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1.동양철학사상

관자 (관중)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서고전에서 배우는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영 전략

동방박사님 2021. 12. 18. 10:48
728x90

카드뉴스로 보는 책

책소개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서
고전에서 배우는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영 전략

관중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관자』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

『관자』에 관한 역대 주석을 총망라한 주석서 국내 최초 출간
정치와 경제를 하나로 녹인 『관자』에서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원리를 찾아라!
자금성의 수뇌부는 『관자』를 『논어』보다 열심히 읽으며 G1을 꿈꾸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 대한 이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중국의 역사문화는 모두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제자백가의 효시가 바로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자인 관중이다. 지피지기 차원에서라도 위정자와 기업CEO는 물론 일반인 모두 『관자』가 역설한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이치를 통찰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난세에 살아남을 수 있다. 민족의 염원인 한반도통일을 조속히 실현해 명실상부한 ‘동북아 허브시대’를 조기에 개막할 수 있는 비결도 여기에 있다.

 

목차

역자 서문 11

제1권 관중은 누구인가? 19

제1부 관중은 어떻게 살았을까? 21
제2부 관중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87
제1편 관자사상의 특징 87
제2편 관자사상의 구성 99
제1장 부강주의(富强主義) 99
제2장 존양주의(尊攘主義) 131
제3장 패도주의(覇道主義) 146
제3편 관자사상의 전개 169

제2권 『관자』는 무엇인가? 187
제1부 『관자』는 어떻게 나왔을까? 189
제2부 『관자』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203
일러두기 210

제1편 「경언經言」 213
제1장 목민(牧民) 213
제2장 형세(形勢) 225
제3장 권수(權脩) 240
제4장 이정(立政) 258
제5장 승마(乘馬) 280
제6장 칠법(七法) 302
제7장 판법(版法) 323
제8장 유관(幼官) 328
제9장 유관도(幼官圖) 361

제2편 「외언外言」 368
제10장 오보(五輔) 368
제11장 주합(宙合) 384
제12장 추언(樞言) 413
제13장 팔관(八觀) 438
제14장 법금(法禁) 455
제15장 중령(重令) 469
제16장 법법(法法) 481
제17장 병법(兵法) 510

제3편 「내언內言」 525
제18장 대광(大匡) 525
제19장 중광(中匡) 569
제20장 소광(小匡) 578
제21장 왕언(王言) 망실 633
제22장 패형(覇形) 634
제23장 패언(覇言) 646
제24장 문(問) 665
제25장 모실(謀失) 망실 679
제26장 계(戒) 680

제4편 「단어短語」 700
제27장 지도(地圖) 700
제28장 참환(參患) 703
제29장 제분(制分) 709
제30장 군신(君臣) 상(上) 713
제31장 군신(君臣) 하(下) 733
제32장 소칭(小稱) 755
제33장 사칭(四稱) 766
제34장 정언(正言) 망실 775
 

저자 소개

저 : 관중 (管仲)
 
관중 (管仲, 기원전 725년-645년). 삼국시대의 제갈량은 포의지사布衣之士로 있을 때 자신을 춘추시대 중엽 제환공을 도와 사상 최초로 패업?業을 이룬 관중에 비유한 바 있다. 관중은 포숙아와 더불어 관포지교管鮑之交 고사를 만들어낸 주인공이다. 문화대혁명 당시 4인방四人幇이 관중을 법가사상의 효시로 칭송했으나 관중은 법가뿐만 아니라 유가와 도가, 병가 등 제자백가의 효시에 해당한다. 그는 춘추전국시대를 대표하는...
  •  
역 : 신동준 (申東埈)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평론가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안목에 열정이 더해져 고전을 현대화하는 새롭고 의미 있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의 일부를 정리해 책으로 펴내고 있다. 100여 권에 달하는 그의 책은 출간 때마다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많은 독자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2019년 4월 25일 64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삼국지 통치학』, 『조엽의 오월춘추』, 『전국책』, 『조조통치론』, 『중국 문명의 기원』, 『공자의 군자학』, 『맹자론』, 『순자론』, 『노자론』, 『주역론』, 『대학.중용론』, 『인식과 재인식을 넘어서』, 『열자론』, 『후흑학』,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장자』, 『한비자』, 『조조의 병법경영』, 『귀곡자』, 『상군서』, 『채근담』, 『명심보감』, 『G2시대 리더십으로 본 조선왕 성적표』, 『욱리자』, 『왜 지금 한비자인가』, 『묵자』, 『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마키아벨리 군주론』, 『관자』, 『유몽영』, 『동양고전 잠언 500선』, 『관자 경제학』, 『동서 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시경』, 『서경』, 『당시삼백수』, 『제갈량 문집』, 『국어』, 『춘추좌전』,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풍몽룡의 동주열국지』, 『십팔사략』 등이 있다.