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4.한일관계역사 99

한일관계 과거와 현재

목차 1. 한일관계, 비교의 역사 동아시아에서의 한일 고대도시의 전개 _ 사토 마코토(佐? 信) 한국과 일본의 전통주택공간(傅統?宅空間) _ 김광현 근세 조ㆍ일 양국의 무기와 전술 _ 박재광 조선 백자와 일본 _ 윤용이 2. 한일관계, 침략과 교류 조선후기 한일고나계와 인삼 _ 오성 조선 전기의 세계관과 일본인식 _ 하우봉 에도[江戶]시대부터 메이지[明冶]시대에 걸쳐 일본에서 사용된 한국어학습서 _ 사이토 아케미( 齊藤 明美) 조선시대 한ㆍ일 사신 접대음식 문화 _ 김상보 왜구(倭究), 약탈의 시대에서 공존의 시대로 _ 마쓰오 히로키(松尾 弘毅) 대마도 조선어 통신사 본 조선 _ 미노와 요시쓰구(箕輪 吉次) 조선전기 왜구, 교류자와 위조()교류자에 대하여 _ 케네스 로빈슨(Kenneth R. Robins..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식

책소개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을까? 작년에는 ‘일본인의 한국, 한국인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 올해에는 2021년 한일국제학술회의에서 토론한 ‘한국인의 일본, 일본인에 대한 인식’에 대한 내용을 엮어 발간하게 되었다. 학술회의는 한성주 강원대교수의 사회로 3개 세션을 시대순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이상우 회장의 개회사에 이어 아이보시 코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가 축사를 했고, 전주일대사 신각수 한일문화교류기금 이사가 기조강연, ‘한일 상호인식, 무엇이 문제인가’를 했다. 제1세션 ‘고대 한국인의 일본, 일본인 인식’에서는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가 ‘고대 삼국의 일본, 일본인 인식’, 임상선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이 ‘남북국의 일본, 일본인 인식’을 주제..

일본인의 한국, 한국인에 대한 인식

책소개 일본인이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가진 인식은 어떨까? 그러한 인식의 배경은 무엇일까? 한일문화교류기금은 1984년에 양국 간 역사 교과서로 문제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비영리 공익재단 법인으로 설립되어 현재까지 한일 양국의 상호이해와 신뢰를 위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제34회 학술대회는 ‘일본인의 한국, 한국인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토론을 개최하였다. 본 토론에서는 과거 한일관계에 있어 양국인의 상호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한일관계의 역사는 오래된 세월만큼이나 전쟁의 아픔으로 인한 갈등의 골 또한 깊다. 이 갈등을 풀기엔 이미 여러 시도를 했으나 근본적으로는 해결되지 않았고 너무 많은 시간이 흐른 건 아닐까 싶지만, 미래 세대와 두 양국의 제대로 된 외교화합을 위해서라도 결국..

한일관계 갈등을 넘어 동행으로

책소개 갈등에서 동행으로 가기 위해 한일문화교류기금은 1987년 4월부터 제1회 ‘한일문화강좌’를 시작하여 2020년 ‘코로나19’로 중단되기 전까지 총 119회를 진행하였다. 2005년에는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1회부터 70회까지의 강연 내용을 엮어 3권의 단행본 (『되돌아 본 한일관계사』와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한국사람 일본사람의 생각과 삶』)을 출간하였고, 이어서 2014년 10월에는 71회부터 100회까지를 2권의 단행본(『일본을 말하다』와 『한일관계의 과거와 현재』)을 출간했다. 그리고 이번에 101회부터 119회까지를 엮어 6번째 단행본으로 『한일관계, 갈등을 넘어 동행으로』를 출간한다. 한일문화교기금 ‘한일문화강좌’의 목표는 본서의 제목과 같은 ‘갈등을 넘어 동행’으로 ..

한일관계사 : 한일대립은 언제 끝날 것인가

책소개 역사 문제, 영토 문제, 문화 교류, 경제의 성장과 마찰, 안전보장, 군사독재, 민주화, 미국, 중국, 북한·····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한일관계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일관계가 왜 이렇게까지 악화하였을까’라는 문제를 다시 생각해봄과 동시에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문제를 생각하는 데 필요한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 서장에서 목차 서장. 한일관계의 현상과 그 역동성 1장. 한일관계 ‘전사’: 1875~1945년 1. ‘서양의 충격’과 한일관계: 대칭성에서 출발 2. 근대화를 둘러싼 협력과 대립: 지배?피지배로의 귀결 3. 일본의 식민지지배와 그 귀결: 궁극의 비대칭성 2장. 냉전 시기 한일관계의 ‘탄생’: 1945~1970년 1. 한일관계의 초기 조건 ..

1.광개토왕비와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1권은 광개토대왕비와 한일관계에 관한 논문이다. 목차 김태식 : 4세기의 한일관계 개관 임기환 : 4세기 동아시아 정세 변동과 고구려의 대외전략 백승옥 : 광개토대왕비문의 왜관..

2.왜 5왕 문제와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1권은 왜 5왕 문제와 한일관계에 관한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노중국 : 5세기 한일관계사의 성격 개관 양기석 : 5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 주보돈 : 5세기 고구려, 신라와 ..

3.임나문제와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3권은 임나 문제와 한일관계에 관한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김현구 : 6세기 한일관계의 실체와 문제점 나행주 : 6세기 한일관계의 연구사적 검토 박현숙 : 6세기 백제의 대 ..

4.왜구.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를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조 광 : 통신사에 관한 한국학계의 연구성과와 쟁점사항 장순순 : 조선시대 통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측 연구성과를 ..

5.임진왜란과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5권은 임진왜란과 한일관계를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정구복 : 임진왜란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박재광 : 임진왜란 연구의현황과 과제 한명기 :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질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