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기독교 신학연구 (책소개) 442

종교개혁 신학 (2023) - 조직신학 관점의 개요

책소개“21세기에도 종교개혁은 계속되어야 한다”역사와 교리를 아울러 집대성한 참된 개혁의 본질마이클 호튼 서문, 칼 트루먼, 마이클 리브스 외 18인 공저채드 반 딕스혼, 헤르만 셀더하위스, 필립 그레이엄 라이큰, 데이비드 웰스 등 추천!수많은 역사가들이 사회, 정치, 경제적인 면에서 종교개혁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비록 정치, 사회, 경제적인 요인이 중요했지만, 종교개혁은 근본적으로 교리적인 관심에 의해 야기된 신학 운동이었다. 종교개혁을 특징짓는 것은 그것의 가장 깊은 신학적 관심이 복음이라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종교개혁은 올바른 교리를 새롭게 강조한 것이었고, 그 중심에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 예수의 복음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바르게 이해한 것이었다. 이것이 루터가 종교개혁의 선..

정통 삼위일체 교리 (2023) - 조작되지 않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

책소개더욱 성경적이고 역사적이며 정통적인 삼위일체 교리섞이지 않고 오염되지 않았으며 왜곡되지 않고 조작되지 않은성경과 전통에 기초한 삼위일체 신학으로 회귀하라“오늘날 새로운 것인 양 내놓는 하나님에 관한 개념들 가운데 절대다수는수 세기 전에 진짜 신학자들이 검토해서 폐기한 것들이다.” - C. S. 루이스(C. S. Lewis)안타깝게도, 현대인은 아주 친밀하고 엄청나게 오래된 것 대신에 엄청나게 새로운 것을 약속했다. 옛 신경들과 영감 받은 본문들의 무거운 사슬에서 해방된 삼위일체, 사회의 변하는 기류와 변덕에 맞춤한 삼위일체 말이다. 마침내 우리의 입맛에 맞는 사회적 의제를 따를 때까지 빚고 심지어 조작할 수 있는 삼위일체 말이다. 학생 시절, 나는 정통 삼위일체 교리를 의심하라고 거듭거듭 가르침을 ..

삼위일체론의 역사 (2008)

책소개고대, 중세, 근대, 현대에 걸쳐 ‘삼위일체론’을 추적하기로 하고, 2004년 말부터 전공분야별 각 교수가 자신에게 익숙한 시기나 그 시기의 인물을 선택하여 연구발표한 내용에 다른 교수들이 수정 보완 작업을 하여 내 놓은 토론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사도신경과 고대 공의회들의 ‘삼위일체론’으로부터 칼 바르트 및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에 이르는, 기독교 신학의 역사를 통한 역사 속의 ‘삼위일체론’을 섭렵하고 있다.이 책은 서론에서 앞으로 전개될 각 시대의 ‘삼위일체론’적 특징을 제시하고, 결론에서 동방정통교회와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의 비교를 시도하면서, 오늘날 세계교회가 지향해야 할 ‘삼위일체론’의 전망을 그리고 있다. 즉 2000년 ‘삼위일체론’의 역사를 추적함으로써 역사적 또한 신학적으로 나아갈 바..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 (2021)

책소개동양적 역의 신학은 전통적인 서구신학과 상생을 모색한다기독교의 중심적인 교리 가운데 하나인 ‘삼위일체’를 역(易)으로 설명했다고 한다면 전통적인 신앙에 젖어있는 교인들은 대다수가 선을 긋거나, 거부감까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저자가 서 있는 위치는 지극히 전통적이어서 다른 관점에서 삼위일체를 봤다.이 책은 하나님의 실체에 대해서는 인간 이성이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철저하게 인식하고 그것을 신비의 영역으로 남겨 둔다. 나아가 그런 이유로 이 책은 규정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실체와 속성에 대해 확증적으로 진술하는 것을 거부한다. 오히려 신학의 기반이 되는 ‘신 이해’ 대신에 삶의 정황 속에서 한 인격이 가진 하나님 체험을 강조한다. 개신교적이며 복음적이라는 사실을 기반하지만, 관점이 약간 다른 책이..

삼위일체 (2004)

책소개『삼위일체』는 독자들에게 기독교 신앙의 중심적이면서 가장 독특한 교리인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해 준다. 간결하고 너무 전문적이지 않으면서 최근까지의 자료를 사용해 쓰여진 이 책은 삼위일체 교리의 역사와 신학을 자세하게 기술해 주고 있다. 예컨대 기독교 태동의 시기부터 중세와 종교개혁 시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삼위일체 교리의 발전사를 보여주고 있다. 특별히 주목해 볼 곳은 삼위일체 교리에 기초를 놓은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의 논쟁들과 교부들 그리고 20세기 삼위일체에 대한 재부흥을 다룬 부분이다. 이 책 후반부는 고전적인 자료에서 현대의 저술까지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포괄적인 주석을 담은 참고문헌을 제공하고 있다.목차서론1.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간략한 개요2. 성서에 나타난..

