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문학의 이해 (독서)/4.한국고전문학

실학파와 정다산 (2022)

동방박사님 2023. 6. 28. 08:45
728x90

소개

최초의 다산 연구서!
《실학파와 정다산》은 창해 최익한의 필생의 역작으로서 다산학 연구사상 무비의 최고봉을 이루고 있다.
최익한은 일제강점기는 물론 월북 후 분단 시대에도 다산 연구를 지속한 유일한 고전문학자였다.

《실학파와 정다산》은 1955년 8월 평양 국립출판사에서 발간된 최초의 다산 연구서이다. 이는 시인이요 고전문학자인 창해 최익한이 자기 논문 <근세 조선 ‘실학’ 발전사 개론>(1952), <조선 근세 ‘실학’의 대성자 정다산의 진보적 사상 및 학설에 대한 개론>(1952) 등을 더 추가하여 《여유당전서를 독함》(1939)을 대폭 수정 보완한 책이다. 그는 유학과 ML이론을 종횡무진한 불세출의 걸작 《실학파와 정다산》을 내놓으며 그 심오한 과학성으로 어문학은 물론 역사학·경제학 분야에도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1956년 12월 최익한은 필생의 역작 《실학파와 정다산》을 김일성종합대학 어문학 학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하여 그 해박한 지식과 심오한 과학성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역사학·경제학 분야에도 귀중한 공헌을 한 것이 인정되었다. 《실학파와 정다산》은 단순히 일개 학위 논문이 아니라 그의 모든 이론과 실천을 융합하여 전면성을 획득한 기념비적 걸작으로서 다산학 연구사상 무비의 최고봉을 이루고 있다. 한결같이 ‘다산 3부작’에 주력하였던 유일한 고전문학자로서의 진정성이 농밀한 문체와 광범한 내용 속에서 선명하고 다채롭게 발현된다. 그는 다산 연구의 개척자로서 다산학의 중요한 사회과학적 의미를 거의 다 읽어 냄으로써 장래 다산학을 독보적 위치로 격상시키는 데 주춧돌을 놓았다. 그러나 그가 과학·문화 일꾼으로서 당의 문예 노선(즉 당성·계급성·인민성 원칙)에 따라 애국주의를 고무 추동하는 과업 수행에만 너무 편중된 나머지, 다산의 계급적 본질을 적실히 전달하지 않고 거꾸로 은폐·왜곡하여 다산을 영웅화하는 ‘반인민적’ 방향으로 뒷걸음친 것은 《실학파와 정다산》의 근본적인 한계라 할 수 있다.

이번에 펴내는 교주본은 깊이 읽기를 위해 최익한의 참고 원문까지 모두 찾아서 수록하고 자세한 해설을 덧붙였다. 또한 《여유당전서를 독함》(1939), 《정다산선집》(1957)과 연계해 볼 수 있도록 중요한 대목마다 면수를 적어 놓았다. 끝으로 편자는 <창해 최익한 연보>를 78면이나 작성함으로써 그의 전기적 사실에 대한 구체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였다.

목차

교주본을 펴내며 ··· 4
창해 최익한의 생애와 저술 ··· 18
《실학파와 정다산》 해제 ··· 50
일러두기 ··· 95

서문 ··· 97

상편 실학파의 사적史的 발전
머리말 ··· 107
제1장 실학의 술어와 개념 ··· 111
제2장 실학파의 선행자들 ··· 117
제3장 실학 발전의 사회적 환경?17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의 조선
?에 대한 몇 가지 고찰 ··· 133
1. 국내적 제 모순의 관계
2. 대외적 제 모순의 관계
3. 영·정 시대 18세기 조선의 신문풍新文風과 그 특징
4. 1801년 ‘사학邪學’ 사건과 그 후 사회적 정세
제4장 류형원·이익 일파의 실학사상 ··· 204
제5장 홍대용·박지원·박제가 일파의 실학사상 ··· 247

하편 실학의 대성자大成者 정다산에 대한 연구
머리말 ··· 321
제1부 다산의 사상가적 경력에 대한 사회적 개관 ··· 325
제1장 정다산의 약전略傳 ··· 327
제2장 다산의 실학적 연원과 경로에 대한 고찰 ··· 358
1. 그의 가계와 학파
2. 그의 무학武學과 이술吏術의 전통
제3장 실학파의 서학?천주교와 서양 과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 376
1. 기독교-천주교의 입국과 그 시대적 변질
2. 동서 문화의 상호 영향과 반기독·반유교의 사상 대조
3. 천주학의 과학적 의상衣裳과 실학자들의 비판적 태도
4. 가톨릭교회의 ‘의례금지령儀禮禁止令’, ‘사학邪學’ 취체의 강화,
실학파-정다산 일파의 배교 표명과 ‘내수외학內修外學’의 의의
제4장 실학파의 발전과 수난에 대한 역사적 고찰 ··· 422
1. 남인·서학·성호학파·채당의 교착 관계
2. 당쟁과 척사의 표리적 관계
3. 정조의 ‘벽파’ 퇴치 계획과 서학파의 관계
4. 정조 서거와 서학파의 격화 및 ‘신유사학辛酉邪學’ 사건
5. 서학의 교·학 양파 분열과 학파로서의 정다산의 사상 및 영향

