는 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역사, 예술, 문화를 아우르는 방대한 정보를 절묘하게 엮고 쉽게 풀어내는 저자의 솜씨가 절정에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9 : (서울편1) 만천명월 주인옹은 말한다

독보적 베스트셀러 시리즈의 백미 유홍준, 마침내 서울을 말하다! 한국 인문서를 대표하는 독보적인 시리즈로서 380만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돌아왔다. 햇수로 25년 동안 8권의 국내편과 4권의 일본편이 출간된 ‘답사기’가 드디어 수도 서울에 입성하여 서울편 1권 ‘만천명월 주인옹은 말한다’와 2권 ‘유주학선 무주학불’을 선보인다. 저자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공존하는 거대 도시 서울의 문화유산과 역사를 섬세하고 날카로운 통찰로 바라보는 한편, 그와 얽힌 이야기들을 특유의 편안한 입담으로 풀어냈다. 특히 ‘서울편’에서는 ‘답사기’가 한 단계 높은 경지에 올라섰다는 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역사, 예술, 문화를 아우르는 방대한 정보를 절묘하게 엮고 쉽게 풀어내는 저자의 솜씨가 절정에 ..

한양도성 순성길 : 두 발로 쓴 성곽 이야기 (서울나들이 명소)

정신없이 반복되는 일상, 기분 전환이 필요하지 않나요? 그러나 막상 떠나려면 번거로운 준비와 교통체증 걱정으로 머리부터 지끈해온다. 이럴 때 한 걸음 물러나보라. 주변에도 힐링할 수 있는 곳이 많다. 산과 강, 궁(宮)·능(陵)·성(城)·시(市)는 모두 나들이 명소이다. 그 동안 저자는 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잠자는 서울의 역사를 깨우고 사람과 나눈 이야기를 기사로 소통해왔다. 그 이야기를 모아 eBook "두 발로 쓴 성곽 이야기 _ 한양도성 순성길」“로 엮었다. 한양도성은 1396년(태조 5년)에 백악 · 낙타 · 목멱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을 연결하여 축성하였다. 높이 5~8m, 길이 18.627km, 체성과 4 대문, 4 소문, 여장, 옹성, 곡성, 암문, 수문 등을 갖춘 수도 방어시설이다.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