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5.한국전쟁 6.25 88

이승만과 6.25 전쟁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목차 간행사 1. 이승만 대통령의 작전지휘권 이양과 한미 군사관계 / 김영호 Ⅰ. 머리말 Ⅱ. 한국군 작전지휘권의 이양 과정 Ⅲ. 한국군 작전지휘권의 이양 이유 Ⅳ. 작전지휘권 이양의 영향 Ⅴ. 맺음말 2. 이승만 대통령의 한미상호방위조약 추진배경과 협상과정 / 이완범 Ⅰ. 머리말 Ⅱ. 추진배경: 이승만의 태평양동맹조약 추구, 6·25전쟁 이전 Ⅲ. 6·25전쟁 발발 이후 한미간의 협상과정 Ⅳ.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내용 Ⅴ. 맺음말 3. 이승만 대통령의 38도선 폐지론과 북진통일론 / 홍용표 Ⅰ. 머리말 Ⅱ. 28선에 대한 이승만의 인식 Ⅲ. 안보정책으로서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Ⅳ. 맺음말 4. 이승만 대통령의 전시지도자 역할 / 남정옥 Ⅰ. 머리말 Ⅱ. 이승만의 반공국가 확립과 전쟁대비 노력 Ⅲ. 이승만의..

6.25 전쟁 수난의 증언 - 어머니의 마지막 증언 (6.25 수난기 작가회)

목차 어머니 seok 9 어머니의 마지막 눈짓 유승우 15 환란의 터널 저편 이용덕 40 평양에서 부산까지 박철현 55 꼬마 연락병 유영자 65 6.25의 소년과 간호장교와 인민군장교 현의섭 77 그게 인민군인 줄도 모르고 신건자 88 6.25의 끝자락 남춘길 92 낮과 밤사이 최건차 99 내 삶을 깨우쳐준 하나님의 종소리 신성종 104 터진 웅덩이 이건숙 111 사선을 여러 번 넘은 쓰라린 추억 조신권 121 그날은 일요일이었다 오경자 134 6·25 전쟁의 초상화 허숭실 165 신의주에서 부산까지 정영자 177 6.25, 비극적 참상 김영백 185 내가 겪은 6.25전쟁 신영옥 196 우리 집안 일곱 희생자 김봉군 250 절명絶命의 순간에 김정원 266 인민군 소굴로 간 피란 이동원 276 밤에는 공..

민초가 겪은 6.25전쟁 야샤

소개 일곱 살 꼬마의 눈에 비친 6.25전쟁 당시의 필름 원판 같은 역사의 현장 6.25전쟁 발발에서 종전 이후의 실상을 낱낱이 재생해낸 기록 공개! 지나간 일들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기록에 남는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어쩐 일인지 남겨진 역사적 기록을 100% 믿을 수가 없다. 이는 남겨진 역사의 기록들이 승자의 입장에서 쓰였다는 전제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남겨진 역사 기록을 ‘정사’와 ‘야사’로 구분하여 정사에서 읽을 수 없는 행간을 ‘믿을 만한’ 야사로 보충하는 예도 있다. ‘야사’는 흔히 당시의 현장 증인인 개인의 기록을 토대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안네의 일기이다. 나치의 감시를 피해 골방에서 생활하며 전쟁의 참상을 전한 세계적인 문학작품이기도 하다. 열세 살 소..

기억과 전쟁 -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책소개 기억되어 역사로 남는다는 것 그리고 말하지 못한 채 문학으로 증언한다는 것 흔히 ‘역사’라고 불리는 것은 어떤 걸 말하는 것일까? 역사는 특정 시점의 특정 사건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 사건에 대해 말하는 대부분의 이들이 일관되게 말할 때, 그 사건은 ‘공식적인 역사’로 인정받아 기존의 시간대에 편입된다. 그러나 분명히 발생하여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지만, 어떠한 사정 때문에 말해지지 못하여 ‘공식적인 역사’에 포함되지 못한 사건들이 존재한다. 국가가 저지른 폭력이었기에 말하지 못했고, 믿어주는 이가 아무도 없어서 말하지 못했고, ‘빨갱이’로 몰릴까봐 말하지 못했다. 말하지 못했던 것은 오롯이 증언이 되어 문학 속에 안착했다. 왜냐하면 문학은 픽션이니까. 말하지 못했던 것을 실제 있었던 일이 아니..

한.미 합동 첩보 비화 - 6006부대

책소개 625 동란 때 항공작전 정보수집을 위해 수없이 적지에 침투했으며 공군특무부대장으로 미 극동공군에 파견되어 특수임무를 수행했던 저자의 경험담을 적었다. 목차 머리말 Ⅰ. 한ㆍ미 합동 첩보 비화―6006부대 일명 '네코'부대 T-34탱크의 비밀 625 발발 MIG-15의 정체를 알아내라 추락항공기조사 해상, 도서작전 적지 내 특수작전 어화도 기습 위장 귀순 장교 거물 간첩 체포 노금석 대위 귀순 가짜 정보원의 만행 미 공군의 활약 미군 포로들 명단 적후방에 첩보망 Ⅱ. 6ㆍ25 戰史에 빛나는 ‘하늘의 사나이’ 최선을 다해 항공 산업 발전에 이바지 Ⅲ. 6ㆍ25를 돌아보며(그 당시 북한공군력과의 비교) 북한군의 남침 징후 625당시의 북한군 북한군의 625기습남침 북한공군의 개전 초 활동 625개전 ..

