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불교의 이해 (독서)/2.한국불교사찰

고려사회와 밀교

동방박사님 2022. 8. 10. 08:02
728x90

책소개

“아지랑이 같은 고려시대 밀교사, 그 형태를 찾아”

밀교는 신라시대 이래로 신앙되어 왔던 전통 깊은 불교 사상의 한 조류로, 다른 어떤 사상보다도 현실과 밀접하게 소통하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곳곳에 산재해 있는 고려시대 밀교 관련 자료들을 통해 볼 때, 고려 사회에서 밀교는 적지 않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고려시대 밀교사 관련 자료는 적지 않지만, 이들 자료는 스스로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단순한 실행 사실을 전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다라니가 나열되어 있는 등 단편적인 자료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형국이다. 이 책은 이러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배치, 배열하여 그들의 목소리를 내도록 조율하고 의미를 찾는다. 아지랑이 같은 고려시대 밀교사가 형태를 찾을 수 있도록 구도와 틀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밀교사상과 신앙을 바탕으로 조직된 밀교종파, 그 내용을 전파하는 경전, 구체적 신앙 행위인 의례에 개별적으로 천착하고, 이를 고려시대사의 전개 속에 위치지움으로써 고려 사회와 밀교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고려 불교사의 한 축을 구성하는 밀교가 고려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의 사회적 변화가 고려 밀교사 전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여는 글

제1장 머리말

1. 연구 목적과 연구 현황
2.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제2장 신라의 밀교 수용

1. 밀교의 중국 전래
2. 신라의 밀교 수용과 전개

제3장 밀교종파의 성립과 활동

1. 밀교종파의 성립과 전개
2. 신인종의 활동과 왕실과의 관계
3. 총지종의 활동과 관법 수행

제4장 밀교경전의 간행과 유통

1. 대장경·교장과 밀교경전
2. 단본 밀교경전의 간행

제5장 국가적 밀교의례의 개설

1. 밀교의례의 개설 양상과 특징
2. 소재도량과 천문재이의 기양
3. 불정도량과 의궤의 활용
4. 관정도량의 두 가지 유형: 전란기양과 즉위의례

제6장 고려시대 밀교의 성격

1. 고려 전기 밀교의 양상
2. 무신 집권기의 사회 변동과 밀교
3. 원 간섭기 이후의 고려 밀교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고려시대 밀교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시대 밀교 의례와 다라니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책 속으로

밀교종파는 조직적 측면에서 고려시대 밀교에 접근하는 창이다. 경전을 위시한 불교 문헌들은 사상과 신앙을 종적?횡적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의례는 신앙이 구체적 행위로 발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파?경전?의례로부터 밀교에 접근하는 방법은 고려시대 밀교를 살펴보는 가장 효과적인 틀이다.
--- pp.16~18

고려시대의 각 시기별로 밀교종파, 신앙, 교학의 변화가 보인다. 고려 사회의 변화에 따라 밀교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밀교가 끊임없이 사회와 소통하고 있던 흔적이기도 하다.
--- p.262

밀교의 다라니신앙은 고려시대 불교신앙의 저류로 작용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 숭유억불 분위기 하에서도 밀교신앙이 면면히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었다.
--- p.326

독자적 밀교종파와 국가적 밀교의례는 고려시대 밀교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p.327
 

출판사 리뷰

저자는 현세구복적 성격을 가장 큰 특징으로 가지고 있는 밀교는 다른 어떤 사상보다도 현실과 밀접하게 소통하며 사회 속에서 숨 쉬고 신자들과 직접적 · 직관적으로 소통하는 매력을 가진 신앙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에 저자는 산재해 있는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구조화하여 고려시대 밀교사가 그 형태를 찾을 수 있도록 구도와 틀을 만들었다. 밀교종파, 밀교경전, 밀교의례를 세 축으로 고려시대 밀교에 접근하고 있는데, 이들은 고려시대 밀교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동시에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고려 밀교사의 양상들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고려시대 밀교신앙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고려 불교사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밀교가 고려 사회에 끼친 영향은 무엇이며, 고려 사회의 변화가 밀교사 전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반 독자뿐만 아니라 역사학, 불교학, 미술사학 등 관련 학문 분야의 연구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46.불교의 이해 (독서) > 2.한국불교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불교상례  (0) 2022.09.02
한국불교 통사  (0) 2022.09.02
원효 :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  (0) 2022.05.01
테마 한국불교 9  (0) 2022.05.01
한국의 종교 불교  (0)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