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역사이야기 (독서)/10.오키나와

오키나와 노트

동방박사님 2023. 4. 2. 07:27
728x90

책소개

올해는 일본의 패전으로 미군에 점령되었던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지 40년이 되는 해이다.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기지의 섬, 일본과 일본인의 무관심과 방치 속에서 전쟁의 현장이 된 외로운 섬 오키나와!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를 듣고자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 오에 겐자부로가 나섰다. 오키나와를 가면 갈수록 작가는 ‘본토란 무엇인가’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라며, 일본인들이 말하는 전후민주주의에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작가 스스로 말한다. 절망적이고 불편한 거절의 땅 오키나와를 문학과 윤리의 상상력을 끄집어내는 실마리로 삼을 수밖에 없다고.

문학적 감수성으로 현실에 눈높이를 맞춰 생생하게 써내려 간 『오키나와 노트』는 일본과 일본인, 동아시아의 평화 문제를 생각해 보는 데 그 어떤 역사책이나 사회과학 서적보다 적절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  

목차

프롤로그

1. 일본이 오키나와에 속한다
2. 《야에야마 민요지》 1969
3. 다양성을 향하여
4. 내면적 류큐처분
5. 씁쓸한 세상
6. 이의신청을 받으며
7. 전후세대의 지속
8. 일본의 민중의식
9. ‘본토’는 실재하지 않는다

옮긴이의 말
 

저자 소개

저 : 오에 겐자부로 (Kenzaburo Oe,おおえ けんざぶろう,大江 健三郞)
 
일본 소설가.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 1935년 일본 에히메현의 유서 깊은 무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1954년 도쿄대학 불문과에 입학했고, 논문 「사르트르 소설의 이미지에 관하여」로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발표한 단편소설 「기묘한 아르바이트」(1957)가 [마이니치신문]에 언급되면서 주목받고 평론가들의 좋은 평을 받으며 작가로 데뷔했다. 이듬해에 단편 「사육」으로 일본 최고 권위의 아쿠타가와상을 최연소 수...
 
역 : 이애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계명대학교 일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일어일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일본문학의 흐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히로시마 노트』,『근대 일본의 사상가들』(공역), 『세 천황 이야기』(공역), 『일본인의 전쟁관』(공역)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남국의 휴양지, 미군기지로 신음하는 야만의 땅

오키나와는 에메랄드빛 산호바다와 야자수, 맹그로브 숲으로 유명한 남국의 휴양지이다. 또한 세계 최고의 장수 지역인 이 섬은 오랫동안 '시마우타'라고 불려온 전통 음악과 아무로 나미에를 비롯한 ‘오키나와 팝’이 유명하다. 너무도 평화로운 민요와 노래 가사는 오키나와의 비극적 역사를 너무도 서정적으로 담아냈기에 전율할 정도이다.

그런가 하면 동중국해와 북태평양을 가르는 이곳은 지정학적으로 중국 대륙을 향해 부챗살처럼 펼쳐져 있는 미국의 태평양함대의 전진기지이기도 하다. 최근 언론에 자주 언급되는 동북아시아 최대의 미군기지인 가데나 공군기지와 후텐마 해병대 기지(MCAS Futenma)가 바로 여기에 있다. 미국 해병대는 1996년 일본과 합의하에, 한반도 유사시 미 해병대의 비행기 300대가 후텐마 기지에 배치되어 작전에 들어가기로 정해져 있다. 놀랍게도 오키나와에는 일본 전체 미군기지의 75%가 들어서 있으며, 이 섬 전체 면적의 20%가 미군기지이다.

본토 반환 40주년, 오키나와의 평화를 생각한다

올해는 일본의 패전으로 미군에 점령되었던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지 40년이 되는 해이다.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기지의 섬, 일본과 일본인의 무관심과 방치 속에서 전쟁의 현장이 된 외로운 섬 오키나와!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를 듣고자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 오에 겐자부로가 나섰다. 오키나와를 가면 갈수록 작가는 ‘본토란 무엇인가’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라며, 일본인들이 말하는 전후민주주의에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작가 스스로 말한다. 절망적이고 불편한 거절의 땅 오키나와를 문학과 윤리의 상상력을 끄집어내는 실마리로 삼을 수밖에 없다고.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축소판

[장면 1] 1879년, 총도 칼도 없던 평화의 공동체 류큐 왕국은 일본에 편입되어 오키나와 현으로 탄생한다(류큐처분). 메이지 정부의 류큐처분관 마쓰다 미치유키는 수행원 30명과 순사 160명, 보병 400명을 거느리고 왕궁 슈리성으로 쳐들어가 왕국 체제를 폐지시키고, 류큐의 국왕 쇼타이 왕을 강제로 일본 도쿄에 압송하였다. 류큐국의 마지막 왕이었던 쇼타이 왕은 메이지 정부에 의해 강제로 도쿄에 이주당해 후작에 봉해지게 된다.

