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세계국가의 이해 (책소개)/5.중동이슬람

이슬람 전쟁사

동방박사님 2022. 4. 1. 06:35
728x90

책소개

전쟁사의 시각에서 기술한 기독교와 이슬람의 충돌!
마호메트에서부터 비롯된 이슬람군의 전략과 전술부터
동지중해를 장악하려는 이슬람 제국의 주요 전쟁사를 살펴본다!

이슬람의 정복 전쟁, 그들에게 전쟁은 신의 뜻이다!


오늘날 기독교는 유럽을 비롯해 곳곳에서 교세 신장이 위축되었지만, 이슬람교는 교세가 신장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유럽은 점점 증가하는 북아프리카-이슬람계 이민자 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을 만큼 이슬람교의 유럽 전파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슬람 교세 성장의 핵심 신조는 바로 “인 샤 알라(신의 뜻대로)”다. 이슬람은 자신들의 신앙을 북돋우고, 이슬람의 이념과 가치를 발전시키고 전파시키기 위해서라면 전쟁도 서슴지 않는다. 타국을 침범해 성을 함락시켜 빼앗거나 주민을 약탈하고 살육하는 행위도 곧 “인 샤 알라”일 뿐이었다.
이슬람 세계에서 전쟁은 종교를 전파하거나 늘어가는 인구 문제를 해결하고, 이교도나 적대 세력으로부터 종교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수단이자 선택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래서 초기에는 생존을 위해서, 아라비아 반도를 장악한 다음엔 이슬람교를 널리 퍼뜨리고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 이슬람 세계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등장 이래 크고 작은 전쟁을 줄곧 수행해왔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는 독자들이 이슬람 세계의 종교는 물론,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이슬람 세계와 기독교 세계가 충돌한 여섯 차례의 대규모 전쟁을 다루고 있다. 그중에는 콘스탄티노플 함락이나 하틴 전투처럼 이슬람 세계가 승리한 전쟁도 있지만, 투르 전투나 레판토 해전처럼 패배한 전쟁도 있다.
책의 도입부에는 무함마드 등장 이후 이슬람군이 구사한 전략과 전술의 특징도 다루고 있다. 또한 아랍-이슬람 세계, 초기의 십자군전쟁, 그리고 튀르크-이슬람 세계의 역사를 간단히 소개했다.

목차

들어가며
이슬람 세계의 성공과 좌절
이슬람 세계의 군사 전략과 전술
아랍-이슬람의 동지중해 진출과 콘스탄티노플 공격
아랍-이슬람의 이베리아-남프랑스 진출과 투르 전투
살라딘과 십자군의 격돌: 하틴 전투와 예루살렘 수복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함락
모하치 전투와 빈 공격
레판토 해전과 오스만 튀르크 제국의 허상

저자 소개

저 : 진원숙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명예교수(서양사 전공). 저서로는 『마키아벨리와 국가 이성』 『서양사 산책』 『손에 잡히는 서양사 이야기』 『문명의 충돌』 『지중해 문화사 이야기』 『시민적 휴머니즘과 인간·역사·과학』 『뒤집어 읽는 역사 이야기 55』 『주니어를 위한 역사 이야기』 『십자군, 성전과 약탈의 역사』 『초기 기독교 이야기』 『비잔틴제국-천 년의 명암』 『오스만제국-지중해의 세 번째 패자』 『서양 고대사 ...
 

책 속으로

“저녁에는 성 소피아 성당에서 마지막의 처연한 미사가 행해졌다……. 황제와 성직자, 그리고 그리스인·라틴인 모두가 이미 패전과 패전 후에 닥쳐올 사태를 각오하고 있었던 것이다.”
“무슬림 중기병들과 샤를마뉴 대제의 밀집방진 보병들은 생사를 건 싸움에 돌입했다. 예상할 수 있는 일이지만 아랍-무어 기병은 프랑크 전사 외에 또 다른 적과도 싸워야 했다. 바로 중기병의 기동력을 방해한 나무숲이었다.”
“반격에 나선 오스만 제국의 울룩 알리가 도리아 휘하 함대의 측면을 위협하면서 대해로 유인했다. 도리아는 오스만의 전함이 빠르게 접근해 오자 그들의 측면이 공격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휘하 전선의 선수를 남쪽으로 돌렸다.”
이상은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투르 전투, 레판토 해전의 일부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 pp.3-4

