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1.동양철학사상 175

전국책 (유향) : 중국 전국시대 나라별 사료의 총집

책소개 각종 고사성어와 동양 사상의 원천이 된 『전국책』 우리는 흔히 '사족을 단다'는 표현을 쓴다. 뱀의 다리라는 뜻으로, 화사첨족(畵蛇添足)의 줄임말이다. 즉, 쓸데없는 참견이나 부언을 우회적으로 표현할 때 쓰는 단어다. 그런데 이 말이 『전국책』에서 온 말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실제로 『전국책』은 온갖 고사성어와 속담의 원천이 된 동양고전이다. 중국 전국시대 나라별 사료를 모두 모은 것으로, 서한 시절에 활약한 유향이 정리했다. 2천 년 전, 때는 전국시대. 약육강식, 우승열패 논리가 지배하던 중국 대륙에는 각종 나라가 흥망성쇠를 반복했다. 이 시대에 흥망했던 12개국의 역사가 모인 것이 『전국책』이다. 총 33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중국 고전 번역가 임동진이 다시 편집한 책은 총 4..

국어(좌구명) : 춘추전국시대 역사서

책소개 춘추시대를 알려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 『국어』와 『춘추좌전』 두 고전 모두 노나라 역사가 좌구명이 썼다는 점에서 가장 큰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춘추시대를 총체적으로 조망코자 할 경우 두 고전을 동시에 비교하며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이는 두 고전의 체제 및 서술상의 차이와 무관치 않다. 『춘추좌전』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건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반해 『국어』는 해당 인물의 활약상이 대화체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사실史實에 관한 한 『춘추좌전』이 뛰어난 것이 사실이나, 『국어』는 당시의 상황을 생생히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춘추좌전』보다 탁월한 바가 있다. 목차 역자 서문 16 들어가는 글 20 권..

춘추공양전 (공양자)

책소개 2018년 세종학술도서로 선정된 책이다. 공자가 정리한 노나라의 사서(史書) 『춘추』는 유가 5경 중 하나로, 역대 왕과 선비들의 길을 비추는 거울이 되었다. 간략하게 기록된 『춘추』를 연구해 각각의 관점에서 해설한 『춘추곡량전』, 『춘추공양전』, 『춘추좌씨전』을 춘추 삼전이라고 한다. 『춘추공양전』은 ‘대일통(大一統)’, ‘존왕양이(尊王攘夷)의 사상을 드러낸다. 역대 왕들이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해 공양학을 적극 장려한 이유다. 목차 권1 은공(隱公) 권2 환공(桓公) 권3 장공(莊公) 권4 민공(閔公) 권5 희공(僖公) 권6 문공(文公) 권7 선공(宣公) 권8 성공(成公) 권9 양공(襄公) 권10 소공(昭公) 권11 정공(定公) 권12 애공(哀公) 원문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

춘추좌전 (좌구명) : 중국 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

책소개 『춘추좌전』은 춘추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공자의 『춘추』를 해설한 책이다. 해설서이지만 『춘추』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자료로서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당시 중국의 역사와 인물을 안다는 것은 단순히 다른 나라의 과거를 공부한다는 의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 시대를 가득 채우고 있던 다양한 사상과 지혜를 익힘으로써 세상의 이치를 알고 사고하는 힘을 키워갈 수 있다. 책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시대적 배경과 개념들에 대해 미리 설명하고 있는데, 춘추시대와 『춘추좌전』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다질 수 있다. 시기별로 나타난 사건과 인물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떤 의미로 후대에 전해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중국 문화와 역사를 더 재미있게 익힐 수 있고, 그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

도덕경

책소개 무위無爲와 자연自然을 주창한 동양 철학의 정수 『도덕경』은 『주역』 그리고 『논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 및 철학 체계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끼친 책 중 한 권이다. 도가의 시조인 노자의 어록으로 알려진 『도덕경』은 비교적 짧은 5,000여 자의 글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안에는 정치, 철학, 병법, 과학, 그리고 양생지도養生之道에 대한 논술까지 포함되어 있어 예로부터 수많은 지식인들의 애독서이자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중국 전문가 소준섭 박사가 새롭게 해석한 『도덕경』은 노자 사상을 문자와 자구의 해석이라는 ‘나무’에만 머물지 않고 전체 맥락이라는 ‘숲’의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또한 지나치게 추상과 현학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면서 노자가 그토록 멀리 하고자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