[장면 2] 1903년, 오사카에서 박람회가 열린다. 권업박람회 기간에 학술 인류관이라는 부스에 오키나와 여성 두 사람이 ‘진열’되었다. 그녀들은 곰방대와 야자수 잎 부채를 들고 오두막에 앉아 있었고, 채찍을 든 남자가 여인들을 ‘이놈’이라고 부르며 설명했다고 한다.

[장면 3] 1945년, 태평양전쟁 막바지 오키나와에 상륙작전을 감행한 미군 18만 명에 맞서 일본군 7만 명이 지상전투를 벌이는 최후의 격전지가 된다. 미군의 일본 본토 상륙을 최대한 저지하기 위해 일본은 오키나와에 미군을 최대한 묶어두려 했다. 6월 미군이 오키나와를 점령하기까지, 3개월의 짧은 전투에서 오키나와 주민 4분의 1인 12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일본 제국은 주민들에게 “미군에게 잡히면 여자는 능욕당하고 남자는 사지가 찢겨 죽는다”며 ‘옥쇄’ 깨끗이 부서져 산화함)를 강요했다. 뒷날 동굴 속 현장에는 칼과 끈으로 서로 죽인 처참한 시체들이 널브러져 있었다. 부모가 자식을, 형이 아우를 죽인 이 참상은 오키나와 역사의 가장 끔찍한 장면이다.

[장면 4]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미일안전보장조약’에 의해 패전국 일본의 영토 오키나와는 미국의 통치 아래 놓인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국가의 보호를 받지도 못하고 주권도 행사할 수 없는 그야말로 점령지 주민일 뿐이었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을 수행하면서 미군은 오키나와를 후방지원 기지로 사용했다. 1960년대 들어 일본 본토에서 안보투쟁과 베트남 반전운동이 타오르면서 오키나와 문제는 조금씩 관심을 끌기 시작했고, 오키나와 본토 반환운동도 본격화되었다.

[장면 5] 1972년, 사토 일본 총리와 닉슨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1972년 5월 오키나와는 드디어 일본에 반환된다. 반환협정이 발효되던 날 본토 도쿄와 오키나와 나하의 기념식은 전혀 다른 행사였다. 그 뒤로도 오키나와 사람들은 본토 일본인에게 차별과 소외를 받고, 주둔해 있는 미군 병사들에게 수많은 여성과 소녀들이 성폭행을 당해 왔다. 오키나와는 인간의 존엄과 공생이라는 측면에서 외면할 수 없는 현대국가의 모순이 총체적으로 얽혀 있는 모순의 땅으로 남게 되었다.

기나긴 법정 소송 끝에 승리한 작가의 진실 찾기!

이 책은 1969년 1월, 오키나와 반환운동에 평생을 바친 후루겐 소켄 씨 장례식에서 출발한다. 서른여덟이라는 나이에 요절하기까지 16년 동안, 고향의 본가에서 하룻밤을 보내지 못한 이 젊은 활동가에 대한 추도글은 《오키나와 노트》의 프롤로그가 된다. “죽은 자의 참담한 분노를 공유할 뿐이다. 그리고 그 분노의 창끝이 우리를 향하게 해야 한다. 그래도 후루겐 소켄 씨의 진혼은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일본인이란 무엇일까? 그렇지 않은 일본인으로 나 자신을 바꿀 수 있을까?” 무슨 뜻인지 금방 이해하기 어려운 이 물음을 던진 작가는 이 책의 마지막 단락까지 끊임없이 되묻고 있다. 그러고는 “헌법 제22조 국적 이탈의 자유를 알면서도 그대로 일본인으로 남아 있는데, 어떻게 내 마음속의 오키나와 노트를 완결할 수 있겠는가?”로 끝맺는다. 이 책에는 ‘에필로그’가 없다. 본토 일본인으로써 느낀 근원적인 고뇌와 반성은 전후 일본의 양심적인 작가로 성장해 가는 오에 겐자부로 문학을 형성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오키나와전투 때 집단자결 문제로 2005년 일본 우익은 《오키나와 노트》를 출판한 이와나미서점과 지은이 오에 겐자부로를 법원에 제소했다. 오키나와 전투의 집단사에 일본군이 어떻게 관여했는가라는 해묵은 쟁점이 타오른 것이다. 재판이 진행되던 2007년, 이번에는 문부과학성이 교과서 검정에서 군의 강제 부분을 삭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와 관련하여 2007년 9월 29일에 열린 오키나와 현민대회 참가자는 주최 측 추산으로 116,000명에 이르렀다. 140만을 약간 밑도는 주민의 10퍼센트에 육박한다. 2008년 3월과 10월에 이어, 2011년 4월의 대법원 판결까지 간 끝에 일본 사법부는 결국 오에 겐자부로의 손을 들어 주었다.

이런 오키나와의 근현대사가 갖는 특수성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과 인식은 척박하다. 이 과정은 19세기 이후 동아시아 근현대사가 겪어야 했던 아픔, 즉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이라는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문학적 감수성으로 현실에 눈높이를 맞춰 생생하게 써내려 간 《오키나와 노트》는 일본과 일본인, 동아시아의 평화 문제를 생각해 보는 데 그 어떤 역사책이나 사회과학 서적보다 적절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