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1.고대.삼국.통일신라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동방박사님 2022. 11. 23. 07:39
728x90

책소개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는 한국고대사연구에서 마주치는 이론상의 문제를 논한 글들로, 고대사회의 성격론과 고대국가구조론이 그것이다. 이에서는 지난 70여 년간 전개되었던 고대사회의 성격에 관한 연구성과를 이해하고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고대와 중세의 분기점을 언제로 설정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그간의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이어 근래 한국학계에서 고대국가의 구조와 고대국가의 발전과정을 둘러싼 논의의 핵심적인 주제가 되고 있는 부체제론에 관해 논하였다.

책의 후반부는 한국고대사연구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몇몇 주제들에 관한 논고들로 구성되어 있다. 백제의 주민구성, 삼국시대인의 천하관, 고구려의 한강유역 병탄과 그 지배 양태, 연개소문론, 대당전쟁기(669-676) 신라의 대외관계와 군사활동, 신라시대의 문객,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등이 그것들이다.

 

목차

제1장 고대사회 성격론? 설정을 둘러싼 제 논의
1. 20세기 전반기에 제기된 여러 논의
2. 20세기 후반기의 여러 설
1) 삼국초기설
2) 고려 후기조선 초기설
3) 통일기 신라설과 신라 말 고려 초기설

제2장 고대국가 구조론
1.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 부체제론을 중심으로
1) 고대국가의 구조에 관한 그간의 논의
2) 삼국 초기의 국가구조
3) 읍락민과 ()
4) 관등제와 제의
5) 맺음말: 부체제의 개념

2. 삼국시대의 부와 부체제: 부체제론 비판에 대한 재검토
1) 삼국 초기 부의 성격
2) 부체제하의 왕의 위상
3) 부의 행정단위화와 부명 관칭의 의미
4) 부체제론과 연맹체론
5) 맺음말

3. 울진봉평신라비와 신라의 관등제
1) 봉평비에 보이는 인명과 관등
2) 관등의 표기방식

제3장 삼국의 주민구성과 삼국시대인의 천하관
1. 문헌상으로 본 백제의 주민구성
1) 4세기 말 5세기 초의 주민구성
2) 한과 예 및 백제 왕실의 종족적 기원과 상호관계
3) 백제인의 형성

2. 삼국시대인의 천하관
1) 신성왕() 관념과 천손국의식
2) 인접국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3) 동아시아와 삼국인의 천하
4) 맺음말

제4장 삼국 간의 항쟁과 통일전쟁
1. 고구려의 한성지역 병탄과 그 지배 양태
1) 475년 고구려의 한성 공략전의 국제적 배경
2) 한성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 양상

2. 연개소문론
1) 연개소문의 생애
2) 자주와 단합의 상징인가, 억압과 분열의 원흉인가?

3. 대당전쟁기(669676) 신라의 대외관계와 군사활동
1) 670년 오골성 전투
2) 왜와의 관계 개선
3) 대당전쟁의 추이

제5장 통일기 신라와 발해의 역사상
1. 나대()의 문객()
1) 문객의 존재
2) 문객의 신분 및 귀족과의 관계
3) 문객의 연원
4) 문객의 변전()
5) 장보고 집단

2.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고려별종과 발해족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1) 고려별종의 실체
2) 예맥말갈론
3) 발해족은 존재했나?
 

저자 소개

저자 : 노태돈
1949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명대 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임중이며, 하바드-엔칭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