제2부 다산의 철학적 제 견해 ··· 463
제5장 과학적 신견해와 일체 미신 타파론 ··· 465
제6장 유학 개혁사상과 실용주의 ··· 478
1. 유교 경의經義에 대한 신해설
2. 덕치론德治論과 사공론事功論
제7장 인식과 비판에서의 유물론적 제 요소 ··· 502
1. 인성론
2. 음양·오행론
3. 왕양명의 ‘치양지致良知’설
4. 퇴계·율곡의 이발·기발론理發氣發論
5. 귀신과 신앙론

제3부 다산의 정치·경제사상 ··· 541
제8장 다산의 정치사상 ··· 543
1. 균민주의均民主義의 정치론
2. 《경세유표》에 나타난 개신안
3. 문벌·계급 및 지방 차별의 타파와 ‘인재 울흥’의 필요에 대한 강조
4. 민주=민권주의 사상
제9장 다산의 경제사상 ··· 593
1. 중농경제사상
2. 농민 문제에 대한 제론
1) 환곡 폐지론
2) 지주의 지세 부담론
3) 공전균세론公田均稅論
3. 신 전제론新田制論
1) 농자득전 불농자부득전農者得田 不農者不得田
2) 여전제閭田制 = 촌락 공동 경작과 노력 보수제
제10장 다산의 <전론田論> 7장 역술譯述 ··· 634

제4부 다산의 실학에 대한 간단한 재론 ··· 661
1. 그의 철학-세계관
2. 그의 경제·정치사상과 민주주의
3. 그의 애국사상과 민족문화 운동의 선구적 형태

○ 부록 1 ··· 705
1. 다산 연보
2. 다산의 일사逸事와 일화逸話
3. 다산의 저서 총목
4. 종두술種痘術-우두술牛痘術과 정다산
5. 정다산의 이상 사회와 그 역사적 제약성

○ 부록 2 ··· 787
최익한 친일설 ··· 789
<창해 최익한 연보> 소고 ··· 819
창해 최익한 연보 ··· 863
창해 최익한 저술 연보 ··· 941
 

저자 소개

저 : 최익한 (崔益翰)
 
호는 창해滄海, 경상북도 울진 출생. 국학자이자 사회주의 운동가. 17세에 영남학파의 거두 면우 곽종석 문하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스승의 권유로 22세 때부터 신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영향을 받아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금원으로 활약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다. 감옥을 나온 뒤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정경학부를 다니면서 사회주의사상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그 뒤 사상단체...
 

해제 : 류현석 (柳鉉碩)

호는 운봉雲峯, 녹산鹿山, 푸르뫼
1966 전남 영광 출생
1985 광주고 졸업
1993 고려대 국문학과 졸업
2000~현재 21세기문화원 원장
저서 : 시문선 『안개비』(2010), 창해 3부작 교주본(2020) 외 다수

출판사 리뷰

최초의 다산 연구서!

1956년 12월 최익한은 필생의 역작 《실학파와 정다산》을 김일성종합대학 어문학 학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하여 그 해박한 지식과 심오한 과학성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역사학·경제학 분야에도 귀중한 공헌을 한 것이 인정되었다. 《실학파와 정다산》은 단순히 일개 학위 논문이 아니라 그의 모든 이론과 실천을 융합하여 전면성을 획득한 기념비적 걸작으로서 다산학 연구사상 무비의 최고봉을 이루고 있다. 한결같이 ‘다산 3부작’에 주력하였던 유일한 고전문학자로서의 진정성이 농밀한 문체와 광범한 내용 속에서 선명하고 다채롭게 발현된다. 그는 다산 연구의 개척자로서 다산학의 중요한 사회과학적 의미를 거의 다 읽어 냄으로써 장래 다산학을 독보적 위치로 격상시키는 데 주춧돌을 놓았다. 그러나 그가 과학·문화 일꾼으로서 당의 문예 노선(즉 당성·계급성·인민성 원칙)에 따라 애국주의를 고무 추동하는 과업 수행에만 너무 편중된 나머지, 다산의 계급적 본질을 적실히 전달하지 않고 거꾸로 은폐·왜곡하여 다산을 영웅화하는 ‘반인민적’ 방향으로 뒷걸음친 것은 《실학파와 정다산》의 근본적인 한계라 할 수 있다.

이번에 펴내는 교주본은 깊이 읽기를 위해 최익한의 참고 원문까지 모두 찾아서 수록하고 자세한 해설을 덧붙였다. 또한 《여유당전서를 독함》(1939), 《정다산선집》(1957)과 연계해 볼 수 있도록 중요한 대목마다 면수를 적어 놓았다. 끝으로 편자는 <창해 최익한 연보>를 78면이나 작성함으로써 그의 전기적 사실에 대한 구체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였다.
 

'50.문학의 이해 (독서) > 4.한국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오신화 (2022)  (0) 2023.06.28
정다산선집 (2022)  (0) 2023.06.28
허균 척독 (2023)  (0) 2023.06.28
열하일기 - 월드북 126 (2013)  (0) 2023.06.28
어우야담 1 (2019)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