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4.한국천주교회사 51

천주실의 (2021)

책소개 주석목록본 『천주실의』의 「목록目錄」 및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목록」에는 소제목만 나열되어 있을 뿐이지만, 본문의 서술 내용 중 ‘강학講學’ㆍ‘강도講道’ 등의 용어를 곳곳에서 구사하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강’을 취하여 『天主實義ㆍ텬쥬실의』에도 반영하였고, 이 한글판 『천주실의』에서는 특히 서술 순서에 따라 [제1강]ㆍ[제2강] … 등을 차례 및 본문의 그 소제목 앞에 붙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한 것은 다름이 아니라 구체적인 서술 내용 전반에 대한 독자의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 한글판 『천주실의』에는 명실공히 한글판답게 하느라 주석목록본 『天主實義』 및 언해필사본 『텬쥬실의』를 일일이 대조하여 정리한 『天主實義ㆍ텬쥬실의』의 〈교주〉 내용을 담지..

天主實義 텬쥬실의 상권 하권(2021)

책소개 이탈리아 태생의 예수회 신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리마두利瑪竇, 1552-1610)가 중국에 천주교를 전파하기 위해 마카오Macao에 첫발을 디딘 것은 1582년이었다. 이후 감옥에 억류되는 등 천신만고 끝에 간신히 1601년부터 북경北京 거주가 허용되자, 그는 곧 『천주실의天主實義』를 완성하여 1603년에 초판初版을 발행하였다. 그 자신이 남긴 기록에 의하면, 『천주실의』는 1609년까지 4판이 발행되었고, 그 가운데서 2개의 판본은 천주교 교인이 아닌 이교도異敎徒들에 의해서 출판이 되었다고 한다. 이런 사실은 『천주실의』에 대해 천주교 교인은 물론이고 일반 대중의 관심이 매우 깊었고, 그리하여 독자층이 폭넓게 형성되어 가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간행된 『천주실..

朝鮮後期天主學史硏究 조선후기천주학사연구 (2021)

책소개 이 책은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한국 근·현대 사회와 가톨릭』(2008년)에 이어 출간되는 것이어서, 3부작의 하나이자 終結篇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에는 한국사 개설의 큰 흐름을 염두에 둔 글들도 수록해서 ‘천주교’를, 『한국 근·현대 사회와 가톨릭』에는 주로 교육·인식·영성 등에 관해 탐구한 글들을 담았기에 가톨릭의 普遍性을 강조하기 위해 ‘가톨릭’을 핵심어로 삼아 서명을 각기 그렇게 정하였었는데, 이 책에는 조선에 수용되어 당시 사회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交友論』·『天主實義』·『敎要序論』 등의 대표적인 ‘天主書’를 중심으로 ‘天主學’에 관련된 조선 후기의 역사를 연구한 글들을 묶었으므로 ‘天主學’을 핵심어로 채택하여 서명을 『朝鮮後期天主學史硏究』라고 하였다...

교요서론 (2013) - 18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천주교 교리서

책소개 1677년 『교요서론』 초판의 간행 이후 1799년 새로운 판본이 등장하자마자 곧이어 다양한 독자층을 위해서 이것이 상해어(上海語) 또는 불어(佛語) 혹은 한글로 번역되었다. 이는 남회인의 『교요서론』이 얼마나 많은 감화력을 가졌는지를 입증해주는 것으로, 1799년 신판이 널리 전파되어 더 많이 읽히고, 그럼으로써 이를 토대로 번역한 상해어본.불어본.한글본 등이 속속 나와서 광범위하게 유통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더더군다나 조선의 경우에는 한문본 교요서론의 수용과 짝하여 거의 동시에 한글본 『교요셔론』이 등장하고 또 그것이 필사(筆寫)되어 유포됨으로써, 한문을 해독할 수 있는 최고의 지식층인 양반층뿐만 아니라 한글을 깨친 부녀자 및 평민층에까지 널리 읽혀서 다양한 신분층에 걸쳐 천주교가 전국적으로..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2011)

책소개 천주교는 서학과 함께 조선후기에 수용된다. 이 책은 조선후기 천주교가 어떻게 전래되고 천주교가 교세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개별 논문주제들이 엮인 형태로 책이 구성되었다. 저자는 각각의 논문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 과정에서 교회와 국가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관한 원론적인 탐색부터 『사학징의』 등 구체적인 사료에 대한 분석이 진행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조선 전통사회와 천주교 신앙 1.조선후기 서학 사상의 사회적 기능 2.조선후기의 교회와 국가 3.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자와 수용논리 4.조선교구설정의 역사적 의미 5.한국 전통 신관에 관한 이해의 연구..

