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4.한국천주교회사

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2006)

동방박사님 2023. 6. 5. 12:01
728x90

책소개

필자는 이 책을 통해 조선 초기 천주교 신앙 공동체가 중국 천주교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고, 조선 대목구 설정 전후로 북경 교회와 잦은 접촉을 맺은 이들과 조선 교회를 도와 준 중국 내 선교사들은 누가 있었는지 살펴보았으며, 포교성의 두 선교 제도(국가 후원 선교제도와 교황 대리 대목제도)로 인해 중국 천주교회와 조선 천주교회가 안고 있던 교계 제도상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과 선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선 초대 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소 주교의 청원에 따라 1838년 북경교구로부터 분리 신설된 만주(요동) 대목구 지역 교회의 발전 과정, 특별히 교구 분할 과정과 선교를 담당했던 대목구장들에 대해 포교성 자료들을 참조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1909년 2월에 조선 제8대 교구장 뮈텔 주교의 요청으로 조선에 진출한 독일 오틸리엔 베네딕토 수도회 회원들이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간도와 함경도 지역에서 선교를 담당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중국으로 귀속된 간도 지역 연길교구 내 개별 교회에서의 독일 선교사들의 선교 역사도 살펴보았다.

이들 지역 내에는 조선인, 일본인, 중국인들이 함께 어울려 살고 있었기에 신앙을 매개로 이들 세 민족들이 상호 원만한 신앙의 교류를 맺었었는데, 그런 과정 속에 한중 상호 연계 활동 내용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목차

서 론
1. 연구의 목표 설정과 접근 과정17
2. 연구의 범위26
1) 시기적 범위26
2) 지역적 범위27
3) 연구와 유관된 在華 선교 수도회27
3. 기존 연구 내용과 사료29