아랍-무슬림은 투석기는 물론 이동식 탑에 전사를 태워 성을 공격하거나 넘기도 했다. 그들은 투석기 외에도 공성무기·성벽용 사다리·참호와 터널 건설기구 등을 동원했으며, 낙타와 말을 수송력으로 이용해 기동력을 높였다.
그들은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전장에서 대부분의 경우 낙타에 갑주를 입힌 낙타기병대를 출동시켰다. 기동성이 뛰어나 ‘이동수비병’으로 불린 경기병은 창과 칼로 무장하고 적의 측면이나 후미를 공격했다. 그들은 비잔틴 제국과 페르시아의 중무장 보병이나 기병과 달리 경기병 혹은 경기병 궁수를 주력군으로 삼았다. 하지만 732년 투르에서는 중기병이 주력군 역할을 했다. 사실 기병은 말들이 중무장 보병단 속으로 뛰어들지 않으려 할 경우 전략상 차질을 초래하기 쉽지만, 일단 적진 속으로 쇄도하기만 하면 적에게 결정적 타격을 줄 수 있었다. --- p.29

대함대를 동원하고 대구경 대포까지 투입했지만 콘스탄티노플 포위·공격에서 만족할 만한 전과를 거두지 못해 노심초사하던 메흐메드 2세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새로운 전략을 짰다.
금속체인 때문에 진입 불가능한 금각만 입구를 공략하는 대신 금각만 북쪽의 보스포루스 해협, 즉 제노바 통제 아래 있던 갈라타에서 작은 전선들을 육지로 끌어올려 반대편인 남쪽의 금각만 내부로 들어가게 하려는 우회작전이었다. 메흐메드는 1.6킬로미터에 달하는 갈라타와 금각만 사이의 언덕에 통나무 레일을 깔게 했다. 소형이지만 무거운 갤리선을 육지로 끌어올린 다음, 반대편 금각만 안으로 옮기려면 특단의 조처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는 4월 22일 경마용 말들을 이용하여 소형 갤리선들을 육지로 끌어올리게 했다. 말하자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 것이다. 갈라타 부근에 집결한 80여 척의 오스만 전선은 뭍으로 올라온 다음 통나무 레일을 타고 갈라타와 금각만 사이를 지나 금각만 내부로 들어갔다. 참으로 대담하고도 기발한 전략이었다.
비잔틴 제국이 전력을 다해 금각만 입구에 설치한 금속 체인은 무용지물이 되었고, 금각만을 지키기 위해 배치했던 비잔틴 전선들도 별다른 구실을 할 수 없게 됐다. 오랜 세월이 흐른 뒤의 일이지만 이 작전은 프랑스가 제1차 세계대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자금과 과학기술을 총동원해 프랑스-독일 국경에 건설했던(1927~1936) ‘마지노선’이 히틀러의 벨기에 작전으로 무용지물이 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 pp.108-109

레판토에서 패한 오스만 제국은 인적·물적으로 크나큰 손실을 입었다.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병사가 1만 5,000명(혹은 2만 5,000명)에 달했고 3,500여 명의 병사는 포로로 잡혔다. 전선도 갤리선 117척을 포함해 210척을 잃었는데, 그중 130척은 신성동맹군에 나포되었다. 승리한 신성동맹 측도 튀르크-이슬람 측에 비할 바는 아니었지만 상당한 손실을 입어야 했다. 병사·선원·노잡이 등 모두 7,500(또는 1만 3,000~1만 5,000)여 명이 전사했고, 8,00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하지만 신성동맹군은 그만한 숫자의 기독교 노예(약 1만 5,000명)를 해방시켰다. 신성동맹 측도 12척(혹은 50여 척)의 갤리선을 잃었다.
신성동맹 측의 부상병 중에는 스페인 출신 세르반테스도 있었다. 스물넷의 나이로 레판토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운 세르반테스는 전쟁이 신성동맹 측의 완전한 승리로 끝나자 이 해전을 두고 “과거나 현재의 사람들이 보았고 미래의 사람들도 보고 싶어 할지도 모를 가장 고귀한 순간”이라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전쟁 중에 가슴과 왼손에 부상을 입어 평생 왼손을 못 쓰게 되었으며 스페인으로 귀국하던 중 자칫 생명을 잃을 뻔했다. 귀국선이 난파하여 형 로드리고와 함께 노예로 팔려가게 되었으나 먼저 풀려난 형이 금화 500에스쿠도의 석방금을 지불해 감금 5년만인 1580년에 그는 겨우 자유의 몸이 되었다. 그리하여 세르반테스는 훗날 명작 『돈키호테』를 집필할 수 있었다.
--- pp.150-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