한국 근현대 천주교사 연구 (2010)

책소개 천주교는 서학이 이땅에 전래되면서 함께 들어온 거대한 세계관이었다. 이후 천주교는 한국의 근현대사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안중근과 천주교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며 천주교가 한국 근대사에 미친 파급력을 추적한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해방 후 명동성당, 민주당 정권, 1980년대 한국 천주교사 등 한국 현대사에 관한 논의를 하고 있다. 목차 제1부 한국근대사회와 천주교 제1장 현황과 과제 1. 머리글 2. 안중근에 대한 평가의 진전과정 3. 안중근 연구의 현황 4. 안중근 연구의 과제 5. 맺음말 부록 안중근 연구 논저목록(1910~2010) 제2장 안중근의 애국계몽운동과 독립전쟁 1. 머리말 2. 안중근에 대한 인식의 진전 3. 안중근 사상의 형성 배경 4. 안중근의 애국 계몽 운동 ..

조선후기 사회와 천주교 (2010)

책소개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교수인 조광 교수가 그간 30여 년에 걸쳐 여러 역사학 계통의 논문집에 간헐적으로 발표했던 글들을 모은 책이다. 조선후기 사회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천주교 신앙운동은 핵심적이다. 조선이 서구를 받아들인 통로가 바로 천주교였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천주교가 수용된 이후 1801년의 교난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천주교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천주교가 수용될 당시의 조선의 상황, 국제상황 그리고 천주교 신앙 운동의 정점에 있었던 이승훈, 주문모, 정약종 등 당시 교회의 핵심적 인물이 다뤄진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조선후기 천주교회의 기원과 그 배경 제1장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과제 제2장 조선교회 임진왜란 기원설의 역사적 검토 제3장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 가설에 관한..

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2006)

책소개 필자는 이 책을 통해 조선 초기 천주교 신앙 공동체가 중국 천주교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고, 조선 대목구 설정 전후로 북경 교회와 잦은 접촉을 맺은 이들과 조선 교회를 도와 준 중국 내 선교사들은 누가 있었는지 살펴보았으며, 포교성의 두 선교 제도(국가 후원 선교제도와 교황 대리 대목제도)로 인해 중국 천주교회와 조선 천주교회가 안고 있던 교계 제도상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과 선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선 초대 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소 주교의 청원에 따라 1838년 북경교구로부터 분리 신설된 만주(요동) 대목구 지역 교회의 발전 과정, 특별히 교구 분할 과정과 선교를 담당했던 대목구장들에 대해 포교성 자료들을 참조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1909..

조선 천주교 그 기원과 발전 (2015)

책소개 조선 천주교의 시작과 끝을 바라본 최초의 통사, 90년 만에 그 모습을 다시 드러내다! 『조선천주교-그 기원과 발전』은 조선에 첫 선교사를 파견한 파리 외방전교회가 조선 천주교회사의 시작과 흐름을 종합적으로 바라본 책이자 최초의 조선 천주교 통사다. 파리 외방전교회는 1653년 아시아 지역에서의 포교를 위해 프랑스에 설립된 해외 전도단체로 1831년 브뤼기에르 주교가 조선의 초대 대목으로 임명되면서 조선에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 책은 1874년에 출간된 달레(Dallet) 신부의 『한국천주교사』보다는 뒤늦은 1924년에 출간되었지만, 달레가 천주교회사를 19세기 중반까지만 다룬 반면 이 책은 1924년까지의 조선 천주교회사를 다뤘다는 점에서 최초의 조선 천주교 통사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