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서양철학의 이해 (독서)/3.윤리학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동방박사님 2022. 11. 5. 08:46
728x90

책소개

저자 서문

Ⅰ. 서 론 - 로봇에 대한 윤리적 오리엔테이션

1. 로봇과 로봇윤리를 어떻게 정의(定義)할 것인가?
2. 인류 모두가 로봇기술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3. 자율적인 로봇 사용과 결과,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

II. 로봇에 대한 윤리 이론의 적용

1. 머리말
2. 의무론 : 선의지와 정언명령
3. 공리주의 : 공리성, 최대 행복과 질적 행복
4. 덕윤리
5. 책임윤리
6. 정서주의

III. 로봇의 존재론적 지위

1. 로봇의 존재에 관한 기본 스펙트럼
2. 로봇의 제작, 사용 및 활용의 특성
3. 아시모프의 로봇 3법칙과 법칙 간의 갈등
4. 인간과 로봇의 소통과 결합
5. 로봇의 존재론에 대한 전망

Ⅳ. 분야별 미래 시나리오에 대한 윤리적 쟁점과 대응

1. 분야별 적용에서 로봇윤리의 양면성
1) 동일한 가치의 적극적 적용과 소극적 적용
2) 결과의 우월성
3) 개별 사례 중심의 일반화
2. 주요 국가별 로봇기술의 발전 로드맵
3. 8개 분야별 로봇기술의 발전 전망
4. 로봇윤리의 10개 분야별 주요 이슈
1) 로봇 자체의 존재 근거
2) 인간과 로봇
3) 제조용/산업용 로봇윤리 분야
4) 메디컬/헬스케어 로봇윤리 분야
5)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 독신자용 로봇윤리 분야
6) 가정교육용 및 네트워크형 로봇윤리 분야
7) 탐사 로봇윤리 분야
8) 군사 로봇윤리 분야
9) 엔터테인먼트 및 유희 로봇윤리 분야
10) 네트워크형 로봇윤리 분야 : 사회안전망
유지 관련 로봇

V. 공학윤리로서의 로봇윤리 교육 프로그램
1. 공학인증 기준과 공학윤리교육
1) 공학인증제도의 목적과 기준
2) 공학윤리의 교육 목적과 내용
2. 공학윤리교육에서 로봇윤리의 활용 가능성
1) 공학윤리교육 목적에서 활용
2) 공학윤리교육 내용에서 활용
3. 로봇윤리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4. 소 결

VI. 도덕윤리교육에서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

1. AI 로봇과 삶의 변화
2. 교육용 AI 로봇의 전개와 교과 활용
3. 도덕윤리교육에서 AI 로봇 활용의 기준과 전망
4. 소 결
참고문헌

 

목차

2013년 『로봇윤리』를 번역했던 서울교육대학교 변순용, 송선영 교수가 이번에는 직접 『로봇윤리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여 국내 로봇윤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아직 국내는 로봇기술 발전과 함께 반드시 따라오는 윤리적 문제를 윤리 헌장을 규정하는 수준에만 머물고 있다. 이제는 공학계와 인문학계가 로봇윤리에 대해서 함께 더 넓은 장으로 담론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고 이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철학?윤리 분야 교육자가 제시하는 로봇윤리에 관한 기본서는 로봇윤리에 관한 우리의 지평을 넓혀주는 데 기여할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 변순용
학력사항: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석사, 독일 칼스루헤(Karlsruhe) 대학교 철학박사 경력: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어린이철학교육센터 센터장 주요 저?역서: 『삶의 실천윤리적 물음들』(2014, 울력), 『로봇윤리』(2013, 어문학 사),『Die Struktur der Verantwortungsethik imostlichen und westlichen Denken Tasch...
 
저자 : 송선영
학력사항: 영국 엑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 윤리학석사, 동국대학교 철학박사
경력: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시간강사
주요 저?역서 및 연구:『로봇윤리』(2013, 어문학사),『윤리문화의 서막-고 와 통』(2013, 소통과 공감),「윤리문화 유형에 따른 도덕적 정서와 다중적 정체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2013, 윤리연구) 등.
 
 

출판사 리뷰

로봇윤리의 전환, 로봇윤리 기본서
“인간은 누구를 위해 어떤 로봇을 만들어야 할까?”

2013년 『로봇윤리』를 번역했던 서울교육대학교 변순용, 송선영 교수가 이번에는 직접 『로봇윤리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여 국내 로봇윤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아직 국내는 로봇기술 발전과 함께 반드시 따라오는 윤리적 문제를 윤리 헌장을 규정하는 수준에만 머물고 있다. 이제는 공학계와 인문학계가 로봇윤리에 대해서 함께 더 넓은 장으로 담론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고 이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철학?윤리 분야 교육자가 제시하는 로봇윤리에 관한 기본서는 로봇윤리에 관한 우리의 지평을 넓혀주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