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7.한일관계총서 77

1948년 한신 교육 투쟁 (2006)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원점

책소개 '4·24 한신교육투쟁'은 1948년 4월 점령군 총사령부 GHQ의 조선인학교 폐쇄명령에 반대하던 투쟁으로 오사카와 고베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조국의 해방과 함께 식민지 노예에서 막 벗어난 재일조선인에게 자주독립 민족으로서 장래를 걸었던 투쟁이기도 하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그들이 민족교육을 지키기 위해 벌인 교육투쟁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발단 제2장 학교 폐쇄령 제3장 역사의 날 제4장 오사카에서의 투쟁 제5장 군사재판 제6장 학교 폐쇄의 구실과 민족교육의 압살 제7장 왜 고베에서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는가? 제8장 학교 재건으로 4·24 교육 투쟁의 증언 후기 자료

일본 사상사 연구(2005) - 습합, 반습합, 역습합의 일본사상

책소개 일본이라는 틀의 밖에서 그것을 임계각으로 하여 그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사상들의 습합과 반습합, 역습합의 역사를 대상화했다. 일본의 곽이 지닌 지리적 한계성으로 인해 습합이 불가피했다면 그것의 초과가 반습합을 초래하기도 했던 현실에 대해 연구한다. 목차 1부 습합과 습합사상 1. 습합이란 무엇인가 2. 습합사로서의 일본사상사 2부 신화와 습합신도 3. 신화속의 일본사상 1 4. 신화속의 일본사상 2 5. 일본사상의 원형으로서 화의 고고학 6. 습합의 계보학으로서 일본신도 1 7. 습합의 계보학으로서 일본신도 2 8. 습합의 계보학으로서 일본신도 3 3부 습합과 반습합 9. 오규 소라이 읽기 10. 습기와 조리의 학 11. 화혼에로의 회귀 12. 히라다 아츠타네와 대왜혼 사상 13. 화혼의 양혼화 4..

동아시아 속에서의 고구려와 왜 (2007)

책소개 2006년 10월 한일관계사학회 주최로 열린 국제학술회의 자료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한일관계사의 왜곡을 시정하기 위한 연구작업 중의 하나로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양국의 군사적 접촉에서 6세기후반 이후의 공적인 교섭과 교류, 멸망 전후의 양국의 교류의 실태, 나아가 고구려유민의 일본열도에서의 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발간사 : 고구려 대외관계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 연민수 축사 : 새로 조명해보는 高句麗와 倭 관계 / 이상우 고대에 있어서의 고구려와 왜 : 왜 5왕의 외교와 日出處天子 國書를 중심으로 / 坂元義種 광개토태왕비문의 高句麗와 倭 / 徐榮洙 『宋書』 倭國傳에 보이는 倭王武의 上表文과 高句麗 : 古代 東아시아의 歷史的 展開에서 본 / 川本芳昭 5世紀 後葉..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2008)

책소개 일본 학자가 내놓은 임진왜란 연구서로 임진왜란(1592~1598) 전 기간에 대해 역사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시기별 주요 사건을 빠짐없이 다루면서, 동시에 서술 내용이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에필로그에서 일제시기 일본이 조선 식민지 건설을 위해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거나 감추고 자국에 필요한 부분만을 드러낸 것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한 것 처럼, '국적'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임진왜란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목차 발간사 역자 서문 프롤로그 제1장 왜란의 맹아(萌芽) 1. ‘태양의 아들’ 히데요시[秀吉]의 조선복속 강요 2. 히데요시의 야망과 소[宗] 씨의 입장 3. 임진왜란 전야(前夜)의 명나라와 조선 제2장 명 정복을 향한 제1차 조선 침략 1. 히데요시..

근세 동아시아 속의 일·조·란 국제관계사 (2007)

책소개 근세 동아시아 속의 일본, 조선, 네덜란드의 국제관계사를 연구한 책. 조선에 표착한 네덜란드인과 그들을 둘러싼 일본, 조선, 네덜란드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 국제관계사라는 입장에서 어느 한 국가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세 국가가 제각기 주체인 동시에 객체라는 방법론에 입각하여 논증하였다. 목차 서문 서론 제1장 네덜란드선의 표착에 대한 기초적 고찰 제2장 네덜란드 표류민과 朝·日의 표착 초기 처리과정 제3장 네덜란드인의 병기개발과 異國人 등용정책 제4장 日本의 그리스도교 금제요청과 표착 異國船 처리 제5장 日本의 네덜란드인 송환요청과 外交交涉 제6장 근세 동아시아 漂流民 送還體制와 國際關係 제7장 네덜란드의 동아시아 진출로 본 조선과 일본 결론 부록 찾아보기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한일관계 (2007)

