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한국근대사 연구 (책소개)/4.대한제국사

한국의 황제

동방박사님 2022. 10. 31. 06:39
728x90

책소개

 
절대권력을 움켜쥐고 부귀영화를 누리는 '황제' 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이 우리나라의 황제들에게도 해당되는가. 우리 역사상 황제에 등극했던 인물은 대한제국의 고종과 순종 뿐임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나라를 잘못 통치한다는 국민의 비난 속, 재위 기간 내내 내우외환에 시달렸고 한 많은 생을 마감했던 비운의 황제 이야기를 소개한다. 19세기 말, 불과 백년 전의 일이지만 기억에서조차 희미해진 존재 한국의 황제. 사진과 자료를 통해 그들을 중심으로 한 우리의 100년사를 돌아본다.

목차

1. 황제란 무엇인가
2. 한국의 황제들
3. 황제의 권력과 시책
4. 대한제국의 몰락과 황제의 죽음
5. 황제시대의 의례와 기념물
6. 새로운 문물의 등장
7. 황궁과 황실

저자 소개

저 : 이민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충북대, 청주대, 교원대, 단국대, 경희대 등에서 한국사, 한국근현대사, 근대동양외교사 등을 강의하였으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위원, 한국보훈교육연구원 연구부장, 원광대 초빙교수, 국제한국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의 황제』(2001),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2002), 『Q&A한국사5: 근현대』(2008), 『조...
 

책 속으로

대한국국제
제1조 대한국은 세계만국이 공인한 자주독립국이다.
제2조 대한제국의 정치는 전제정치이다.
제3조 황제는 무한한 군권을 향유한다.
제4조 신민이 황제의 군권을 침손할 경우는 신민의 도리를 잃은자로 본다.
제5조 황제는 육,해군을 통솔하고 편제를 정하며, 계엄과 해엄의 권한을 갖는다.
제6조 황제는 법률을 제정하고 그의 반포와 집행을 명하며, 국내법률을 개정하고 대사,특사,감형,복권의 권한을 갖는다.
제7조 황제는 행정 각부의 관제와 문관의 봉급제정 혹은 개정권과 행정 칙령을 내릴 권한을 갖는다.
제8조 황제는 문무관의 임명을 행하며 작위, 훈장 및 기타 영전을 수여 혹은 박탈할 권한을 갖는다.
제9조 황제는 각 조약군에 사신을 파견, 주재하게 하며 선전, 강화 및 제반조약을 체결한 권한을 갖는다.
--- pp.28-29
나는 종사(宗社)의 죄인이되고 2천만 생민(生民)의 죄인이 되었으니, 한목숨이 꺼지지 않는 한 잠시도 이를 잊을수없다. 노력하여 광복하라 -융희황제 유조(遺詔)
--- 2001/05/19 (escamilloo)
고종의 뒤를 이어 순종이 즉위하자 고종은 태황제로 불리게 되었다. 무론 실권이 없는 자리였다. 그로부터 불과 3년 뒤 일본은 대한제국을 무력으로 병탄하면서 황실의 의례를 모두 왕실의 격으로 바꾸어 놓았다. 대일본제국 천황 지배하의 속국이라는 것이다. 마치 명나라나 청나라에 조공을 하던 옛날의 조선으로 환원시킨 것이다.

이후 헌병과 경찰에 의한 일제의 무단통치 아래 국민 모두 수난을 겪어야 했다. 고종도 경운궁에 은거하여 만년을 고독하게 보냈다. 그러나 일제의 감시는 지속되었다. 망명정부를 수립하려는 이상설 등 해외 독립운동가들이 고종황제를 해외로 망명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런 노력도 물거품이 된 채 1919년 1월 21일. 고종은 경운궁에서 한 많은 생을 마감하였다. 향년 68세였다.

고종의 죽음에 대해서는 당시부터 독살설이 강력히 제기되어 왔다. 평소 고종의 건강에는 문제가 없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니까 갑자기 하루 동안 앓다가 사망한 것이다. 실록의 기사에는 하루 전에 발병하여 다음날 사망한 것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p. 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