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문학의 이해 (책소개)/3.한국문학

27.오탁번 단편소설 < 아버지와 치악산 >

동방박사님 2022. 1. 9. 07:13
728x90

책소개

1970~80년대 혼란스러웠던 한국 사회를
다양한 인물 군상으로 형상화하다
표제작 「아버지와 치악산」 한국문학평론가협회·KBS 공동 ‘우리 시대의 소설 50’ 선정


표제작 「아버지와 치악산」(1979)을 비롯하여 모두 12편의 단편을 수록한 오탁번 작가의 단편집이다. 한국사회가 극도로 혼란했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주로 발표한 12편의 소설 속에는 한국전쟁, 피란, 배고픔, 가난, 좌절, 젊음의 분노, 저항 등 한국사의 질곡을 모두 안았던 작가의 경험과 개인과 사회, 국가, 그리고 문학을 대하는 진지한 모습들이 다양한 인물들을 통하여 형상화되고 있다.

1969년 「처형의 땅」으로 등단한 이후 1980년대까지 소설에 주력했던 작가의 작품세계는 시와 소설, 소년과 노인이 공존하는 듯하다. 그래서일까. 그의 시에는 앙증맞은 서사가 종종 보이고, 또 소설의 한 부분을 떼어내면 그냥 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소설과 시의 상호 보완과 균형의 미학을 추구해 온 작가의 위치는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소설과 시에 대한 이분법적인 잣대로는 한정할 수 없는 그의 작품세계는, 시와 소설이 상호 삼투작용을 일으키며 이루어 내는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잘 보여 준다.

목차

작가의 말

호랑이와 은장도
절망과 기교
달려라 밤 버스
아버지와 치악산
인형의 교실
부엉이 울음소리
해피 버스데이
사금
패배선
열쇠를 돌리는 법
정받이
솔제니친을 위하여

작품 서지
 

저자 소개

저 : 오탁번
 
소설가, 시인, 전 고려대 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43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출생,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을 졸업(문학박사)했다.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 「철이와 아버지」,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 1969년 대한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처형의 땅」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출판사 리뷰
표제작 「아버지와 치악산」 ― 한국문학평론가협회·KBS 공동 ‘우리 시대의 소설 50’ 선정

표제작 「아버지와 치악산」(1979)을 비롯하여 모두 12편의 단편을 수록한 오탁번 작가의 단편집이다.

1969년 「처형의 땅」으로 등단한 이후 1980년대까지 소설에 주력했던 작가의 작품세계는 시와 소설, 소년과 노인이 공존하는 듯하다. 그래서일까. 그의 시에는 앙증맞은 서사가 종종 보이고, 또 소설의 한 부분을 떼어내면 그냥 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소설과 시의 상호 보완과 균형의 미학을 추구해 온 작가의 위치는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소설과 시에 대한 이분법적인 잣대로는 한정할 수 없는 그의 작품세계는, 시와 소설이 상호 삼투작용을 일으키며 이루어 내는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잘 보여 준다.

한국사회가 극도로 혼란했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주로 발표한 12편의 소설 속에는 한국전쟁, 피란, 배고픔, 가난, 좌절, 젊음의 분노, 저항 등 한국사의 질곡을 모두 안았던 작가의 경험과 개인과 사회, 국가, 그리고 문학을 대하는 진지한 모습들이 다양한 인물들을 통하여 형상화되고 있다. 작품을 읽다 보면 절대적인 궁핍과 고독 속에서 소년과 청년 시절을 살았기 때문에 더욱 날 선 감각으로 글을 쓰고 호흡해 왔다는 작가의 말이 가까이 들리는 듯하다.

표제작 ― 아버지와 치악산

치악산이 바라다보이는 외진 시골 마을에서 분교장으로 일하는 아버지. 지위도, 명예도 다 뿌리치고 평생 벽지 분교 근무를 고집해 모두에게 존경받는 교육자인 아버지. 소설은 그런 아버지를 닮은 크고 우뚝한 산을 배경으로 이야기를 풀어 간다. 공부 잘했던 누나와는 정반대로 천덕꾸러기로 자란 아들(주인공)은 어른이 된 뒤에도 마음속으로 아버지를 원망하고 또 원망한다. 그러면서도 끊임없이 아버지의 정(情)에 목말라한다. 주인공은 군청 산림계장이 되어 자연보호운동에 앞장설 때마다 치악산을 찾지만, 갈수록 사람들로 북적이는 치악산은 훌쩍 늙어 버린 모습이었고, 정년퇴임을 불과 한 달 앞둔 아버지는 불의의 화재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나는 혼자 치악산으로 가서 아버지의 유해를 뿌렸다. 이제 치악산에는 다시 오지 않게 될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아버지의 유해 대신에 이러한 예감을 안고 큰 산을 내려오면서 나는 소리 내어 울기 시작했다.” ― 「아버지와 치악산」 마지막 문장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읜 작가는 기억에도 없는 아버지의 모습을 이렇게 소설로 그렸고, 소설은 끝내 아버지와 화해하지 못한 아들의 회한으로 끝을 맺는다.

“소설을 쓸 때 시적 기량이 발휘되었다. 그래서 아주 형식이 정교하다는 것, 이 안에 아버지상을 잘 녹여 냈다는 것, 이것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고형진(문학평론가,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