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5.한국전쟁 6.25

주한군사고문단 KMAG

동방박사님 2022. 1. 7. 06:14
728x90

책소개

이 책은 1948년 8월 15일 임시군사고문단으로 출발해 1971년 4월 1일 주한미합동군사원조단에 통합될 때까지 약 23년간 한국에 존재했던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의 조직과 활동을 규명하고, 그것이 한국군의 형성과 증강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미국의 대외군사원조와 군사원조자문단(MAAG) 운용
군사원조자문단의 설치 배경
각국 군사원조자문단 운영 사례와 특징

제2장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의 창설과 기능
주한미군의 철수와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창설
군사고문단의 구성과 임무
군사고문단의 주요 활동
군사원조자문단 기능의 추가

제3장 한국전쟁과 군사고문단의 조직 확대
전쟁의 발발과 군사고문단의 초기 대응
군사고문단의 전선 복귀와 고문단 확장
중공군의 개입과 군사고문단의 전시편성

제4장 전시 군사고문단의 활동과 전후 합동군사원조단으로의 전환
군사고문단의 한국군 작전지도 및 군수지원
한국군의 교육훈련과 증강지원
주한미합동군사원조단(JUSMAG-K)의 창설

맺음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저자 소개

저자 : 박동찬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현대사를 전공하였으며, 특히 한국전쟁과 한미군사관계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강의를 했고,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 『통계로 본 6·25?전쟁』(2014), 『6·25?전쟁사』?전 11권(공저, 2004?2013),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공저, 2010), 『그들이...
 

책 속으로

“주한미군사고문단에 의해 주도된 한국군의 형성과 증강 과정은 한국군이 미국 군대의 조직·전술·교육·문화 등을 수용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한국군이 역사상 경험하지 못한 무기와 장비들의 수용과 기술 습득, 거대한 군대 조직의 운용 방식과 교육훈련제도의 습득, 미군의 전술 및 교리의 적용과 습득 과정은 미국의 ‘제도와 가치’가 한국군에 전파·수용되는 과정이었다. 즉 한국군의 형성과 증강 과정은 한국군의 미국화 과정으로, 이는 한국군의 성격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문제였다.” (7~8쪽)
__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지금의 한국군을 알고자 한다면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1948년 8월 15일 임시군사고문단으로 출발해 1971년 4월 1일 주한미합동군사원조단에 통합될 때까지 약 23년간 한국에 존재했던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의 조직과 활동을 규명하고, 그것이 한국군의 형성과 증강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책은 총 4개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의 형성 과정에서 미국이 세계 주요 분쟁 지역에 설치한 군사고문단의 설치 배경과 지역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군사고문단과 상호방위원조계획(MDAP)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 국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주한미군사고문단보다 앞서 조직된 그리스·터키·이란의 군사고문단이다.

제2장에서는 주한미군의 철수와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창설 과정을 고찰하였다. 전쟁 발발 이전의 군사고문단 조직을 인적 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한국군의 교육훈련과 작전지도에서 고문단의 역할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미국의 MDAP에 의거해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의 체결 과정과 그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미국의 대한군사원조와 연관지어 MDAP 실무기관으로서의 고문단 활동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전쟁의 발발과 군사고문단의 초기 대응을 고찰하였다. 전쟁 초기 전·후방의 한국군 부대에 파견된 고문관들의 다양한 대응 양상과 고문단의 조직 변화를 세부적으로 추적하였다. 또한 월별 단위로 고문단의 실제 병력을 정리하였으며, 고문단의 전시편제와 임무도 새롭게 규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전쟁 기간 군사고문단의 주요 활동을 작전·군수·교육훈련·한국군 증강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군 장교들의 도미 군사유학의 실태와 자금조달, 한국군 증강 과정, 국내에서의 군사교육 등을 새롭게 규명하였다. 또한 전후 주한미군사고문단이 주한미합동군사원조단(JUSMAG-K)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JUSMAG-K로의 전환을 위해 1955년 임시 주한미합동군사원조자문단(PROVMAAG-K)이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6년간 원조자문단과 군사고문단이 양립하게 되는 원인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