책소개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한일관계』은 문제관심의 중심을 한ㆍ일 외교상의 '적례', '교린', '일본국왕'의 인식 규명, 그리고 조선의 대마도에 대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책이다. 때문에 이 책은 그 구성상 시대적 연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1부「조선전기 한ㆍ일관계와 명」은 주로 15세기를 중심으로 하고, 제2부「임진왜란 이후의 조선ㆍ막부ㆍ대마도 관계」는 17세기 전반을, 제3부「아라이 하쿠세키와 한ㆍ일관계」는 18세기 초기를 각각 다루고 있다. 목차 번역 증보판에 부쳐 序 論 제1부 朝鮮前期 朝·日관계와 明 제1장 조선전기 ‘교린’으로 보는 대외관계 머리말 제1절 조선전기 ‘교린’ 용례의 검토 제2절 ‘교린’의 사상적 배경 제3절 일본 학계의 ‘교린’ 견해에 대한 검토 맺음말- 동아시아史上의 ..

재일조선인사와 식민지 문화 (2005)

책소개 재일조선인사와 식민지 우리 문화를 정리 한다. 우리 역사속의 기념일 투쟁과 운동사의 이면인 반민족세력의 움직임에 주목한다. 또한 재일조선인의 문화와 식민지 문화의 구체적인 양태로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이왕가박물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며 1장 일제시대 기념일투쟁사 2장 재일조선인 반민족 운동 3장 재일의 문화와 식민지 박물관 재일조선인 강계중의 삶과 투쟁 저자 소개 저자 : 김인덕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졸업 현재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조사총괄과장

지배와 저항, 그리고 협력 (2006) -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의 정치운동

책소개 이 책은 1920년대(1919년 3ㆍ1운동에서 1931년 신간회 해소까지의 시기) 식민지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정치운동의 살태를 분석하고 그 역사적 성격을 규명한 책으로 1997년 10월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국제사회과학전공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 『지배와 저항의 사이-1920년대 조선에서의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의 정치운동』을 수정보완하여 엮은 책이다. 목차 서문 서론 1. 연구의 관점ㆍ과제 2. 분석방법 3. 본서의 구성ㆍ연구방법 제1부 3ㆍ1운동과 일본제국주의 지배체제의 개편 제2부 조선인의 정치운동의 전개와 일본제국주의 지배체제 동요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동아시아 속의 중세 한국과 일본 (2008)

책소개 고대의 한일관계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국가 권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그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중세의 한일관계는 고려 조선이 일본의 장군에서 부터 중소영주, 상인, 무사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비대칭적인 放射狀의 다원적인 관계로 이루어져 갔다는 견해를 펴고 있다. 특히 고려후기와 조선시대 전기에는 쓰시마 왜인이 중심이 되어 조선과 일본의 국경지역을 넘나즐며 국가의 영역과 차원이 다른 '지역'을 만들어 갔다고 이야기 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저자서문 제1장 중세 한일관계사론 제2장 고려시대 한일관계 제3장 조선시대 한일관계 제4장 한일관계와 불교 제5장 한일 상호인식 제6장 한일관계사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 : 무라이 쇼스케 일본 동경대학대학원 인문학연구과를 졸업하였으..

조선시대의 한일관계사연구 (2006) - 교린관계의 허와 실

책소개 '韓日關係史'는 우리의 역사현실과 늘 밀착되어 있었음에도 그동안 너무 외면해 왔다. 더구나 과거 한일관계사 연구가 주로 일본인에게서 시작되었고, 그것도 식민사학을 정당화하기 위한 왜곡된 목적의식에서 출발했던 만큼 그 문제점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속의 한국사, 나아가 세계사 속의 한국사를 재구성해야 하는 지금, 그 전제가 되는 대외관계사 연구가 너무 미흡하다. 또한 대외관계사를 특수사로 취급해 한국사를 총체적으로 구성하는데에 매우 소홀했던 것도 사실이다. '外政은 내정의 연장이며 동시에 內政의 국제적 표현임'을 생각할 때, 외정과 내정의 연구 어느 한쪽도 소홀해서는 안된다. 이점에서 '한일관계사연구'의 필요성을 새삼 강조할 것도 없다. 목차 서론 - 중화적 교린체제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