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정치의 이해 (독서)/7.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2011) -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동방박사님 2023. 8. 20. 17:10
728x90

소개

오만한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탈식민주의의 이론과 그 발전과정을 성찰한 책. 대표적인 탈식민 이론가들인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의 주장을 통해 탈식민주의 독법과 그 전망을 알아본다. 제국주의의 종류뿐만 아니라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반대했던 여러 사상가들의 이론을 소개한다. 콘라드의 제국주의 비판, 나이폴의 신제국주의 비판 등이 소개되고, 다양한 저항 담론들과 그 전략이 쉽게 서술된다. 또한 저자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탈식민주의 독법을 통해 읽어낸다.

목차

식민 -탈식민, 신식민
제국주의의 종류
타자화 전략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탈식민 이론가들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탈식민주의 독법
성찰과 전망

저자 소개

저자 : 박종성
현 충남대학교 영문과 교수. 런던대학교에서 「콘라드, 라우리, 나이폴 소설에서 아웃사이더의 역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음. 저서로는 『더 낮게 더 느리게 더 부드럽게 ―영국문화 이야기』 『20세기 영국소설의 이해』(공저)『영국소설 명장면 모음집』(공저) 등. 역서로는 『탈식민주의 길잡이』(공역) 등. 논문으로는「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틈새 읽기 ―나이폴의 정치소설 연구」 외 다수.

출판사 리뷰

식민주의 vs. 탈식민주의
인류의 역사에서 강자들은 침략은 정당한 ‘문명화’ 작업이었고, 약탈은 정당한 ‘근대화’ 작업이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식민주의는 열등감과 불평등 및 역사의 왜곡을 낳으며,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큰 비극을 초래했다. 이런 식민주의를 비판적 시선으로 읽어내려는 ‘대응담론’이 바로 탈식민주의이다.
이 책의 저자는 지구상의 많은 식민지들이 외형적으로 독립을 이룬 현재 상황도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영어와 다국적 기업의 자본의 힘 그리고 미국의 군사력과 외교력에 의해 지배를 받지 않는 나라가 거의 없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제국이 걸어온 길
탈식민주의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의 저자는 식민주의가 태동하게 된 여러 가지 배경을 언급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의 기원에 대한 이해로 나아간다. 서양의 식민지배를 가능케 한 여러 요인들 중 기술(과학)의 진보와 우위를 무시할 수 없다. 저자는 15세기 말 이후에 유럽이 주요 해상로를 확보하고 세계지배를 할 수 있었던 동인을 범선 카라벨호의 개발로 인해 서양 역사의 중심무대가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옮겨간 곳에서 찾는다. 또한 17세기에는 이동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대포가 개발되었다. 바람을 이용하는 범선과 이동용 대포의 결합으로 본격적인 식민지 확보가 가능해진 것이다.
흔히 본격적인 제국주의 형성기를 19세기 후반으로 보는 이유는, 기술의 발전에 의한 세계정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제국주의가 본격화된 원인을 유럽에서 먼 곳과 접근이 어려운 곳에 근접할 수 있는 기술력의 발전에서 찾을 수 있다. 바다에서 내륙의 수로를 따라 들어갈 수 있는 주조(casted iron)방식에 의한 철함의 도입, 말라리아 예방약 키니네의 발명, 기관총과 증기선 발명, 수에즈 운하의 개통과 철도부설 등이 바로 제국주의 확장을 가능케 했다.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다양한 담론들
이 책의 저자는 제국주의의 종류뿐만 아니라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반대했던 여러 사상가들의 이론을 소개한다. 콘라드의 제국주의 비판, 나이폴의 신제국주의 비판 등이 소개되고, 다양한 저항 담론들과 그 전략이 쉽게 서술된다.
대표적인 탈식민 이론가들의 사상으로는 푸코의 권력담론,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반식민 저항운동가 파농, 인도 출신의 이론가 호미 바바와 가야트리 스피박이 등장한다.

탈식민주의 독법
또한 저자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탈식민주의 독법을 통해 읽어낸다. 다니엘 디포우의 『로빈슨 크루소』(1719)는 흥미진진한 표류기로 알려져 있지만 탈식민주의 입장에서 보면 백인 식민담론이 작동하는 문제가 많은 텍스트라고 말한다. 이 소설에 드러난 원주민을 지배하는 방식과 식민지를 만드는 과정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식민주의의 속성을 잘 예증한다. 원주민을 노예로 만들기, 식민지 영토 확보, 원주민 노동력 착취, 주인의 언어(영어)와 종교(기독교) 보급을 통한 헤게모니 장악이 그것이다.
영국 작가들 중 자국 밖에서 벌어지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타락과 폐해를 비판하거나 종주국과 식민국 사람들 사이의 우정과 화해를 모색한 사람들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조지 오웰이, 후자의 경우에는 E. M. 포스터가 해당된다.

한국에서의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한국의 역사, 문학 및 문화를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것은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책의 저자는 한국에서 탈식민주의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여러 담론들을 소개함으로써 우리에게 탈식민주의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를 설명한다. 저자는 탈식민주의는 강대국 혹은 지배권력의 본질을 조명하고 주권과 자율성을 지키는 데 꼭 필요한 실천담론이요, 해방, 독립,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미래 지향적 프로젝트라고 말한다. 탈식민주의는 비유적으로 말해서 신자유주의와 신제국주의라는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백신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