삼위일체론적 성령신학 (2024)

책소개삼위일체론의 구조 위에서 구속사의 관점으로 통찰한 공교회적인 성령론!이 책은 저자가 지켜본 1980년대 말 신학대원 학생 시절에 지켜보았던 신학 논쟁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신학교와 교회 내에서 성령세례에 관한 신학적인 논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오순절 신학 진영과 개혁파 신학 진영 간의 논쟁, 그리고 개혁파 신학 내에서도 논쟁이 첨예하였다. 중생한 그리스도인들은 성령 충만한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 그런데 중생 이후의 그리스도인에게 성령세례를 별개의 사건으로 필요하다는 의견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성령세례를 받았다는 표적으로 뒤따르는 방언이 논쟁의 한 축이었다.저자는 이런 성령론의 논의가 매우 협소한 범위에 그치는 것을 보고, 성령의 사역과 인격에 대한 포괄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을..

삼위일체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삶 (2024)

책소개이 책은 위르겐 몰트만 탄생 80주년에 즈음하여 신학자 18명이 몰트만의 삼위일체 신학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한 기념 논문집이다. 저자들은 삼위일체가 관념상의 교리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교회 일치, 우정, 젠더, 생태, 경제,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함의를 지닌다는 점을 역설한다. 삼위일체가 우리의 삶의 여러 측면에 지닐 수 있는 함의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목차저자와 편집자 소개서문 - 미로슬라브 볼프와 미하엘 벨커1부 삼위일체와 인간1장 하나님처럼 되기: 삼위일체와 베풂미로슬라브 볼프2장 사회적 삼위일체와 재산M. 더글러스 믹스3장 생명의 영과 생명 경외윌리엄 슈바이커4장 “‘친구’라고 말하고 들어오라”: 우정과 신학 방법낸시 엘리자베스 베드포드5장 지혜, 신학적 인..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 (2015) - 현대 삼위일체신학에 대한 신학.철학의 융합적 분석

책소개이 책은 초대교회 시대부터 기독교를 유대교와 이슬람, 그리고 다른 종교들과 구별시켜주었던 삼위일체 교리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내재적 삼위일체는 삼위일체 내의 내적인 관계들을 가리킨다. 반면 경륜적 삼위일체는 창조, 구속, 완성의 활동을 통해 계시된 삼위일체를 지칭한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삼위일체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삼위일체 교리는 우리의 신앙과 신학, 그리고 삶 전체를 포괄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단지 신론과 기독론 성령론에 한정되지 않고, 창조, 인간, 구원, 속죄, 영성, 교회, 종말, 목회, 예배, 성례, 선교, 기도, 가정생활, 사회, 문화, 세계종교 등 모든 주제들과 긴밀히 연관된다.삼위일체 교리의 문제는 일상에서 실존적으로 부딪히는 삶의 문제들에 비해 그 현실성과 실존적 ..

삼위일체 신약신학·실천신학적 연구 (2018)

책소개“기독교 신앙의 근간이며 핵심인 삼위일체 교리를 성경, 특별히 신약의 빛 아래서 주석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변호하는 무게 있는 책이다.” - 류호준 교수(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최고의 학자들이 참여한 이 책은 삼위일체론에 관한 가장 훌륭한 입문서가 될 것이다.” - 문화랑 교수(고려신학대학원)삼위일체는 기독교 신학의 토대이다. 하지만 지금도 삼위일체가 성경적 교리가 아니며, 후대 교회가 만들어 낸 교리라는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삼위일체 교리를 그리스도인의 삶에 있어서 ‘취해도 되고 버려도 되는 교리’ 정도로 치부하기도 한다. 그러나 성경 저자들은 삼위 하나님의 정체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 사실을 염두에 두고 삼위일체 ..

장로회주의 (2024)

목차역자 서문 · 5제1장 서론 · 11제2장 장로회주의(Presbyterianism)의 역사 · 21제3장 장로교회의 교리 · 53제4장 장로교회의 정치 · 98제5장 장로교회의 예배 · 141제6장 결론 · 210저자 소개 저 : 사무엘 밀러프린스턴신학교 1세대 교수들 중 한 명. 1769년 10월 31일 델라웨어 주, 도버에서 출생. 1789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졸업. 1791년 설교자 인허. 1804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 취득. 1813-1849년 프린스턴 신학교 교회사 및 교회정치 교수로 재직. 대표저작으로는 『잘 다스리는 장로에 대한 글』(An Essay on the Office of the Ruling El... 역 : 김효남총신신대원(M.Div.), 미국 Purit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