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불교의 이해 (독서)/2.한국불교사찰

테마 한국불교 9

동방박사님 2022. 5. 1. 20:21
728x90

책소개

‘한국불교 확장성의 전개: 글로컬리티의 확산’이라는 주제하에 횡단문화의 관점에서 한국불교의 확장 가능성을 8개 테마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인물과 문헌] 영역에서는 사상가로 균여와 지눌, 텍스트로는 『석마하연론』과 주석서를 살펴보았고, [종교와 문화]에서는 ‘종교와 미래’ 유형에서 교단과 불교명상을 다루고 ‘문화와 의례’에서는 불교미술과 상장례를 소개하였다. 이들 테마를 중심으로 한국 불교 글로컬리티의 세계의 여정을 떠나 보자.

유식·화엄·선, 충의·신의·세간, 하늘·조상·무격, 제정일치·왕즉불·불국토, 원력·위령·계율, 사전·사노·사장, 자장·의상·태고나옹, 변체한문·향찰·구결현토, 팔관회연등회·수륙재·향도결사, 기신론소·법계도기·유가론기, 삼미륵경소·금강삼매경론·삼국유사, 사본·금석문·과문, 교판·교관·선교, 승역승군·호국호법·정교, 정토·지옥·윤회, 불교설화·어록·언해불서, 불탑·갈마·청규, 원효·대현·균여·의천, 원측·승랑·지눌·휴정, 범망경·석마하연론·밀교경전, 고승전·대장경·주석서·불교잡지, 영험·수행·교단·여성, 디지털인문학·템플스테이·불교명상·생태환경, 불교가사·불교건축·불교미술·불교음식, 재회·의례집·상장례·범패

목차

제1부 인물과 문헌

균여均如

Ⅰ. 중국과 한국의 화엄사상 … 40
Ⅱ. 균여의 생애와 저작 … 47
Ⅲ. 균여의 화엄 사상 … 58
Ⅳ. 균여에 대한 평가 … 71

지눌知訥

Ⅰ. 지눌의 행적과 저술 … 82
Ⅱ. 지눌의 선 사상과 수행체계 … 89
Ⅲ. 동아시아의 지눌 선 사상 계승 … 98
Ⅳ. 지눌 사상에 대한 논쟁과 과제 … 104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Ⅰ. 『석마하연론』 의 성립 문제 … 116
Ⅱ. 동아시아에서 『석마하연론』의 유통 … 124
Ⅲ. 『석마하연론』의 독창적인 사상 … 131
Ⅳ. 『석마하연론』과 신라불교의 연관성 … 148
주석서註釋書

Ⅰ. 인도 불교 문헌의 주석서 … 164
Ⅱ. 중국과 한국 불교주석서의 특징 … 171
Ⅲ. 신라 불교 문헌의 주석서 … 184
Ⅳ. 고려 및 조선 불교 문헌의 주석서 … 203

제2부 종교와 문화

교단

Ⅰ. 불교 교단의 성립과 분열 … 216
Ⅱ. 중국·일본에서 교단의 성립과 발전 … 225
Ⅲ. 신라시대 교단의 형성 … 237
Ⅳ. 고려·조선 시대 교단의 전개 … 243

찾아보기 _ 419
저자소개 _ 435
 

저자 소개

저 : 김용태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 『韓國佛敎史(일본 春秋社, 2017),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Dongguk University Press,2014),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 임제법통과 교학전통』(신구문화사, 2010),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조선후기 불교문헌의 가치와 선과 교의 이중주」,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저 : 이수미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미국 UCLA 박사, 동국대 HK연구교수 역임.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 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Redefi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