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전쟁연구 (독서)/8.전쟁기억평화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화 (상.하)

동방박사님 2023. 1. 14. 18:09
728x90

책소개

전쟁이라는 비상한 국면은 한 나라, 한 문화권에서 대단히 격렬하고 총체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역사적 경험이다. '지금 여기'에서 전쟁을 통한 역사의 현실을 돌아보는 일은 공적 기억에 억압되었던 전쟁의 기억들을 복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해자로서 우리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이기도 하다. 전쟁의 국면을 클라우제비츠의 관점처럼 주권국가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내부적인 조건으로 간주하면 '살아남기 위한 난민들의 처절한 피난, 이주, 실향, 이산은 물론 인간 이하의 삶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기아와 학살의 공포, 포로 체험 등등 다양한 아래의 현실이 부상한다.

전쟁은 그 역사적 기억만큼이나 개인의 살아있는 '지금 여기'우리의 현실이고, 정치 사회와 역사의 자리에서 이야기되고 다시 재구성되어야 할 대상이다. 따라서 '기억'을 중심으로 한 전쟁 담론의 특성은 공공의 기억을 만들어내는 국가와 민족의 거시사 차원부터 개인에 이르는 미시사차원에 이르는 폭넓고 역동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이 책도 이런 학제적 관심과 그 현재적 가치에 대한 성과를 한데 모아 본 결과물이다.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범주를 감안해서 전쟁에 대한 문제의식을 표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판단되는 26편의 글을 모아 이 책에 실었다.

목차

제 1 부 전쟁의 현실과 논리

윤명철: 고구려와 수당 전쟁의 성격에 관한 해석
김영숙: 영남의병 관련 임란 격문의 실상과 의의
한명기: 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
오문환: 동학의 국가건설사상
함동주: 중일전쟁과 미키 키요시의 동아협동체론
정종현: '중일전쟁'과 탈식민의 환타지
김동춘: 한국전쟁시 민간인학살 문제의 해법과 그 의미
강정구: 한국전쟁과 민족통일

제 2 부 전쟁 경험과 기억의 재구성

김태준: 정유년 포로 조완벽과 기리시탄
이채연:『정광주피란록』의 임란 수용 양상
이승수: 심하 전역과 김장군전
권명아: 문예영화와 공유기억 만들기
김미정: 1950ㆍ60년대 한국전쟁 기념물
최호근: 미국인의 홀로코스트 기억

책소개

전쟁이라는 비상한 국면은 한 나라, 한 문화권에서 대단히 격렬하고 총체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역사적 경험이다. '지금 여기'에서 전쟁을 통한 역사의 현실을 돌아보는 일은 공적 기억에 억압되었던 전쟁의 기억들을 복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해자로서 우리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이기도 하다. 전쟁의 국면을 클라우제비츠의 관점처럼 주권국가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내부적인 조건으로 간주하면 '살아남기 위한 난민들의 처절한 피난, 이주, 실향, 이산은 물론 인간 이하의 삶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기아와 학살의 공포, 포로 체험 등등 다양한 아래의 현실이 부상한다.

전쟁은 그 역사적 기억만큼이나 개인의 살아있는 '지금 여기'우리의 현실이고, 정치 사회와 역사의 자리에서 이야기되고 다시 재구성되어야 할 대상이다. 따라서 '기억'을 중심으로 한 전쟁 담론의 특성은 공공의 기억을 만들어내는 국가와 민족의 거시사 차원부터 개인에 이르는 미시사차원에 이르는 폭넓고 역동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이 책도 이런 학제적 관심과 그 현재적 가치에 대한 성과를 한데 모아 본 결과물이다.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범주를 감안해서 전쟁에 대한 문제의식을 표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판단되는 26편의 글을 모아 이 책에 실었다.

목차

제 1 부 전쟁과 문학의 응전-고전편

김승호: 임란시 승장의 설화전승 양상
김갑기: 승장의 전쟁시
장경남: 『산성일기』의 형성과 서사적 특성
조혜란: 「강도몽유록」 연구
이유경: 고소설의 전쟁 소재와 여성영웅 형상
채길순: 동학혁명의 소설화 과정과 미래적 과제
오출세: 동학가사의 근대지향성

제 2 부 전쟁과 문학의 응전-현대편

정홍섭: 학살의 기억과 진정한 평화의 염원
홍용희: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시적 대응 비교 고찰
유임하: 타자화된 기억의 상상적 복원
조 은: 차가운 전쟁의 기억
박명림: 전쟁과 기억, 정치와 문학
황광수: 억압된 기억의 해방과 역사의 지평
송승철: 용병의 교훈: 베트남전쟁소설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