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한국근대사 연구 (책소개)/1.한국근대사

백범 김구와 치하포사건

동방박사님 2022. 8. 3. 20:45
728x90

책소개

본 저서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치하포사건’이다. ‘치하포사건’은 김구 선생이 1896년 3월 9일 새벽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의 한 여점에서 칼을 차고 변복들 한 채 조선사람 행세를 하는 일본인 쓰치다 조스케를 “국가와 민족에 해를 끼치는 독균 같은 존재가 명백하다.”고 판단하고, ‘국모보수’란 대의명분으로 살해한 사건이다. 김구 선생은 극한의 어려움 속에서도 임시정부를 유지하여 국가의 정기를 이어나감으로써 암흑기에 국민들에게 자존감과 희망을 주었으며, 독립과 통일된 조국을 위해 일평생 헌신했던 인물이다.

간디의 ‘비폭력 불복종운동’이나 3·1운동 당시 ‘무저항·무폭력’을 지향하던 방식과는 다른 일제의 침탈에 힘으로 맞섰고, 일제를 이 땅에서 물리치고자 ‘물리적 방법’ 등 모든 수단을 강구하였다. 이러한 김구 선생이 21세란 어린 나이에 실행한 ‘치하포사건’ 하나로 김구 선생의 모든 것을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치하포사건’에 대하여 대중들은 많은 관심들을 갖고 있고, 정작 김구 선생도 이에 대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었다. 특히 2017년 ‘치하포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대장 김창수’가 방영됨으로써 더욱 대중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치하포사건’에 대하여는 여러 평가가 있다. 그러나 어떠한 평가를 하든 이에 앞서 꼭 필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치하포 사건’이 발생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이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조선정부와 일본정부 각 인물들의 역할과 영향력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치하포’라는 일개 시골에서 발생한 일본인 살해사건이 조선과 일본의 핵심 수뇌부들이 모두 나서는 등 조선과 일본을 뒤흔든 사건이 되었는지 실상을 보아야 한다. 단순히 겉으로 드러난 사실들에만 주목하여서는 ‘치하포사건’의 진실을 알기 어렵다.

아울러 김구 선생이 인천 등 각지의 수많은 대중들로부터 응원을 받았음에도 끝내 ‘강도범’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와 ‘강도범’으로 몰아갔던 자들이 누구인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치하포사건’ 발생 후 일백이십여 년이 흐른 현재, 당시 고무라 공사와 매국노 이완용이 주장한 그대로 김구 선생을 파렴치한 강도범으로 몰아가기 위하여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부디 이 저서가 ‘치하포사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서문

제1장 『백범일지(치하포 사건관련 부분)』

제1절 『백범일지(치하포 사건관련 부분)』

제2장 백범 김구와 치하포사건

제1절 김구에게 ‘치하포사건’의 의미
제2절 치하포사건’의 시대적 배경
제3절 쓰치다 살해의 대의명분(살해동기)
1. 『백범일지』에 기록된 대의명분(살해동기)
2. 신문조서와 청원서에 기록된 대의명분(살해동기)
3. 국모보수와 시신훼손
제4절 쓰치다의 신분
1. 변복(變服)
2. 패검(佩劒)
3. 매약상인(賣藥商人)

제3장 ‘치하포사건’에 대한 시각과 일본정부의 개입

제1절 김구를 바라보는 일본정부의 시각
제2절 김구와 이완용(‘비도 김창수’와 ‘무고한 일본인’)
제3절 체포단계에서의 일본정부의 개입과 압력
1. 고무라(小村)공사의 범인체포와 처벌요구
2. 일본정부의 두 차례에 걸친 김창수 체포시도
3. 김창수 체포시기와 체포기관
제4절 인천감리서에서의 수사와 재판에 대한 일본정부의 개입과 압력
1. 수사와 재판에 일본정부의 관여
2. 김창수의 목을 베어 죽이라고 주장한 일본정부

제4장 ‘치하포사건’ 관련 문서 검토

제1절 ‘치하포사건’ 관련 주요문서
제2절 ‘치하포사건’을 강도사건으로 규정한 일본정부
제3절 ‘치하포사건’ 관련, 상주안건과 조서, 『백범일지』 기록 비교검토
1. 김창수의 조서(초초, 재초, 삼초) 검토시 유의사항
2. 김창수의 조서와 『백범일지』의 살해동기·살해방법 비교검토
3. 상주안건, 조서, 『백범일지』 사안별 비교 검토
제4절 일본의 기밀문서 ‘아국인민 피해에 관한 건(기밀 제41호)’ 검토
1. ‘아국인민 피해에 관한 건’ 검토
2. ‘제국민서조해에 관한 조선정부와의 교섭월일표[별지 갑호]’ 검토

제5장 쓰치다의 신분(정체) 에 대한 기관 및 학자들의 판단

제1절 쓰치다의 신분 등 ‘치하포사건’을 바라보는 학자들의 시각
제2절 쓰치다와 육군중위

제6장 백범(白凡) 김구(金九)를 구한 전화 개통시기

제1절 백범 김구를 구한 전화 개통시기
1. 김구가 사형을 면하게 되는 과정
2. “사형을 정지하라는 전화친칙”으로 사형을 면한 시기
3. 『백범일지(상권)』의 시기적 착오에 대한 이해
4. 결어
제2절 사형절차 등 근대 사법절차에 대한 이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이봉재 (李奉宰)
 
정보통신사료 수집 및 연구가 강원도 춘천 거주 이십여 년 간 정보통신기기와 통신 관련 사료의 수집과 이와 관련된 통신역사 정립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정보통신역사 관련 학술활동으로는 2017년 12월 28일에 ‘한국어정보학회’에서 개최한 ‘한국어정보학회총회 및 남북국제대회준비동계학술대회’에서 「전화기의 옛 명칭, 어화통·덕률풍·전어기」를 주제로 발표하였고, 2018년 1월 17일에는 ‘한국통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