제1장 조선 대목구 설정(1831년) 이전 중국과의 접촉39
1. 조선 천주교도들의 北京 밀사 역할39
1) 주문모 신부 입국(1795년) 이전의 밀사40
(1) 1784년 익명의 밀사40
(2) 윤유일(바오로, 1760~1795년)41
(3) 지 황(사바, 1765~1795년)과 Po(중국식 발음)요한47
2) 주문모 신부 입국(1795년) 이후의 밀사49
(4) 배 마티아49
(5) 황 심(토마스, 1756~1801년)50
(6) 윤지헌(프란치스코, 1764~1801년)51
(7) 김유산(토마스, 1760~1801년)52
(8) 옥천희(요한, ?~1801년)52
(9) 김 시몬과 유전시53
3) 주문모 신부 순교(1801년) 이후의 밀사53
(10) 이여진(요한, ?~1830)53
(11) 정하상(바오로, 1795~1839년)55
(12) 유진길(아우구스티노, 1791~1839년)57
(13) 조신철(가롤로, 1795~1839년)58
4) 조선교구 설정(1831년) 이후의 밀사59
(14) 현석문(가롤로, 1797~1846년)59
(15) 김 프란치스코60
(16) 최지혁(요한, 1808~1878년)61
(17) 권치문(타대오)62
(**) 소현세자(1612~1645년)62
2. 北京에서 세례 받은 조선인64
(1) 이승훈(베드로, 1756~1801년)65
(2) 윤유일(바오로, 1760~1795년)67
(3) 오(또는 우, 요한 세자)68
(4) 옥천희(요한, ?~1801년)69
(5) 이광열(세자 요한, 1795∼1839년)69
(6) 유진길(아우구스티노, 1791∼1839년)69
(7) 조신철(가롤로, 1795~1839년)71
(*) 김기량(펠릭스 베드로, 1816~1867년)71
3. 조선 천주교회를 위해 활동한 在中 선교사72
(*) 서광계(바오로, 1562~1633년)72
(1) 아담 샬(Johannes Adam Schall, S. J., 湯若望,1591~1666년) 신부73
(2) 쯔즈(Joannes Rodriquez T?uzzu, S. J., 陸若漢,1561~1634년) 신부74
(3) 마르티니(Martinus Martini, S. J., 衛匡國,1614~1661년) 신부75
(4) 카발레라(Antoine de Sainte-Marie Caballera,O. F. M.) 신부75
(5) 델라 키에사(Bernardinus della Chiesa, O. F. M., 伊大仁, ?~1721년) 주교76
(6) 카발리(Crescenziano Cavalli, O. F. M., 1754~1791년) 신부77
(7) 마르키니(Giovanni Battista Marchini, 세례자 요한수도회, 1785~1823년 마카오 성청대변인 재임) 신부78
(8) 눈(Jos? Ribeiro Nunes) 신부78
(9) 르그레즈와(Pierre Louis Legr?geois, M. E. P., 1801~1866년) 신부79
(10) 고틀랑(Claude Gotteland, S. J., 1803~1856년) 신부79
(11) 리브와(Napol?on Libois, M. E. P., 1805~1872년)신부80
(12) 칼르리(Joseph M. Callery, M. E. P.,1810~1862년) 신부81
(13) 드 베시(Louis-Th?odore de B?si(또는 B?zi), O. F. M., 羅類思, ?~1871년) 주교82
(14) 브뤼니에르(Maxime de la Bruni?re, M. E. P., 寶, 1816~1846년) 신부83
(15) 데플레슈(Eug?ne J. C. Desfl?ches, 1814~1887년)신부83
(16) 루세이(Rousseille) 신부83
(17) 데 사라이바(Joachim Souza de Saraiva,1744~1818년) 주교84
(18) 드 그라몽(Jean-Joseph de Grammont, S. J., 梁棟材) 신부85
(19)드 방타봉(Jean-Mathiu de Ventavon, S. J., 汪達洪, 1733~1787년) 신부86
(20) 데 구베아(Alexander de Gouvea, 1751~1808년,湯士選) 주교86
(21) 오(Joan dos Remedios) 신부88
(22) 생 마르탱(Jean Lidier de St. Martin, M. E. P., ?~1801년) 주교89
(23) 엉피에르(Raphael Umpierres, 1823~1835년 재임)신부90
(24) 로(Nicolaus-Joseph Raux, C. M., 羅廣祥,1754~1801년) 신부92
(25) 길랭(Jean-Joseph Ghislain, C. M., 吉德明, 1751~1812년) 신부93
(26) 드 프아로(Louis de Poirot, 賀淸泰, 1735~1814년)신부94
(27) 마레스카(Fran?ois Maresca, S. J., 1806~1855년)주교94
(28) 브뤼기에르(Barth?l?my Brugui?re, M. E. P., 蘇,1792~1835년) 주교95
(29) 유방제(파치피코; 中國名, 余(餘)恒德, 1795~1854년) 신부99
(30) 베롤(Emmanuel Jean Fran?ois Verrolles, M. E. P.,方濟各, 1805~1878년) 주교101
(31) 마르티노(Alexandre J?r?mie Martineau, M. E. P., 南 알렉산델, 1841~1875년) 신부102
(32) 리샤르(Pierre Eug?ne Richard, M. E. P., 蔡에우제니오, 1842~1880년) 신부102
4. 조선 대목구 분할에 대한 선교회 간의 갈등103
1) 포르투갈 보교권(Padroado)과 北京 진출 선교회103
2) 포교성 선교제도인 교황대리 감목제107
(1) 포교성(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108
(2) 교황대리 감목구110
3) 재속 선교 단체인 파리외방전교회의 중국 선교111