한국전쟁과 집단학살 - 미국 기밀문서의 최초증언

책소개 한국전쟁 중 자행된 집단학살 중 가장 그 피해가 컸던 보도연맹 사건에 관한 문서기록을 최초로 수집해 증거자료로 만든 책. 2002년 5월 출간된 에서 학살의 증언과 유골 발굴은 이루어졌으나 한국정부의 학살책임을 증명할 문서는 없었다. 저자가 직접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등을 뒤져 찾아낸 6천여 장의 기록 중 중요한 내용을 엮었다. 수록된 모든 기록은 미국정부와 국제기구가 생산한 공식 기록으로, 국제적십자본부, 미국문서보관소 등에서 보관되던 내용을 사상 최초로 공개하고 있다. 군 첩보 보고서와 작전일지가 가장 많으며 국무부 및 CIA의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목차 머리말 서설 1. 한국정부에 의한 학살의 진상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학살 형무소 집단학살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학살 기타 학살사건 학살 책임 2..

동북아 국가들의 6.25전쟁 정책과 전략

책소개 동북아의 안보 상황이 잘 변하지 않는 것은 과거 이 지역 국가들이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6.25전쟁 경험과도 관련이 있다. 6.25전쟁은 냉전의 갈등 구조 속에 지정학에 기초한 각국의 전략적 이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치러진 전쟁이었다. 전쟁 당시의 전략 지도는 동북아 국가들이 지니고 있던 세계적 차원 및 지역적 차원에서 비롯된 대결 전략, 지정학적인 이해관계, 이로 말미암은 각국의 고유한 안보 전략, 그리고 서로가 취한 정책들이 초래한 상호 작용과 반작용의 결과로 이루어져 있었다. 문제는 이 전략 지도의 유효기간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인식 아래 6.25전쟁의 당사자인 남북한과 미국, 소련, 중국, 일본의 전쟁 전략과 주요한 정책들을 고찰해 보았다. 그동안 6.25전쟁..

한국전쟁 : 한국전쟁 70주년 6.25 돌아보기

책소개 6.25 70주년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군국주의, 파시즘이 무너지고 전 세계가 평화를 이야기하기에 여념 없을 때 그 논의에 찬물을 끼얹듯 발발한 한국전쟁. 전쟁 개시 일 년도 안 돼 남북은 각각 국외에 망명정부를 구상해야 할 정도로 천국과 지옥을 오가며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은 전전의 38선을 임시 휴전선으로 대체하면서 전쟁은 ‘휴전’이라는 불안정한 대립 상태로 일단락을 맺는다. 그동안 발간된 한국전쟁에 관한 저서는 그 원인을 분단의 기원으로부터 설명(내재적 원인 강조)하는 연구와 국제정치 즉 미소 냉전의 기원으로부터 설명(외부적 요인 중시)하는 연구로 대별할 수 있다. 내재적 원인의 연구는 한국 사회의 계급적 구조, 독립 국가를 건설하려는 내부적 열망과 충돌, 정치 및 경제 체제를 ..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책소개 이 책은 6.25 ~ 1.4후퇴까지 한국에서 전개된 격변적 사태에 대한 정치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연구이다. 연구의 목표는 그 6개월의 경험을 분석. 전쟁. 폭력. 분단을 넘어 평화. 인권. 통일을 지향하려는 문제의식으로 설명하였다. 목차 서문 : 전쟁, 폭력, 분단을 넘어 1. 서론 : '통일이후' 분단시대 연구를 위한 방법 서설 냉전의 폭발 2. 공격과 전진 3. 남한의 대응 : 혼 돈 혁명과 통일 4. 북한의 남한 통치1 : 인민과 전시 정치 5. 북한의 남한 통치2 : 토지혁명과 사회경제변혁 전쟁과 인민 6. 전쟁과 국민 : 통합과 분화와 학살 7. 국가와 폭력과 잔혹행위 반전 대 반전 8. 인천상륙 : 극비작전과 사전인지 9. 중국참전 : 세계사의 전환 10. 김일성.북한정부의 비밀탈출과 후..

전염병 전쟁 : 한국전쟁과 전염병

책소개 한국인의 일상을 바꾼 한국전쟁과 전염병 - 한국전쟁으로 살펴본 전염병 이야기 이 책은 한국전쟁 기간에 유행한 전염병과 전염병 방역, 보건 의료 정책 등을 중심으로 민중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담았다. 한국전쟁 당시 전염병에 대한 증언과 5만 장이 넘는 관련 문헌, 연도별, 시도별 통계와 전염병 관련 포스터와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전염병이 어떻게 유행했는지, 전염병 방역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전염병 대책과 보건 의료 정책이 보건 위생과 관련해 한국인의 일상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목차 여는 말: ‘전염병 시대’와 한국전쟁 이 책을 읽는 독자 여러분께: 한국전쟁을 통해 살펴본 전염병 대책과 보건의료 1장. 국민방위군과 발진티푸스 1. 국민방위군의 귀향 1) 집으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