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7.한일관계총서 77

한·일 도자문화의 교류양상 (2005)

책소개 도자기를 통한 한일가의 문화연계는 전란에 의한 도공의 강제 이주라는 아픈 기억이 있지만, 이들은 일본 땅에서 한국도자기에 담긴 한국도공의 혼을 예술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한일간의 문화교류 전반에 있어 새로운 인연으로의 발전과 함께 한일관계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 책은 2004년 12월 17일, 이 와 공동으로 주최한 국제심포지엄 의 결과물이다. 목차 발간사 개회사 기조강연 주제발표 조선도자와 임진왜란 - 분청사기 풍신수길의 대륙침공과 조선인 도공 15.16세기 조선백자의 양상 임란 이후 조선도자 - 대일관계를 중심으로 풍신수길의 조선침략과 비전도자 종합토론 부록 색인

한국사람 일본사람의 생각과 삶 (2005)

책소개 총 70회의 한일문화강좌를 정리하여 ‘한국과 일본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3권을 책을 구성하였다. 그 중 세 번째 책이다. 한일관계의 여러 문제들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도있게 다루고 있으며,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1 음악과 문학, 그리고 만화 2 나의 모국과 일본 3 미래를 위한 교육 찾아보기 한일문화강좌 개최일람 편집후기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2005)

책소개 총 70회의 한일문화강좌를 정리하여 ‘한국과 일본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3권을 책을 구성하였다. 그 중 두 번째 책이다. 한일관계의 여러 문제들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도있게 다루고 있으며,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1 일본은 변하지 않는다 2 동아시아 경제와 일본 3 또 다른 얼굴, 일본 찾아보기 하일문화강좌 개최일람 편집후기 저자 소개 저자 : 이도형 외 이도형 한국논단 발행인 한상일 국민대학교 교수 최상용 고려대학교 교수 김용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영명 한림대학교 교수 최정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용운 한양대학교 교수 조규하 전경련 전무 안충영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장 다나카히로시 愛知縣立 대학 교수 한수산 작가 이왕세 연합통신 ..

되돌아 본 한일관계사 (2005)

책소개 총 70회의 한일문화강좌를 정리하여 ‘한국과 일본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3권을 책을 구성하였다. 그 중 첫 번째 책이다. 한일관계의 여러 문제들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도있게 다루고 있으며,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1 금석문을 통해서 본 한일관계 2 한일 양국의 상호 이해 3 일본 인식과 한일관계 4 한일관계의 어제와 오늘 찾아보기 한일문화강좌 개최일람 편집후기

중 근세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인식 (2013)

책소개 경계인식은 동아시아 지역과 중국·일본 지역, 그리고 한국 지역으로 다시 세분화 했다. 동아시아 지역 총괄 분야는 동아시아 삼국의 해금정책과 동아시아지역의 고지도(한국, 중국, 일본, 서양)를 통해 동아시아 삼국의 경계인식을 비교 검토했다. 한국 지역 분야는 조선의 대마도 및 일본에 대한 경계인식과 울릉도 경영, 일본 막부의 조선과 중국에 대한 경계인식, 왜구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구주, 대마도인의 경계인식의 형성과정과 변화의 추이를 고찰했다. 목차 발간사 제1부 주제연구 제1장 동아시아지역 총괄 중·근세 동아시아의 해금정책과 경계인식 - 동양삼국의 해금정책을 중심으로 -민덕기 1. 머리말 2. 明朝의 해금정책 3. 조선의 해금정책과 明의 영향 4. 일본의 해금정책과 ‘쇄국’ 5. 한·중·일 삼국 ..

중 근세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분쟁 (2013)

책소개 전근대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인식과 분쟁에 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전ㆍ근대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인식』과 『전근대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분쟁』이 간행되었다. 이 책들은 〈전근대 동아시아지역의 해륙 경계인식과 분쟁에 관한 종합적 연구〉의 결과물로서 연속되고 있는 한·중·일 삼국 간의 경계인식 및 영토 분쟁의 근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자들은 연구의 대주제를 4분야(동아시아 지역 총괄, 한국 지역, 중국 지역, 일본지역)로 나누고, 이를 다시 17개의 소주제로 세분하여 경계인식과 경계분쟁을 키워드로 설정하여 과제를 수행했다. 경계분쟁은 경계인식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경계분쟁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집중적으로 규명했다. 먼저 동아시아지역 총괄분야에서는 ‘海禁’정책의 변..

대한제국과 한일관계 (2014)

목차 발간사 개회사 기조강연 대한제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이태진 주제발표 대한제국의 체제 개혁│김도형 대한제국과 국제환경│김영수 대한제국의 일본인식과 정책│한철호 일본의 대한제국 인식과 그 정책│오가와라 히로유키 ‘제국’이 되기 위하여│목수현 제국의 시간, 양력이 시작되다│김연수 제국의 기록, 사진이 말하다│이경민 종합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