제2장 遼東 대목구 설정과 분구117
1. 遼東 대목구 설정 경위117
2. 遼東 대목구의 발전과 분구119
3. 滿洲 대목구 내의 조선 대표부124
1) 陽關(Y?nggu?n) 성당124
2) 溝(Ch g u) 성당125
3) 小八家子(Xi ob ji z ) 聖堂129
4. 北京과 遼東 지역 대목구 분구와 조선 천주교회[淸 世祖(1644~1661) 때부터 1978년까지]130
1) 알렉산델 7세(1655~1667년) 교황: 淸 世祖(順治, 1644~1661년)131
2) 알렉산델 8세(1698~1691년) 교황: 聖祖(康熙, 1662~1722년)133
3) 인노첸시오 12세(1691~1700년) 교황: 聖祖(康熙, 1662~1722년)134
4) 클레멘스 11세(1700~1721년) 교황: 聖祖(康熙, 1662~1722년)135
5) 베네딕토 13세(1724~1730년) 교황: 雍正(1723~1735년)136
6) 베네딕토 14세(1740~1758년) 교황: 乾隆(1736~1795년)136
7) 비오 6세(1775~1799년) 교황: 乾隆-嘉慶(1796~1820년)137
8) 비오 7세(1800~1823년) 교황: 嘉慶(1796~1820년)-道光(1821~1850년)138
9) 그레고리오 16세(1831~1846년) 교황: 道光(1821~1850년)141
10) 비오 9세(1846~1878년) 교황: 道光(1821~1850년)-咸豊(1851~1861년)-同治(1862~1874년)-光緖(1875~1908년)143
11) 레오 13세(1878~1903년) 교황: 光緖(1875~1908년)147
12) 베네딕토 15세(1914~1922년) 교황: 民國(1912년 이후)年間155
13) 비오 11(1922~1939년) 교황: 民國 12~29년158
14) 비오 12세(1939-1958년) 교황164
15) 요한 23세(1958-1963년) 교황168
16) 바오로 6세(1963년 6월~1978년 8월 재위) 교황169

제3장 독일 성 분도회의 조선 진출과 선교활동171
1. 독일 성 분도회의 조선 진출 경위171
2. 조선 진출 성 분도회원들의 첫 선교활동177
1) 崇信 사범학교와 崇工 기술학교의 개교177
2) 원산?延吉?依蘭 지역 사목 관할권 受任180
(1) 원산 지역 사목 관할권 수임180
(2) 延吉?依蘭 지역 사목 관할권 수임186
3. 延吉 지역 성 분도회원들의 선교활동188
1) 선교의 모체인 수도원188
2) 한국인 후진 양성192
3) 수사들의 활동194
(1) 수도원의 장인들194
(2) 평수사들의 특별한 선교적 공헌197
4) 전례 개혁 운동과 쇄신198
(1) 延吉에서의 “전례 운동”198
(2) 한국어 미사경본들203
5) 청소년 운동과 타르시치오(Tarsicius)회206
(1) 볼셰비즘(Bolshevism)의 대두와 한 협회의 설립206
(2) 청소년 기구의 지속적인 발전207

제4장 延吉 지역 각 본당과 교역자 활동209
1. 間島 지역 초기 교회209
1) 김이기와 김영렬209
2) 북관의 12사도211
3) 間島 지역의 교우촌 형성212
4) 間島 지역 세 본당의 설립214
2. 延吉 대목구의 정치?사회?종교적 상황217
1) 정치적 상황217
2) 사회적 상황219
3) 종교적 상황223
3. 延吉 대목구 각 교회와 선교사 활동225
1) 延吉 교구본부 및 延吉下市(局子街) 천주교회225
2) 延吉上市(延吉西部, YENKI WEST) 천주교회230
3) 龍井 천주교회231
4) 龍井下市 천주교회236
5)英岩村(三元峰) 천주교회(1909∼1931년) 大拉子 천주교회(1931∼1946년)238
6) 朝陽河 천주교회 八道溝 천주교회240
7) 大嶺洞 천주교회(1926∼1935년) 茶條溝 천주교회(1935∼1946년)243
8) 琿春 천주교회244
9) 八池(六道泡) 천주교회246
10) 敦化 천주교회248
11) 頭道溝 천주교회250
12) 明月溝(甕聲?子) 천주교회251
13) 北蛤?塘 천주교회253
14) 汪淸(百草溝) 천주교회254
15-1) 牧丹江 천주교회(韓人 공동체)255
15-2) 牧丹江 천주교회(中國人 공동체)256
16) 新站(Sintchan) 천주교회257
17) 三道溝 천주교회258
18) 圖們 천주교회258
19) 延吉 올리베따노의 성 베네딕토 수녀회259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저자 소개
저자 : 이석재
이석재 1978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졸업(신학석사) 1979년 3월 사제품(천주교 인천교구 소속 신부) 1981-1984년 육군 군종신부(대위 전역) 1984-1998년 인천교구 간석4동, 제물포, 부개동 주임신부 1991-2000년 8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문학박사) 1996-현재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주요논저 성인입교과정 일제 강점기 독일 분도회와 미국 메리놀회의 선교방법 비교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